본문 바로가기

직접생산/구매공고

160628)냉난방기 설치시방서(조달청mas다수공급자계약용)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냉난방기 설치시방서(조달청mas다수공급자계약용)

 


 

공냉식 냉,난방기 설치 시방서

1. 실내기 설치

1) 실내기 설치 위치

① 흡입구, 토출구 부근에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없고 냉·온풍이 냉방 및

난방 공간 전체에 고르게 퍼져 나갈 수 있는 곳에 설치한다.

② 실내기의 토출 방향은 설치 위치로부터 부하가 더 많은 방향으로 토출구가 향하도록

한다.

③ 실내기는 중앙에 올 수 있도록 설치하고 냉매배관 및 드레인 배관이 나갈 방향을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④ 실내기는 반드시 수평계를 이용하여 수평이 되도록 정확히 설치한다.

⑤ 온풍 난방기의 설치는 각 부위의 누설이 없고,보수 등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

 

2) 실내기의 설치

① 실내기는 바닥 면과 수직이고, 벽면과 평행하도록 설치한다.

② 단열처리 후에 드레인 배관을 지지용 부자재로 고정하여 휘어짐이나 뒤틀어짐 등에

의한 배수불량을 방지하도록 한다.

 

2. 실외기 설치

1) 실외기는 옥상이나, 난간 등 환기가 원활한 곳에 설치한다.

2) 실외기간 상호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적정거리를 유지하여 설치한다.

3) 실외기 가동 시 진동이나 제품 하중에 의한 영향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

4) 실외기 하부에는 빗물이나 눈이 쌓이는 높이보다 높게 Base를 설치한다.

5) 실외기는 각종 기초 위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6) 규정의 배관길이 및 허용높이 내에서 설치 가능한 장소에 설치한다.

3. 냉매 배관

1) 연결배관의 보온(단열)은 고압, 저압 모두 고온과 저온에 견딜 수 있는 소재와 두께(t)

로 전 배관을 보온(단열) 한다.

2) 단열 작업 후에는 실내·외기 연결선을 포함하여 단열 Tape로 감는다.

또한, 고저의 차가 있을 경우에는 아래에서 위로 감아 올려 빗물침투를 방지한다.

3) 실내·외기 간의 배관 작업 후 배관 설치에 따른 열 손실 및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 저압관측의 단열작업을 실시하고, 단열작업 후에는 배관 및 실내·외기의

연결전선을 포함하여 Taping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4) 냉·난방 싸이클 전 배관 내부를 먼지, 오물, 수분 등이 없도록 크린(Clean)배관하여

냉매의 유동성, 모세관, 팽창밸브, 압축기 등에 해로운 영향이 없도록 한다.

5) 냉매배관 Size는 적정한 크기를 사용하여 냉매흐름을 원활히 함으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한다.

6) 냉매배관 파이프는 부분적으로 하중을 받지 않도록 1.5~2m 간격으로 지지(지탱)해

주어야 한다.

4. 실외 노출배관

1) 실내·외기 간에 옥상등 실외 부분에서 노출되는 연결배관 부분은 잘 정리 정돈하여야

한다.

2) 배관이 외부에 바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배관의 손상을 방지한다.

3) 배관을 COVER 시공할 때에는 향후 서비스 대책을 강구하여 시공한다.

4) 실외기에서 실내기까지의 1 Cycle 총배관 거리/수직 고저 차는 가능하면 제품 규격

이내로 시공한다.

5) 수직 고저차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요한 경우 10m마다 오일트랩을 설치해 준다.

 

5. 드레인 배관

1) 배수관(드레인관)은 1/50~1/100의 기울기를 주어 응축수 배출을 용이하게 설치한다.

6. 결선 전기 공사(전기 인입 공사는 수요처부담)

1) 냉난방기 전용의 주 전원스위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2) 실내외기(히터포함) 연결전선은 해당제품 사양서에서 제시하는 전선 굵기 이상의 것을

사용해야 하며, 주 전원선도 용량별로 지정된 사양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전선의 배선 용량이 부족하면 전압강하가 발생해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규정용량을

준수하여 배선공사를 하여야 한다.

4) 실외기를 옥상에 설치할 경우 메인(Main) 배전반에서 옥상까지 배선 공사를 실시하고

전선은 반드시 전선관을 사용하여 시공한다.

5) 냉난방기는 필요에 따라 한 대당 하나의 차단기(ELB, Earth-leakage breaker)를 설치

한다. (수요처부담)

7. 시운전

1) 실내기와 실외기의 전원 사양 및 누전 여부를 확인한다.

2) 실외기 서비스 밸브를 완전히 열고 냉매 주입량과 사용압력이 맞는지를 확인한다.

3) 실외기와 실내기의 배관과 신호선 연결이 맞는지를 확인한다.

4) 시운전을 시작하여 실외기에서 운전전류와 냉매의 사용압력을 검사 후 실내기에서

컨트롤에 입력할 사항을 입력하여 정상운전 인지를 확인한다.

5) 실내기의 센서 온도, 고압, 저압 등 각종 계측기 작동상태가 정상인지 확인한다.

8. 작업의 한계

 

1) 실내기와 실외기간 배관공사는 28평형 이하는 8M, 58평형 이하는 10M, 83평형 이하는 12M, 83평 초과는 (12× 2)M로 하며 기본배관 초과 시 추가배관은 수요처 부담으로 한다.

2) 설치 완료 후 시운전은 계약자부담으로 한다.

 

9. 수요처 요구로 시행하는 다음공사는 수요기관 부담으로 한다.

1) 각종 천공작업(간단한 천공작업은 제외)

2) 옥상 및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까지 노출된 배관의 Tray

3) 실외기안착시 별도공사(콘크리트패드, H빔, 앵글설치 등등)

4) 실외기 옥상설치시 옥상 방수공사

5) 특수장비(크레인,기타 운송장비) 사용비용

- 현장여건(고층건물,지하층, 물품반입이 곤란한 장소 등) 및 물량의 중량등 인위적인

인력작업으로는 물품이 하차,반입이 곤란할 경우

6) 실외기별 ELB(누전차단기) 설치

7) 설치지역이 도서지역 및 산간지역일 경우 설치장소까지의 운송에 따른 운임은 수요기관

의 부담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