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시행계획공고
2016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시행계획공고 |
1.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지원사업 개요 |
□ "글로벌전략기술개발" 사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선도적 투자(First mover)를 통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 촉진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개발 과제를 지원하는 사업
◦ 수출유망과제 : 기술경쟁력과 수출성장 잠재력이 우수한 중소기업에 수출유망 전략분야에서 도출된 기술개발을 지원
□ '16년 지원규모 : 379억원 (신규 76억원)
※ 총 지원 규모내에서 분야별 예산은 변동 가능
2.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지원분야 |
□ 수출유망 품목 466개를 지정, 해당 품목과 관련된 기술개발을 "자유응모" 방식으로 지원
* 세부품목 목록은 <붙임1>, <붙임2> 참조
3.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신청자격 |
< 신청자격 등의 확인방법 및 검증 서류 >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벤처기업,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서의 경우 접수마감일 이후 획득 또는 접수마감일 현재 유효기간이 만료된 경우 신청 제외
4.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지원내용 |
5.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신청방법 |
□ 사업계획서 접수기간
◦ 2016년 1월13일(수) ~ 1월 29일(금) 18:00까지
◦ 사업설명회 개최
- 일시 및 장소 : 1. 14(목) 14:00, VR빌딩 B1 블루룸(서초구 서초동 1706-5)
- 내용 : 사업소개, 온라인신청방법,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및 멘토링프로그램 등
- 사전신청 : 1. 12(화) 18:00까지 사전신청요망
* 참가신청서<붙임4>를 작성하여 shhan@tipa.or.kr로 송부 * 문의처 :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혁신기술평가부(042-388-0313)
□ 신청방법 : 온라인(인터넷)을 통한 사업계획서 접수
◦ 온라인 신청절차
<온라인 신청단계별 접수요령>
◦ 신청시 구비서류
* 사업계획서 작성시 개발기간 시작일은 '16. 4. 1로 기재
(단, 협약 체결일정에 따라 향후 조정될 수 있음)
6.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선정절차 |
□ 협약체결 및 정부지원금 지급(5월)
◦ 심의조정위원회에서 최종 확정된 지원과제의 주관기관은 전문기관과 협약체결
< 수출유망과제 추진절차>
* (관리기관)각 지방중소기업청, (전문기관)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7.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기술효 납부 |
□ 기술개발 결과에 대한 최종평가결과 "성공" 으로 판정될 경우, 정부출연금의 10%를 기술료로 납부
* 기술료를 일시납부하거나 조기납부(1~2년이내)시에는 20~40%까지 감면
8.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신청제한 |
9.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기타사항 |
10. 글로벌전략기술개발사업 수출유망과제 문의처 |
□ 사업안내
□ 관리기관현황
※ 공고관련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확인 ▪중소기업 기술개발종합관리시스템 : http://www.smtech.go.kr ▪중소기업청 홈페이지 : http://www.smba.go.kr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홈페이지 : http://www.tipa.or.kr |
수출유망품목(소비재) 263개 |
순번 |
품목명 |
HS코드 |
순번 |
품목명 |
HS코드 |
1 |
기타 돼지고기 |
20319 |
133 |
우산 |
660199 |
2 |
게 |
30624 |
134 |
등산용 잡화 (폴) |
660200 |
3 |
건조 사과 |
81330 |
135 |
가발 |
670411 |
4 |
건조한 과실 (감말랭이) |
81340 |
136 |
가속눈썹 |
670419 |
5 |
카페인 함유 볶은 커피 |
90121 |
137 |
속눈썹, 가발 |
670490 |
6 |
홍차, 한국전통차, 홍삼차 |
90240 |
138 |
재떨이, 캔들 홀더, 자기그릇 |
691190 |
7 |
인삼가공품(인삼캡슐 등) |
1E+05 |
139 |
도자기류 티세트 |
691200 |
8 |
김 |
1E+05 |
140 |
모조진주 액세서리 |
701810 |
9 |
김 |
1E+05 |
141 |
유리세공품, 컵 등 |
701890 |
10 |
지방·기름으로 만든 조제식료품 |
2E+05 |
142 |
보석류 액세서리 |
710399 |
11 |
닭 함유 조제 식료품 |
2E+05 |
143 |
은으로 된 액세서리 |
711311 |
12 |
육류 조제식료품 (밀폐용기) |
2E+05 |
144 |
금, 은 귀금속 액세서리 |
711319 |
13 |
설탕, 카라멜 |
2E+05 |
145 |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 액세서리 |
711320 |
14 |
초콜릿과 초콜릿과자 (블록 초콜릿) |
2E+05 |
146 |
커프링크스, 팔찌 등 악세서리 |
711419 |
15 |
초콜릿, 초콜릿과자 (다른 것으로 속을 채운 것) |
2E+05 |
147 |
귀걸이 |
711620 |
16 |
코코아함유조제식료품 |
2E+05 |
148 |
커프링크스, 타이핀 등 액세서리 |
711711 |
17 |
초콜릿함유조제식료품 |
2E+05 |
149 |
문구용 소형 클립 |
731940 |
18 |
유아용의 조제식료품 |
2E+05 |
150 |
자수용 침, 반짇고리 |
731990 |
19 |
베이커리용 혼합물 |
2E+05 |
151 |
가정용 혹은 캠핑용 취사기구 |
732119 |
20 |
곡물가공품 |
2E+05 |
152 |
버너(캠핑용), 전기스토브, 히터 |
732182 |
21 |
기타 파스타 |
2E+05 |
153 |
기타 가정용 가열기 |
732189 |
22 |
씨리얼 |
2E+05 |
154 |
캠핑용 가열기기 |
732189 |
23 |
기타곡물조제식료품 |
2E+05 |
155 |
철강제 주방용품 (법랑제가 아닌 것) |
732391 |
24 |
빵·파이·케이크·비스킷 등 베이커리제품 |
2E+05 |
156 |
철강류 주방제품 (법랑제의 것) |
732392 |
25 |
생강과자(gingerbread)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
2E+05 |
157 |
스테인레스강제의 식탁용품 |
732393 |
26 |
스위트 비스켓 |
2E+05 |
158 |
보울, 쿠킹팬, 그릴팬, 머그컵 |
732394 |
27 |
와플과 웨이퍼 |
2E+05 |
159 |
행거, 냄비 |
732399 |
28 |
러스크(rusk)ㆍ토스트 빵과 그 밖에 이와 유사한 토스트 물품 |
2E+05 |
160 |
설거지통 |
732410 |
29 |
빵 등 베이커리 제품 |
2E+05 |
161 |
세수대야 |
732429 |
30 |
과일, 젤리, 잼 (감귤 제외) |
2E+05 |
162 |
쟁반 |
761510 |
31 |
저장처리한 과실·견과류 |
2E+05 |
163 |
호일, 랩, 씰링캡 등 |
761520 |
32 |
유자차, 유자 티백 |
2E+05 |
164 |
캠핑용 램프 및 토치 |
820560 |
33 |
복숭아 잼, 퓨레 |
2E+05 |
165 |
스푼, 포크 |
820570 |
34 |
팝콘 |
2E+05 |
166 |
주방용칼(세트) |
820830 |
35 |
감귤류주스 |
2E+05 |
167 |
수동식 조리용 기계기구 |
821000 |
36 |
유자주스, 오렌지주스 |
2E+05 |
168 |
주방용 칼 |
821191 |
37 |
토마토 케찹, 겨자소스 등의 소스 |
2E+05 |
169 |
캠핑나이프, 칼 |
821192 |
38 |
기타 소스류 |
2E+05 |
170 |
면도기 |
821210 |
39 |
카레, 스프 등 가루 조제품 |
2E+05 |
171 |
안전면도날 |
821220 |
40 |
단백질조제식료품 |
2E+05 |
172 |
가위 |
821300 |
41 |
기타 조제식료품 |
2E+05 |
173 |
페이퍼나이프, 손톱줄 |
821410 |
42 |
광천수와 탄산수 |
2E+05 |
174 |
손톱깎이세트용품 |
821420 |
43 |
설탕 등을 첨가한 물 |
2E+05 |
175 |
칼, 아이브로우칼(화장품) |
821490 |
44 |
설탕·감미료·무알콜 음료 |
2E+05 |
176 |
스푼·포크·국자·칼 등 주방용품 |
821599 |
45 |
2L 이하 포도주 |
2E+05 |
177 |
자물쇠 |
830130 |
46 |
제너릭의약품(복제의약품) |
3E+05 |
178 |
자전거 자물쇠 |
830140 |
47 |
수성물감, 페인트 |
3E+05 |
179 |
클립 |
830510 |
48 |
페인트, 화가용 물감 |
3E+05 |
180 |
볼펜, 클립, 스테이플러 |
830590 |
49 |
향수 |
3E+05 |
181 |
공예품 |
830629 |
50 |
화장품 |
3E+05 |
182 |
가정용 팬, 후드 |
841451 |
51 |
눈화장용 제품 |
3E+05 |
183 |
후드(hood) |
841460 |
52 |
화장품 |
3E+05 |
184 |
기타 진공청소기 |
850819 |
53 |
가루 |
3E+05 |
185 |
진공청소기, 스팀청소기 |
850860 |
54 |
기타 화장용 제품 |
3E+05 |
186 |
믹서기 |
850940 |
55 |
샴푸 |
3E+05 |
187 |
기타 가정용 전기기기 |
850980 |
56 |
파마용 스트레이트용 제품, 헤어오일 |
3E+05 |
188 |
면도기, 휴대용 이발기 |
851020 |
57 |
기타 두발용 제품 |
3E+05 |
189 |
면도기 |
851090 |
58 |
치약 |
3E+05 |
190 |
캠핑랜턴, 토치 |
851310 |
59 |
목욕용 염 |
3E+05 |
191 |
공기히터, 커피포트 |
851610 |
60 |
실내용 방향제 |
3E+05 |
192 |
가정용 전열기기 |
851621 |
61 |
기타 면도·탈취·목욕용 제품 |
3E+05 |
193 |
기타 난방기기 |
851629 |
62 |
화장용 비누 (약용 포함) |
3E+05 |
194 |
헤어드라이어 |
851631 |
63 |
폼 클렌징, 비누 |
3E+05 |
195 |
그 밖의 이용기기 |
851632 |
64 |
피부세척용 유기계면활성제품 |
3E+05 |
196 |
전기다리미 |
851640 |
65 |
소매용 유기계면활성제 |
3E+05 |
197 |
마이크로웨이브 오븐(microwave oven) |
851650 |
66 |
베이킹소다 클렌저, 주방용세제 |
3E+05 |
198 |
오븐, 쿠커, 조리판 |
851660 |
67 |
구두약, 신발광택, 자동차광택 |
3E+05 |
199 |
커피ㆍ차를 끓이는 기기 |
851671 |
68 |
가죽 클리너 |
3E+05 |
200 |
토스터 |
851672 |
69 |
양초, 캔들 |
3E+05 |
201 |
기타 전기보온밥통 |
851679 |
70 |
소매용 조제 접착제 |
4E+05 |
202 |
광학식 저장매체 |
852340 |
71 |
제초제·발아억제제·식물성장조절제 |
4E+05 |
203 |
비디오카메라 |
852580 |
72 |
진드기 구충제 |
4E+05 |
204 |
텔레비전 수신용 기기 |
852871 |
73 |
변기시트, 설거지통, 목욕통 |
4E+05 |
205 |
승용차 (1,000cc이하) |
870321 |
74 |
플라스틱제의 식탁용품, 주방용품 |
4E+05 |
206 |
800cc 초과 모터사이클 |
871150 |
75 |
플라스틱제의 식탁용품 |
4E+05 |
207 |
기타 모터사이클 |
871190 |
76 |
지우개, 파일, 아크릴박스 |
4E+05 |
208 |
콘텍트렌즈 |
900130 |
77 |
인테리어 장식용품 |
4E+05 |
209 |
선글라스 |
900410 |
78 |
플라스틱제의 기타 제품 |
4E+05 |
210 |
마사지용 의료기기 |
901910 |
79 |
유아용 젖꼭지 |
4E+05 |
211 |
의치 |
902121 |
80 |
핸드백 |
4E+05 |
212 |
기타 치과용품 |
902129 |
81 |
가죽가방, 핸드백 |
4E+05 |
213 |
인조관절 |
902131 |
82 |
플라스틱/천 가방, 수트케이스 |
4E+05 |
214 |
인조관절 |
902139 |
83 |
백펙, 크로스펙, 일반가방류 |
4E+05 |
215 |
손목시계 (자동식 제외) |
910129 |
84 |
레깅스, 여성용 바지 |
4E+05 |
216 |
기계식 손목시계 |
910211 |
85 |
방한용 장갑 |
4E+05 |
217 |
시계 |
910299 |
86 |
젓가락, 숟가락, 쟁반, 그릇 |
4E+05 |
218 |
자명종, 시계 |
910599 |
87 |
목제의 기타 장식품 |
4E+05 |
219 |
타이머 |
910690 |
88 |
도서 스탠드, 연필꽂이(소비재용 목제제품) |
4E+05 |
220 |
속·용수철·커버 등을 댄 의자 |
940171 |
89 |
손수건ㆍ클렌징티슈ㆍ안면용 화장지ㆍ타월 |
5E+05 |
221 |
기타 의자 |
940179 |
90 |
기타 티슈 |
5E+05 |
222 |
주방용 목제가구 |
940340 |
91 |
다이어리, 노트북, 앨범, 달력, 메모지 |
5E+05 |
223 |
침실용 목제가구 |
940350 |
92 |
앨범, 포스트잇, 스케줄노트 |
5E+05 |
224 |
기타 목제가구 |
940360 |
93 |
커피거름종이 |
5E+05 |
225 |
플라스틱제 가구 |
940370 |
94 |
티셔츠와 그 밖의 조끼 |
6E+05 |
226 |
기타 가구 부분품 |
940390 |
95 |
인조섬유제의 저지·풀오버 |
6E+05 |
227 |
에어메트, 배게, 라텍스 |
940421 |
96 |
방직용 섬유제 |
6E+05 |
228 |
기타 매트리스 |
940429 |
97 |
유아용 양말 |
6E+05 |
229 |
베게, 쿠션 |
940490 |
98 |
면제 트랙슈트 |
6E+05 |
230 |
전기식 스탠드램프 |
940520 |
99 |
합성섬유제 여성용 수영복 |
6E+05 |
231 |
장식용 조명 |
940530 |
100 |
타이즈 |
6E+05 |
232 |
어린이용 완구 |
950300 |
101 |
타이즈 (방직용섬유제로 구성된 것) |
6E+05 |
233 |
아케이드게임기기 |
950430 |
102 |
장갑 |
6E+05 |
234 |
오락용 카드 |
950440 |
103 |
합성섬유제의 장갑 |
6E+05 |
235 |
휴대용 게임기 |
950490 |
104 |
스카프, 반다나, 머플러 |
6E+05 |
236 |
튜브 |
950629 |
105 |
모제의 여자용 오버코트 |
6E+05 |
237 |
탁구라켓 |
950640 |
106 |
면제의 여자용 오버코트 |
6E+05 |
238 |
축구공 |
950662 |
107 |
합성섬유제의 남자용 바지 |
6E+05 |
239 |
낚시용 릴 |
950730 |
108 |
재생·반합성섬유제의 드레스 |
6E+05 |
240 |
메이크업 브러쉬, 유아용 병 브러쉬 |
960329 |
109 |
인조섬유제의 트랙슈트·스키슈트 |
6E+05 |
241 |
회화용·필기용·화장용 붓 |
960330 |
110 |
방직섬유제의 트랙슈트·스키슈트 |
6E+05 |
242 |
헤어브러쉬, 면도용 브러쉬, 화장용 브러쉬 |
960350 |
111 |
인조섬유제 여성용 스포츠 의류 |
6E+05 |
243 |
먼지털이개,청소용빗자루 |
960390 |
112 |
멜빵, 벨트 등 |
6E+05 |
244 |
개인용 여행세트 |
960500 |
113 |
면제의 손수건 |
6E+05 |
245 |
볼펜 |
960810 |
114 |
스카프, 머플러 |
6E+05 |
246 |
펜 & 마커 |
960820 |
115 |
패션장갑, 겨울장갑 |
6E+05 |
247 |
볼펜, 연필, 펜류 |
960850 |
116 |
벨트, 장갑, 토시 등 (패션잡화) |
6E+05 |
248 |
볼펜 |
960899 |
117 |
어깨용 패드, 벨트 |
6E+05 |
249 |
색연필 |
960910 |
118 |
전기모포 |
6E+05 |
250 |
크레용·오일 파스텔 |
960990 |
119 |
베드린넨 |
6E+05 |
251 |
빗, 메이크업 브러쉬세트, 타월 |
961511 |
120 |
베드린넨 |
6E+05 |
252 |
빗, 머리핀, 헤어슬라이드 |
961590 |
121 |
베이비타올, 키친타올, 냅킨 |
6E+05 |
253 |
분무기, 화장품용 공병 |
961610 |
122 |
면행주 |
6E+05 |
254 |
화장용 분첩, 패드 |
961620 |
123 |
토일렛린넨(샤워볼, 샤워타올 등) |
6E+05 |
255 |
텀블러 |
961700 |
124 |
베드린넨, 테이블린넨, 주방린넨 |
6E+05 |
256 |
위생 타월 (생리대) |
961900 |
125 |
목욕용 커튼, 침대커튼, 창문커튼 |
6E+05 |
257 |
공예품 |
970300 |
126 |
방석, 가구커버, 의자덮개, 테이블커버 등 |
6E+05 |
258 |
경량소재 스포츠․레저용 제품 |
950691 |
127 |
글래스 클리너, 접소닦기용 스펀지 |
6E+05 |
259 |
전기램프 및 조명기구 |
851220 |
128 |
정구화·농구화 |
6E+05 |
260 |
친환경 벽지 |
481420 |
129 |
기타 신발 |
6E+05 |
261 |
합성수지 테이프 |
391990 |
130 |
비니, 모자류 |
7E+05 |
262 |
가정용 미세 전류 자극기 |
854370 |
131 |
모자, 베레모 |
7E+05 |
263 |
공기조화장치 |
841950 |
132 |
모자 |
7E+05 |
수출유망품목(비소비재) 203개 |
□ 기계/소재
구분 |
기술분류 |
품목명 |
설명 |
1 |
로봇ㆍ 자동화기계 |
SLS 방식 3D 프린터 |
SLS 방식 3D 프린터 기본 장비 개발 및 SLS 방식 3D 프린터 제어기술 예) SLS 방식 3D프린팅 로봇 기술 등 |
2 |
로봇ㆍ 자동화기계 |
무인화 관망 갱생 로봇 |
관망내 3D 지도 구성을 통한 위치 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하며, 이를 통한 손쉬운 원격제어 기술 및 다중로봇을 활용한 무선중계 기술 예) 상수관망 갱생, 송유관 검사 등 |
3 |
에코건축 |
고효율 설비시스템 |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설비시스템 및 관련 부품소재 예) 냉난방 시스템, 기계환기 등 |
4 |
에코건축 |
조립식 건축물 및 부품 |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및 그 부품 예) 골조, 판넬 등 |
5 |
에코건축 |
친환경․고효율 건축자재 |
친환경 건축자재 또는 에너지 사용 저감을 위한 고기능성 건축 내장재를 의미 예) 친환경 건축 마감재, 바닥재, 접착제 등의 관련 소재를 포함 |
6 |
대기 환경 |
대기환경 측정 장치 및 부품 |
대기중의 아황산가스,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등 대기 유해물질을 측정하는 장치 및 부품 예) SO2 측정기, PM-10측정기, O3측정기, NOX측정기, CO측정기 등 |
7 |
대기 환경 |
실내공기 유해물질 감소 장치 및 부품 |
실내공기 유해물질은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에서 발생되는 분진, 흡연,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라돈, 포름알데히드, 석면, 미생물, 악취 등의 오염물질을 감소시키는 장치 및 부품 예) 실내 공기정화 시스템, 악취 억제 시스템 등 |
8 |
물 환경 |
디지털 유량 측정기기 및 부품 |
디지털방식으로 기체, 액체의 유량을 측정하는 기계 및 부품 예) 유량 압력계, 벤튜리 플륨, 파샬 플륨, 크리티컬 플로 미터, 전자유량계 등 |
9 |
물 환경 |
수처리 공정 부품 |
수질오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정화 및 복원에 요구되는 단위공정의 부품 예) 터보블로워, 상하수도 살균소독기, 정삼투막 기술 등 |
10 |
토양․ 지하수 환경 |
토양지하수 오염측정장치 |
오염원 및 오염부지에 대한 오염원 조사/측정 및 분석 시스템 예) 토양 ph측정기, 이로미터, 라돈측정기, 수위기록계 등 |
11 |
폐기물에너지 |
금속저장용기 |
기체연료를 보관하기 위한 설치용 금속용기 예) 철강재 용기, 알루미늄재 용기 |
12 |
금형 |
진공 증착기계 및 부품 |
플라스틱 시트, 필름 등을 진공상태를 이용하여 금형에 밀착시키는 성형기계 및 부품 예) 진공증착기 등 |
13 |
금형 |
자동차용 복합소재 플라스틱 금형 |
열가소성수지를 사용하여 미세형상 부품, 기능성 부품, 대면적 외관 부품, 복잡형상 내장부품, 경량화 부품 등 자동차 플라스틱 부품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금형 예) 자동차 내외장 부품 등 |
14 |
주조 |
금속 주조용 틀 및 부품 |
금속 주조용으로 사용되는 주형틀 및 부품 예) 금속주조용 주형틀, 광물 주형, 주조기, 주형 및 부품 등 |
15 |
주조 |
복잡형상 일체화 주조 제품 |
복잡형상 일체화 주조란 주철 라이너-알루미늄 실린더 블록과 같이 목적이 다른 이종소재를 이용한 것을 의미 예) 복잡형상의 제품을 생산하는 일체화 주조 등 |
16 |
주조 |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제품 |
필요한 주조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확하게 기계가공된 강제의 금형에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다이캐스팅을 활용한 제품 예) 자동차 휠, 프라이팬 등 |
17 |
주조 |
첨단산업용 휠 |
항공기 및 풍력발전기용 등 첨단산업에 활용되는 휠 예) 항공기용 휠, 풍력발전용 휠 등 |
18 |
소성가공 |
진동 융학기계 및 부품 |
곡면이 심하고 형상이 복잡한 열가소성 수지 접합용 기기 및 부품 예) 진공융착기 등 |
19 |
소성가공 |
특수목적용 롤러 베어링 및 부품 |
회전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요소 및 부품 예) 테이퍼드 롤러 베어링, 복합 베어링, 플레인 베어링, 니들 롤러베어링 등 |
20 |
소성가공 |
차량용 샤시 부품 |
기존의 성형 기술로 제조하기 어려운 형태의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 예) 자동차 차체 프레임, 선루프, 암 등 |
21 |
용접․접합 |
용접용 기구 및 부품 |
용접에 사용되는 고글, 가스발생기 및 산업용 로봇 용접기 및 부품 예) 산업용 로봇 용접기, 가스 용접기, 용접용 고글, 용접용 가스발생기 등 |
22 |
용접․접합 |
용접용 소재 및 부품 |
용접기에 부속되는 부품과 금속표면처리용의 침지조제품, 용접용 분말 등 예) 용접기, 용접 페이스트, 용접강관 |
23 |
열처리 |
열처리로 |
열처리를 하기 위하여 금속을 가열하는 설비 예) 전기열처리로, 진공열처리로, 가스열처리로 등 |
24 |
열처리 |
열처리로 제어장치 및 부품 |
열처리 공정제어를 위한 로내 분위기 진단과 제어 및 변형저감을 위한 냉각설계 및 냉각장치 예) 열처리로의 온도제어, ICT융합 모니터링 기술 등 |
25 |
표면처리 |
금속세척기 및 부품 |
표면처리(도금 등) 공정에 있어서 금속을 세척하는 장비 및 부품 예) 도금 금속세척기, 표면처리 후속세척장비 등 |
26 |
금속소재 |
경량금속 소재 |
비철금속 중에서 철강소재에 비해 비중이 낮은 상용금속 소재 예)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및 마그네슘 합금,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등 |
27 |
금속소재 |
금속 플레이크 및 나노분말 |
금속재료의 층상조직의 분(power), 플레이크(flake), 박(foil) 또는 금속재료의 나노분말 및 이를 함유하는 소재 예) 디지털기기의 전자파 차폐용 도료, 전극재료와 도전성 부품 등 |
28 |
금속소재 |
덕타일 주물제품 |
구상 흑연 주철 또는 노듈러(nodular) 주철 제품으로, 주철에 규소와 마그네슘을 가하고 함유되어 있는 탄소를 구모양의 흑연 조직으로 구성 예) 구상흑연주철, 노듈러 주철 제품 등 |
29 |
세라믹소재 |
발전소용 내화 난연 소재 |
화재에 강하고 연소되기 어려운 발전소용 난연 제품 예) 난연보드, 수송기기 등의 난연 내장재, 내화 난연성 건축자재 등 |
30 |
세라믹소재 |
산업용 세라믹 용기 |
이화학용ㆍ공업용 도자제품 예) 세라믹 캡스탄, 세라믹볼 등 |
31 |
세라믹소재 |
전자 세라믹스 |
첨단 IT산업소재로 사용되는 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세라믹 부품 및 소재 예) 세라믹 디스플레이, AIN방열소재 등 |
32 |
조선 |
선박용 엔진 및 부품 |
압축점화식 엔진 등 선박용 엔진과 관련 부품 예) 선박 엔진 부품 등 |
33 |
조선 |
선박 평형수 처리설비 |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는 평형수의 살균소독 후 배출하는 기술 예) 밸러스트 펌프, 전자제어 장치, 센서 등 |
34 |
조선 |
조타 및 추진기기 |
조타 및 추진기기는 선박의 운항에 있어서 선박을 조정, 침로 유지, 안전성 확보하기 위한 장치류와 선박 동력원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선박의 추진력으로 변경시키는 장치의 부품·소재 예) 스티어링 기어, 보우 트러스터, 무어링, 절탄기 등 |
35 |
해양플렌트 |
설치선 및 운송선 |
해양플랜트의 설치 및 해체를 담당하는 선박 및 해양에너지인 석유와 가스의 탐사 및 채굴을 위해 해양에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구조물의 특성화된 작업을 지원 예) 구조물 설치선, 크레인선 등 |
36 |
해양플렌트 |
해양플랜트 건설용 설비 |
해양 조사나 자원탐사를 위해 사용되는 구조물, 하역설비 등 해양플랜트 건설에 사용되는 설비 부분품 예) 시추대, 운영설비, 강교, 철골 등 |
37 |
자동차 |
기어박스와 부품 |
기어장치를 내장한 상자형 프레임 및 부품 예) 기어박스, 기어파킹로드 등 |
38 |
자동차 |
내연기관 엔진 및 부품 |
자동차나 철도의 내연기관에서 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와 부품 예) 차량용 피스톤식 엔진 부품 등 |
39 |
자동차 |
서스펜션 시스템 및 부품 |
전자식 제어가 가능한 서스펜션 시스템과 부품 예) 전자식 서스펜션 등 |
40 |
자동차 |
소방․방재차량 부품 |
화재나 재해와 같은 긴급사태에 대비하여 장비를 갖추고 있는 특수 목적용 차량 부품 예) 소방차, 앰뷸런스 부품 등 |
41 |
자동차 |
자동차 공조장치 |
자동차용 공기 조절 장치 예) 자동차 에어컨 등 |
42 |
자동차 |
자동차 외관용 부품 |
자동차용 완충기, 차체 등 자동차 외관용 부품 예) 범퍼, 하우스, 완충기 등 |
43 |
자동차 |
차량용 구조체 및 부품 |
자동차의 뼈대를 이루는 모듈 및 부품 및 조향장치 예) 섀시 모듈, 암, 크로스멤버, 스티어링 등 |
44 |
자동차 |
차량용 내장재 및 부품 |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는 모듈 및 부품 예) 시트모듈, 시트히터 및 쿨러, 썬루프, 트랙 등 |
45 |
자동차 |
차량용 발전기․ 전동기 및 부품 |
전기적 에너지를 회전운동의 방식으로 기계적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기 및 부품 예) 자석발전기 부품, DC 모터 등 |
46 |
자동차 |
차량용 방열기 및 부품 |
압력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 및 부품 예) 라디에이터, 라디에이터 캡, 주철제 방열기 등 |
47 |
자동차 |
차량용 에어백 |
충돌이 감지되면 기계장치에 의해 순간적으로 공기 주머니(질소 등 가스가 폭발)가 팽창하여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 예) 차량용 에어백 등 |
48 |
자동차 |
차량용 흡배기장치 및 부품 |
차량의 공기의 흡기와 배기와 관련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및 부품 예) 디젤 터보차저, 터보차저 부품, 차량용 배기 매니몰드 등, 배기가스정화기 등 |
49 |
자동차 |
특장차 부속체 및 부품 |
동력없이 견인차에 연결하여 짐이나 사람을 운반하는 차량 및 부품 예) 트레일러 및 부품 등 |
50 |
철도 |
철도보수차량 및 부품 |
철도, 궤도의 유지 또는 보수용 차량 및 부품 예) 철도 보수 차량 등 |
51 |
철도 |
철도차량부품 및 소재 |
여객이나 화물을 수송하기 위한 철도차량의 부품 및 부품소재 예) 커플러, 드라이빙 기어, 판토그래프, 도어콘트롤 등 |
52 |
철도 |
화차 경사지지용 관련 부품 |
가이드레일 또는 홈을 갖춘 플랫폼과 같이 경사지지용 제품과 부품 예) 화차 경사기 등 |
53 |
발사체 |
서보비틀 |
항공기, 우주선 등 극한환경에 사용되는 부품 예) 항공기 부품, 우주선 운반체 부품 등 |
54 |
항공시스템 |
항공기 구동장치 및 부품 |
항공기에 사용되는 프로펠러, 열교환기 등 구동장치 및 부품 예) 항공기용 프로펠러, 열교환기, 시동발전기, 클러치 등 |
55 |
농수산 기계 |
부속작업기 및 부품 |
트랙터 전방, 후방 및 중간 부분에 장착하여 토양 관리 작업, 파종 이식 작업, 방제작업, 수확작업, 운반 작업, 축산작업 등을 수행하는 장비 예) 토양 관리용 작업기, 작물재배를 위한 파종이식 작업기, 관리방제 작업기, 수확 작업기, 운반 작업기, 수확 후 작물 관리를 위한 수확 작업기, 정원관리기 등 |
56 |
농수산 기계 |
사료 조제용 기계 및 부품 |
애완동물, 가축 등의 사료를 조제하는 기계 및 부품 예) 동물사료 조제용 기계 등 |
57 |
농수산 기계 |
트랙터 및 부품 |
세미트레일러 견인용 도로주행식 트랙터와 같은 첨단 농업기계 및 부품 예) 트랙터, 부속작업기 등 |
58 |
가공공작 기계 |
광학용 연마기 및 부품 |
광학용 및 안경 유리용 연마기 또는 광택기 및 부품 예) 광학렌즈 연마기, 광택기 등 |
59 |
가공공작 기계 |
금속성형 기계 및 부품 |
기계식ㆍ유압식 금속가공기계 및 부품 예) 절곡기, 압출기, 인발기 등 |
60 |
가공공작 기계 |
압연기 부품 |
금속의 압연을 위해 사용하는 기계의 부품 예) 압연기, 롤 머신, 시트 밀, 와이어 밀, 블룸 밀, 파이프 밀 등 |
61 |
가공공작 기계 |
액압 프레스 및 부품 |
물이나 기름이 실린더에서 가지는 높은 압력으로 단조, 압연, 절단 따위의 공작을 하는 가공 기계 및 부품 예) 액압 프레스 등 |
62 |
가공공작 기계 |
용기 제조기계 및 부품 |
카톤ㆍ박스ㆍ케이스ㆍ튜브ㆍ드럼 등 용기의 제조기계 및 부품 예) 종이컵 제조기계, 튜브제조기계 등 |
63 |
가공공작 기계 |
정밀 감속기 및 부품 |
정밀제어용의 중대형 감속기계 및 부품 예) 초정밀 감속기, 정밀제어 중대형 감속기 등 |
64 |
가공공작 기계 |
절삭 성형 시스템 |
단순 선삭 가공부터 최첨단 가공을 수행하는 기기 및 부품 예) 머시닝센터, 터닝센터, 선반 등 |
65 |
가공공작 기계 |
표면가공용 레이저장비 및 부품 |
레이저 소결 또는 절삭의 방법을 이용하거나 유도방출된 빛을 증폭하여 발진하는 장치 및 부품 예) 레이저 가공기계, 레이저 포인터 등 |
66 |
건설 기계 |
굴착 기계 및 부품 |
땅이나 암석 따위를 파내는 기계로 고정식 및 이동식 포함 예) 포크레인, 불도저, 파워셔블 등 |
67 |
건설 기계 |
보링 머신 |
시멘트 주입공, 지질 조사 등을 위한 천공용 기계 예) 탐사용 보링 머신 등 |
68 |
건설 기계 |
셔블로더 및 부품 |
광석·석탄 등을 셔블로 퍼올려서 목적지까지 운반하여 배출하는 적재기 및 부품 예) RFID셔블로더, 셔블로더 부품 등 |
69 |
건설 기계 |
스킵호이스트 및 부품 |
토목 공사에서 토사, 골재,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합재 등의 수직 운반에 사용하는 기기 및 부품 예) 권양기, 스킵 호이스트, 운반하역기계 등 |
70 |
건설 기계 |
유압기계 및 부품 |
기름의 압력, 유량,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 유압브레이크 등과 관련 부품 예) 유압밸브, 유압브레이크, 유압조절액 등 |
71 |
건설 기계 |
전동기 |
주로 강력한 힘을 요구하는 산업용으로 쓰이는 모터류 장치 예) 굴삭기용 모터, 기중기차 모터 등 |
72 |
건설 기계 |
트럭믹서 및 부품 |
콘크리트를 반죽하는 장치를 내장한 운반차 및 부품 예) 트럭믹서 등 |
73 |
건설 기계 |
포크로더 및 부품 |
셔블로더의 버키트 대신에 각종 포크 부속장치를 부착한 하역장치와 부품 예) 포크로더, 포크로더 부품 등 |
74 |
섬유 기계 |
섬유 가공기계 및 부품 |
직물을 가공하여 섬유제품을 만들기 위한 가공처리용 설비ㆍ장비 및 부품 예) 직물날염기, 폭출기, 머서라이징기, 방축가공기, 기모기, 패딩기 등 |
75 |
섬유 기계 |
섬유 제직기계 및 부품 |
실이나 섬유의 제조, 직물로 만드는 설비ㆍ장비 및 부품 예) 방적기, 직조기, 합사기, 연사기, 연신기 등 |
76 |
섬유 기계 |
제봉기 및 부품 |
두 매 이상의 직물 또는 가죽 등을 함께 봉합하는 기계 및 부품 예) 재봉기, CAD재봉기 등 |
77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광학식 고온계 |
고온체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온도계 예) 온도계, 광학식 고온계 등 |
78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분석시험기 부품 |
재료의 기계적, 화학적 성질 측정시험용 기기의 부품 예) 만능시험기의 센서 등 |
79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산업용 자동화 구동 부품 |
공장 자동화 등에 사용되는 구동부품으로 모터, 벨트, 샤프트 등을 포함 예) 산업용 모터, 벨트, 샤프트 등 |
80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식품 포장기계 및 부품 |
열수축 방식을 이용하여 식품의 변질이나 변패를 방지하기 위해 식품을 포장하는 기계 및 부품 예) 열수축 식품 포장기계, 진공포장기 등 |
81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플라스틱용 캘린더기 |
회전하는 평행실린더 또는 롤러로 구성된 고무ㆍ플라스틱용 캘린더기 또는 로울기 예) 캘린더기, 로울기 등 |
82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항장력 시험기 |
금속재료의 인장강도를 시험하는 기기 예) 항장력 시험기 등 |
□ 전기/ 전자
구분 |
기술분류 |
품목명 |
설명 |
83 |
계측기기 |
오일 측정 센서 |
기계 혹은 자동차등의 오일에 대한 화학적열화, 오염도, 수분, 온도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해당오일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정하는 센서 예) 오일 측정 센서 등 |
84 |
광응용기기 |
안개예측이 가능한 독립형 발광형 스마트 도로 표지 시스템 |
일반적인 도로 표지 시설에 센서 및 태양광 등을 통한 독립전원 융합기술 예) 안개예측이 가능한 독립형 발광형 스마트 도로 표지 시스템 등 |
85 |
디스플레이 |
eNano Coater |
정전기제 기반의 박막 코팅 생산 설비,모든 코팅재료에 대한 코팅적용이 가능한 대형 코팅 장비 예) eNano Coater 등 |
86 |
디스플레이 |
eNano Printer |
고투과도/고전도성 제품을 만족시킬 수 있는 패터닝 장비 예) eNano Printer 등 |
87 |
디스플레이 |
LED 스마트 패널 |
유리의 기존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LED소자로 빛을 낼수 있는 혁신적 제품 예) LED 스마트 패널 등 |
88 |
디스플레이 |
OLED 봉지 소재 |
OLED 패널 내부의 유기층을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가 기판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하 기판을 접합시키는 소재 예) OLED 봉지 소재 등 |
89 |
디스플레이 |
OLED 봉지 장비 |
OLED 패널 내부의 유기층을 공기 중의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하 기판을 접합시키는 장비 예) OLED 봉지 장비 등 |
90 |
디스플레이 |
근접형 65인치급 UHD 무안경 디스플레이 패널 |
최적시청거리가 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개선하여 대면적에서도 근접위치에서 3D를 구현할 수 있은 기술로 다시점 Map data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자연스러운 3D영상 구현 예) 근접형 65인치급 UHD 무안경 디스플레이 패널등 |
91 |
디스플레이 |
대면적 OLED용 플라즈마세정장비 |
대면적 OLED 기판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비 예) 대면적 OLED용 플라즈마 세정장비등 |
92 |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용 내외장 부품 |
고강성 고분자 컴포지트 소재를 이용한 OLED등 박막 디스플레이용 부품 예) OLED TV back cover, 스마트폰 외장 배터리 커버, 스마트폰 inner frame 등 |
93 |
디스플레이 |
무안경식 입체디스플레이용 실시간 다시점 영상획득 및 제어장치 |
보급형 다시점 영상획득 장치의 개발을 위하여 영상입력장치의 다시점카메라 리그 및 카메라 동기화장치, 입력영상처리 보드, S/W모듈, 무안경 입체 렌더링 S/W 모듈, 영상평가방법 기술 예) 무안경식 입체디스플레이용 실시간 다시점 영상획득 및 제어장치 |
94 |
디스플레이 |
플렉서블TFT -Backplane기판용 점착제 |
Roll-to-Roll 공정과 같은 유연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플라스틱 필름을 유리기판과 같은 고정 지지대에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하는 소재 예) Flexible TFT-Backplane 기판용 점착제등 |
95 |
디스플레이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UI‧UX 부품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UI‧UX 부품 예) Flexible Display UI‧UX 부품등 |
96 |
디스플레이 |
플렉서블용 유리기판 박리 장비 |
유리기판 위에 유기재료 TFT를 형성한 후 유리기판을 떼어내는 장비 예) Flexible용 유리기판 박리 장비등 |
97 |
디스플레이 |
플렉서블 터치용 고감도 센서 |
유연기판을 이용한 멀티 터치, 빠른 응답기능의 터치 센서 예) 플렉서블 터치용 고감도 센서 등 |
98 |
디스플레이 |
플렉서블 터치용 고감도 센서 제조 장비 |
유연기판 위에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장비 예) 플렉서블 터치용 고감도 센서 제조 장비 등 |
99 |
반도체소자 및 시스템 |
Post-Si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 |
Si 대비 고효율, 고전압, 고전력, 소형화, 고성능의 특징을 지닌 화합물 반도체 소재를 이용한 고속, 고온, 고출력 전력반도체 소자 예) Post-Si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자등 |
100 |
반도체소자 및 시스템 |
감광성 반도체 |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자외선의 작용이 내부 광전효과에 의해 저항을 변경하거나 기전력을 발생하는 감광성 반도체 소자 예) 광전도셀, 광전지, 발광다이오드 소자 등 |
101 |
반도체소자 및 시스템 |
군정보 데이터보호 ACM(Acess Chip Module) 모듈개발 |
군·경찰 등의 특수이동형단말기(무전기 및 통신매개체) 분실, 및 통제 불가시 보호 및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강제적형태의 정보보안 을 원격에 의한 무력화 형태로 구현할시 중요한 정보 데이터 에 대한 보호 방안대책이 마련됨과 동시에 사이버테러전등의 장차 전 양상 등을 고려할 시 비인가 사용자에 대한 철저한 접근 통제 및 보호 보호가 절대적으로 체계화할 필요성이 요구되므로 이를 소프트웨어 기반의 칩 바이러스 및 통신체계기반의 ICT화된 형태의 기술 예) 소프트웨어형태로 무력화데이타 발생으로 해당 이동장비를 무력화 및 운용불가상태로 구현키위한 칩기반 임베디화 모듈등 |
102 |
반도체소자 및 시스템 |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반도체 |
기업 및 개인의 업무처리용 자동 데이터 처리기기 부품 예) 노트북, 넷북, 모바일 컴퓨터, PDA, 휴대전화 등 |
103 |
반도체소자 및 시스템 |
플러그인 차량용 전자부품 및 센서부품 |
플러그인 차량용 고전압 배터리(36V~48V)에 적합한 전자부품 및 센서 부품류 예) 플러인 차량용 전자부품 및 센서부품 |
104 |
반도체장비 |
MEMS Probe Head 및 MEMS Probe Card |
Wafer에 만들어진 반도체 Deivce들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측정용 장치 및 부품 예) CIS 32DUT/64DUT Probe Head 또는 Probe Card, 300mm Memory(DRAM & Flash) 용 Probe Card 와 Probe Head, 비메모리용 MEMS Probe Head & Probe Card 등 |
105 |
반도체장비 |
다품종․개인생산을 위한 Smart Mount 기기 |
SMT(Surface Mount Technology) 또는 Pick-and-Place의 일종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대용량 고속의 Mount가 아닌 작은 공장이나 개발실에서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규모 Mount을 의미하며 이는 납이 도포된 PCB에 부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자동화 장비기승 예) 다품종․개인생산을 위한 Smart Mount 기기등 |
106 |
영상ㆍ음향기기 |
MEMS Speaker |
통신용기기(스마트폰 등)에 적용 가능한 MEMS 기반의 Micro Speaker 예 )MEMS Speaker 핵심소자 개발 및 Packaging 완제품등 |
107 |
영상ㆍ음향기기 |
빅데이터 기반의 CCTV 관제용 자동 영상 보정 장치 |
빅데이터 기반의 기상정보를 활용한 영상 자동 보정 장치로 시,군,구 재난안전방지센터에서 사고 예방 및 위험 경고를 위한 모니터링 고도화 장비 예) 디지털 영상 자동 보정 장치, 디지털 이미지 보정 엔진등 |
108 |
영상ㆍ음향기기 |
양방향 MEMS Microphone |
통신기기, 음성인식 모듈 및 IoT 에 적용되는 MEMS 기반의 Microphone. 예) MEMS Microphone 설계기술, bulk 및 surface micromachine 공정기술, 패키징 기술등 |
109 |
영상ㆍ음향기기 |
영상 위변조 탐지 및 장치/저장매체 식별이 가능한 지능형 차량용 영상 블랙박스 |
기존 차량용 영상 블랙박스에서 임의로 영상의 위변조를 탐지할 수 있는 기능과 장치 식별 및 저장매체 식별 기술을 적용한 지능형 차량용 영상 블랙박스 기술 예) 지능형 차량용 블랙박스 등 |
110 |
전기전자부품 |
바이오스마트 센서 |
눈물, 땀샘, 침,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등을 통해 자동차, 의료 등에 적용 가능한 센서 예) 자동차, 휴대기기, 보안장치 등 |
111 |
전기전자부품 |
분산발전을 위한 태양광 전력 변환 장치 및 부품 |
분산발전을 위한 태양광 전력 변환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핵심부품 예) WBG 물질 특성에 의한 열 특성, 효율 개선, 부품 절감 시스템 개선 부품등 |
112 |
전기전자부품 |
빅데이터 기반 위험 시설물 사고 발생 공간 예측 및 고 위험공간 실시간 집중 감시를 통한 회피 장치 시스템 |
빅데이터 기반 위험 시설물 사고 발생 공간 예측 및 고 위험공간으로 분류되는 산업 현장 실시간 위험물 다중 객체 감지 및 집중 모니터링 장치와 서비스 및 장치 통합 관리 플랫폼 예) 산업 현장 영상기반 위험물 감지 안전모 및 위험 예상지 사전 경고 시스템, 차량의 사고 위험지역 예측 및 자동 감지 장치, 재난/재해/전시(전쟁) 환경에서의 착용형 다차원/다각도 위험 감지 및 회피 시스템등 |
113 |
전기전자부품 |
인쇄전자기술을 이용한 감지속도가 빠른 물질별 맞춤형 필름형 센서 |
필름 타입이라 굴곡부위, 미세한 틈 등 원하는 곳에 양면접착제로 손쉽게 설치 가능하고, 센서의 박막화를 이루어 검출 속도가 기존보다 1/10에 불과하고, 최소 1ml 정도도 감지 가능한 필름형 센서 예) 인쇄전자기술을 이용한 감지속도가 빠른 물질별 맞춤형 필름형 센서 등 |
114 |
전기전자부품 |
전기자동차구동 및충·방전용 전력변환 장치 및 부품 |
전기자동차 구동 및 충·방전용 전력 변환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핵심부품 예) 1200V급 대전력 변환을 위한 고전류/고전압의 스위칭 부품등 |
115 |
전지 |
EV 및 LEV용 이차전지 부품소재 |
전기자동차 및 경량전기이동장치 등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되는 고용량 이차전지를 구성하는 부품 및 소재 예 EV 및 LEV용 이차전지 부품소재등 |
116 |
전지 |
리튬계 2차전지 |
반복 충전용 2차전지 및 부품 예) 노트북, 넷북, 모바일 컴퓨터, PDA, 휴대폰, 자동차 등 |
117 |
전지 |
전기 자동차용 ESS(Energy Storage System) 전지팩 |
Li 이온 2차전지를 활용한 방전량이 최대이고, 방전 속도가 최고이고, 높은 방전 신뢰성을 가지고. 급속충전이 가능하며, 저온주행 시에도 성능이 유지되는 전기 자동차용 ESS (Energy Storage System) 전지팩 예) 전기 자동차용 ESS (Energy Storage System) 전지팩등 |
118 |
중전기기 |
자기터널 방식 드론용 무선충전기 |
코일 사이의 공명현상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전송하는 자기공명방식을 개선시킨 자기터널 방식을 채택하여 공진 주파수의 Q값을 크게 하여 고 효율화 및 수신 안테나에만 전력이 선별적으로 전달되며 주변 도전물체, 부품 등에는 영향을 없는 드론용 무선 충전기 예) 자기터널 방식 드론용 무선충전기등 |
119 |
에코조명 |
광 제어기기 및 부품 |
카메라용, 로봇용 등의 렌즈광을 제어하는 기기 및 부품 예) 렌즈제어기 등 |
120 |
에코조명 |
광 커넥터 |
유리의 굴절률 차이를 이용하는 광학섬유 등을 사용하는 접속장치 예) 광섬유, 광섬유다발, 케이블용 커넥터 등 |
121 |
에코조명 |
자동차 조명용 부품 |
자동차용 안개등에 장착되는 등갓(SHADE)으로 램프의 과열을 방지해주고 빛을 반사시켜주는 부품 예) 헤드램프용 부품 등 |
122 |
항공시스템 |
항공기 탑재 전자장비 및 부품 |
항공기에 탑재되어 추진 및 운항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장비 및 부품 예) 무인기 탑재 전자장비 등 |
123 |
자동차 |
전자제어식 제동장치 |
전자제어로 바퀴 제동 정도를 조정하는 장치 예) ABS 등 |
124 |
자동차 |
차량용 전자제어 장치 |
운전자의 스위치 작동에 따라 열선시트의 온도를 제어하는 등 차량의 전기제어용 장치 예) ECU 등 |
125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전기ㆍ전자램프 조립기계 및 부품 |
전기 또는 전자램프ㆍ튜브ㆍ밸브 또는 플래시벌브 등과 같은 제품의 조립기계 및 부품 예) 컨베이어형 램프 조립기계, 전기밸브 조립기계 등 |
126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절연저항계 및 부품 |
전기 기기나 배선 등의 검사를 하기 위하여 절연 저항을 측정하는 계기 및 부품 예) 절연저항계, 절연저항 모니터링장치 등 |
127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전자계측, 검사장비 및 부품 |
측정 및 검사 장비 등에 장착 후 불량 여부 등을 검사하는데 활용하는 기기 및 부품 예) 계측기 부품, 오실로스코프, 스트로보스코프 등 |
128 |
측정 및 자동화 기계 |
전자센서 및 부품 |
온도ㆍ빛 등 물리에너지를 전기신호로 바꿔 주는 정보탐지장치 및 부품 예) 속도센서 부품, 열감지 센서, 전자기 센서, 온도센서 부품, 적외선 센서 등 |
□ 정보통신
구분 |
기술분류 |
품목명 |
설명 |
129 |
ITS‧텔레매틱스 |
차량 운행정보 분석 네트워크 관제 장비 |
현재 버스의 경우 차량의 위치 정보를 단순히 지자체 또는 고객에게 전달하는 수준의 관제를 진행중이나 범위를 확대하여 대형 운송 차량의 적재물, 적재상태, 운송상태, 운전자의 상태정보의 전송 및 관리,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의 운행상태 및 고객의 안전정보 및 차량의 사고 유무 등을 관리하여 효율적인 운영, 교통 안전, 보험사 등에서의 활용 및 이용자의 안전까지 도모할 수 있는 장비 예) 차량 운행정보 분석 네트워크 관제 장비등 |
130 |
ITS‧텔레매틱스 |
충돌방지 및 회피 관제/통제 시스템 |
V2X 통신, 광각기반 레이더, 서라운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 도심 교차로 등 교통환경이 복잡한 상황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통 상황을 예측하여 충돌 방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장치 예) 충돌방지 및 회피 관제/통제 시스템 |
131 |
RFID/USN |
ICT 융합 작물 생육 모니터링 및 환경제어 |
스마트 농장 및 온실 복합 환경제어 플랫폼, 센정정보 모니터링 장치와 재배작물 프로파일 기반 제어 알고리즘을 통한 구동제어 장치 예) ICT 융합 작물 생육 모니터링 및 환경제어 품목등 |
132 |
RFID/USN |
IoT 기반 생활지능공간 서비스 제공형 개방형 프레임워크를 내장한 전용 시스템 장치 |
IoT 기반 생활지능공간에서의 다양한 ICT 융복합 서비스 제공 프레임워크 내장형 장치 예) 당구장/PC/카페 등 생활밀착형 공간에서 IoT 기반 전용 서비스 제공 장치, 스마트 사이니지의 적응형/인식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
133 |
RFID/USN |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
사용자가 이용하고 생성하는 데이터, 콘텐츠 및 서비스에 자유로운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서비스 자체를 클라우드 플랫폼 화해 제공 기술 예) 모바일 클라우드 서비스 등 |
134 |
RFID/USN |
일회용 밴드 형태의 IoT 온도 측정 장치 |
일회용 밴드 형태의 IoT 온도 측정 장치는 간편하고 위생적인 방법으로 발열 추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치이며, 여러명을 동시에 관리해야 할 경우에도 한 곳에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IoT 온도 측정 장치 예) 일회용 밴드 형태의 IoT 온도 측정 장치등 |
135 |
디지털방송 |
3D 카메라 방송장비 |
3차원 스캐너, 다차원 카메라 등으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다차원 영상/음향, 그래픽, 체감정보를 획득하여 실감방송 제작 예) 3D 카메라 방송장비 등 |
136 |
디지털방송 |
UHD 방송용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트랜스 코더 |
UHDTV 서비스를 위한 방송시스템은 촬영 단계부터 저장, 편집, 압축, 전송, 단말STB, 디스플레이까지 전 분야에 걸쳐 새롭게 기술개발
예) UHD 방송용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트랜스 코더 등 |
137 |
디지털방송 |
다시점 비디오 장치 |
영상기반 렌더링 및 여러시점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의 임의 시점에서의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예) 다시점 비디오 장치 등 |
138 |
디지털콘텐츠 |
연예인 캐릭터 및 패션 아이템 개발 |
유명 영화배우, 연예인, 스포츠 스타 및 엔터테이너의 캐릭터 및 패션 상품 개발 예) 연예인 캐릭터 및 패션 아이템 개발일체 |
139 |
디지털콘텐츠 |
현실정보측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플랫폼 |
현실정보를 측정하는 카메라 시스템 및 센서와 결합된 증강현실 플랫폼은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증강현실 응용 서비스를 통해 그 시장과 응용범위가 더욱 증가되고 있으며, 360도 전방향 3D영상 콘텐츠 생성 기술과 사용자 상황인지를 위한 다이내믹 동작인식 기술이 융합되어, 교육, 군사, 쇼핑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기술 예) 현실정보측정 카메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플랫폼 등 |
140 |
소프트웨어 |
SoT(Service of Things) 지원 모바일 동글 및 원격제어 SW |
SoT (Service of Things)라는 이름으로 스마트 가전 및 IoT 기기에 대한 빠른 조치 및 원격 제어를 위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음. SoT를 지원하는 모바일 동글은 스마트폰에 동글 형태로 결합되어 스마트 가전 및 IoT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에 대한 화면 정보 및 상황정보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문제 해결 방안을 원격으로 제공하는 제품기술 예) 현장 AS 기사를 위한 현장 서비스 지원 동글 및 SW (사업자 연계형 ) |
141 |
소프트웨어 |
멀티 패스 비디오 핑거프린트 검색 엔진 SW |
비디오 (동영상) 특성정보를 추출하고, DNA화하여 유사 동영상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엔진 SW 기술로, 기존 핑거프린트 기술대배 속도, 정확도 향상 및 생성 DNA 정보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기술 예) 멀티 패스 비디오 핑거프린트 검색 엔진 SW등 |
142 |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 솔루션 |
유무선 통신시스템으로 부터 발생하는 대용량 비정형 Machine 데이터를 범용 분산서버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 및 분석하는 시스템 예) 분석결과를 가시화 해주는 유연한 Visualization기능의 사용자 기반 실시간 머신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등 |
143 |
소프트웨어 |
음성인식 및 다국어 자동통번역 SW |
언어 및 음성인식 소프트웨어란 사람이 일상생활 속에서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사용하지 않고 목소리를 통해 원하는 기기 및 정보 서비스의 이용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 예) 시리(SIRI), S보이스, Q보이스, NOW 등 |
144 |
소프트웨어 |
인공지능 지식검색 소프트웨어 |
인공지능 지식검색 소프트웨어란 텍스트 문서 외에도 이미지, 영상 등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한 대규모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는 기술 예) 시멘틱 지식검색, 소셜 검색등 |
145 |
소프트웨어 |
하이브리드 IoT 백업 SW 엔진 |
무선 와이파이 내에서 IoT 디바이스간에 상호 자동 인식 및 연결하며, 저장 용량에 제약이 심한 단말 스토리지를 무제한 확장하여 사용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IoT 백업 SW 엔진 기술임. 와이파이 환경에서 40메가 bps로 초고속 파일복사를 지원하며, 구글 드라이브 파일 전송보다 3% 이상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는 기술 예) 하이브리드 IoT 백업 SW 엔진등 |
146 |
이동통신 |
사물 인터넷 구현을 위한 연결성 플랫폼 |
무선 통신 기술에 기반하여 여러 기기들간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과 이에 대한 접속 기술 예) 사물 인터넷 구현을 위한 거대 연결성 플랫폼 등 |
147 |
정보통신모듈 및 부품 |
IEEE Ethernet AVB Based AV SOM 모듈 |
유선 Ethernet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성과 트래픽 QoS를 보장하여, 전문가 급의 Video 및 Audio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SOM (System on Module, 모듈내부에 OS및, 응용프로그램이 포함되어 하나의 시스템 역할을 하는 부품) 예) Pro AV system, Full HD Security CCTV, Smal Network Camera, Vision Sensor System등 |
148 |
지식정보보안 |
스마트 통합재난관리 플랫폼 |
스마트 통합재난관리 플랫폼(Smart IEMS*)은 화재(Fire), 재난(Disaster), 응급구난(EMS), 치안(Police) 등 국가 또는 도시의 모든 재난 및 응급상황과 관련한 예방-대비-대응복구 활동을 과학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ICT 융합서비스 플랫폼기술 예) 스마트 통합재난관리 플랫폼 등 |
149 |
위성 |
레이더기기 및 부품 |
무선탐지 및 거리측정 장비 및 부품 예) 레이더기기 등 |
150 |
위성 |
위성방송 수신기 및 부품 |
디지털방송신호를 수신하여 TV등 디스플레이 기기에 전송하는 수신기 및 부품 예) 디지털 방송용 수신기 등 |
151 |
위성 |
항행용 무선기기 및 부품 |
항행용 무선기기, 무선원격조절기, 무선장비, 레이더 기기, 안테나 및 위성방송수신용 기기 등을 포함하고 이와 관련 부품 예) 무선기기용 GPS, 필터, 안테나 등 |
152 |
항공시스템 |
항공기 운항장치 및 부품 |
방향 탐지용 콤파스의 부품, 민간운항을 위한 헬리콥터용 부품 예) 방향탐지용 콤파스의 안테나, 수신기, 헬리콥터용 부품 등 |
□ 화학
구분 |
기술분류 |
품목명 |
설명 |
153 |
정밀화학 |
카멜레온 페인트용 기능성 감성안료 |
나노구조 기반의 다공성 구조체로 파장선택성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며 이를 통해 단열효과를 가지는 안료, 보는 각도에 따라 색이 바뀌는 카멜레온 안료, 화장품용 안료 등 특수한 기능의 새로운 안료 예) 카멜레온 페인트용 기능성 감성안료등 |
154 |
폐기물에너지 |
폐기물고형연료 |
플라스틱, 슬러지 등 가연성 폐기물과 고형연료를 배합하여 제조한 합성연료 예) 슬러지합성연료, 플라스틱 고형연료 등 |
155 |
정밀석유 화학소재 |
디스플레이용 소재 |
디스플레이용 복합 필름소재, 액정디스플레의 광학보상 시트용 배향막 소재 기술 및 기타 디스플레이 소재 예) 유기 투명전극 필름 소재, 폴리이미드 필름 소재 등 |
156 |
정밀석유 화학소재 |
반도체용 소재 |
반도체용 소재로 박리성, 도전성 및 정전기 차폐 등의 기능성이 부여된 소재 예) 반도체용 실리콘 소재, 패키징용 에폭시 소재 등 |
157 |
정밀석유 화학소재 |
반응성 염료 및 소재 |
염색 중에 섬유와 화확반응을 일으켜 고착하는 염료 및 소재 예) 반응성염료 등 |
158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산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은 열가소성 수지 예) 포장용 필름, 카펫, 파이프, 공업용 부품 등 |
159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생분해성소재 |
석유화학 물질, 석유화학 폐기물, 고분자화합물 등을 생분해하여 만들어지는 소재 예) 바이오플라스틱 등 |
160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아크릴 섬유 |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등의 중합체를 원료로 만든 합성섬유 예) 스웨터, 메리야스 및 복지, 모포 등 |
161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유무기 복합코팅제 |
투명한 기재 위에 얇은 코팅 층을 형성하여 눈부심 방지 및 반사 방지 특성을 지닌 코팅제 예) 녹방지 세라믹코팅제, 발수코팅제 등 |
162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인조 인견 섬유 |
비스코스 레이온 섬유로 여름철 의류의 안감 및 속옷으로 사용되는 섬유 예) 여름 의류, 속옷 및 내의 소재 등 |
163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자동차용 플라스틱 소재 |
기초화학제품을 합성하여 추출한 중간체 및 원제를 합성․가공하여 자동차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가공형․중간형 소재 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 |
164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정밀 화학용 필름 |
초내열성 및 초내한성을 지니고 있는 고분자재료의 화학용 필름 예) PET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차량용 윈도우 필름 등 |
165 |
정밀석유 화학소재 |
친환경 접착제 제품 |
본드나 석면 등에 포함된 인체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는 접착제 예) 생체 추출 아교 함유 접착제 등 |
166 |
기능성 화학소재 |
라미네이팅 필름 |
사진, 잉크젯 출력물 등에 적합한 라미네이팅 콜드 필름 예) 라미네이팅 필름 등 |
167 |
기능성 화학소재 |
발수코팅액 |
물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환경에 사용되는 발수코팅액과 같은 제품 예) 발수코팅제 등 |
168 |
기능성 화학소재 |
코팅용 분말 |
촉매용 산화알루미늄 분말소재 예) 촉매용 코팅분말 등 |
169 |
기능성 화학소재 |
폴리에스터 섬유 |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중합물을 원료로 한 섬유 예) 신사복 정장 소재, 셔츠 소재 등 |
□ 바이오/의료
구분 |
기술분류 |
품목명 |
설명 |
170 |
기능복원ㆍ보조 및 복지기기 |
웰니스를 위한 셀프케어 피트니스 시스템 |
질병치료의 '헬스케어 2.0'시대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헬스케어 3.0'시대로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자카드에 의한 개인을 인지 후 피트니스 센터에서 유산소 운동 및 웨이트 운동 시 운동량과 운동이력을 자동으로 기록하고, 웨이트 운동 시 운동 보조 및 사고 예방이 가능한 피트니스 시스템 예) 웰니스를 위한 셀프케어 피트니스 시스템 등 |
171 |
기능복원ㆍ보조 및 복지기기 |
의료용 3D프린터 |
인공뼈, 인공치아, 인공관절 부품, 의료용 스텐트, 스캐폴드, 맞품형 수술가이드, 프로브, 신체모형 제작 등 밀 의료기기에 사용되는 고정밀을 요구하는 다양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는 의료용 3D프린터 예) 의료용 3D프린팅 등 |
172 |
기능복원ㆍ보조 및 복지기기 |
임플란트 및 생체 재료 |
인공치아 식립과 복원을 위한 임플란트, 크라운 재료 및 치골 재생을 촉진하는 생체재료 예) GBR (인공치골), Zirconia block (인공치아재료), Implant (인공치주) |
173 |
산업바이오 |
IoT지능공간에서 빅데이터 기반 개방형 감정 정보 수집, 인식, 분석, 추천 엔진 |
IoT 지능공간에서 발생하는 감정 측정 분석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자동 수집 및 분석하여 서비스 추천을 위한 통합 카테고리에 Mapping이 가능한 추론 엔진 및 플랫폼 연동을 위한 개방형 엔진(프레임워크) 솔루션 예) 음식/교육/Wellness 등 감정 상태에 따른 개인 맞춤형 결합 서비스,아동 대상 판매 제품과 결합된 추천 서비스(아동감정상태에 따른 도서/서비스 추천) 등 |
174 |
의료정보 및 시스템 |
CDISC 국제 표준형식을 만족하는 글로벌 임상시험 EDC (전자자료수집) 시스템 |
다국가, 다기관 임상시험 수행이 가능하도록 임상시험의 관리와 운영, 시험 결과 정보를 국제표준인 CDISC (Clinical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 규격에 맞춰 시스템에 반영하고, 장비 및 시스템간 데이터 연동을 통해 빠르고 정확한 정보처리가 가능한 글로벌 임상시험 EDC (전자자료수집) 시스템 예) CDISC 국제 표준형식을 만족하는 글로벌 임상시험 EDC (전자자료수집) 시스템 등 |
175 |
의약바이오 |
면역화학적 진단 시스템 |
질환의 진단/원인규명/치료를 목적으로 20 종 이상의 체액내 물질에 대하여 그 농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면역분석 자동화 시스템 기술 예) 면역화학적 진단 시스템등 |
176 |
치료기기 및 진단기기 |
구강붕해 필름형 약물전달 기술 |
구강붕해 필름형 발기부전치료제 및 기술로 일반 TABLET에 비해 흡수율이 양호하고 약효발현시간이 짦음 예) 센돔, 불티나 등 |
177 |
치료기기 및 진단기기 |
디지털 PCR 기반 산전 염색체이상 검사 키트 |
산전 염색체 이상질환 선별검사 (다운증후군 등)에서 양수 세포배양 없이 최단시간에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digital PCR 기반 검사 키트 예): digital PCR 기반 산전 염색체이상 검사 키트 등 |
178 |
치료기기 및 진단기기 |
무통증 휴대용 인슐린 주입 디바이스 |
당뇨 환자수가 세계적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기존의 혈당 조절을 위한 인슐린 주입은 대부분 바늘을 사용한 주사식 인슐린 주입 기술로 바늘을 사용하지 않고 인슐린을 통증없이 주입하는 환자 친화적 혈당조절 디바이스 예) 무통증 휴대용 인슐린 주입 디바이스등 |
179 |
치료기기 및 진단기기 |
알러지 진단키트 |
흡입/음식/아토피에 의한 알러르기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최소의 채혈량과 짧은 검사시간으로 1회 검사에 50여종 이상의 알러르기를 진단할 수 있는 라인형 다중진단 키트 예) 알러지 진단키트등 |
180 |
치료기기 및 진단기기 |
일회용 연성내시경 및 시스템 |
위장내시경 및 대장내시경시 수퍼박테리아 예방, 전염성환자에 적용하는 일회용 연성 내시경 시스템 예)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등 |
181 |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 가스 |
바이오매스, 유기물질 등을 혐기 발효하여 발생되는 가스로부터 만드는 연료 예) 바이오가스 등 |
182 |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 액체연료 |
바이오매스, 유기물질 등을 바이용하여 발효시키거나 생리 화학적인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액상 연료 예) 바이오알코올, 바이오디젤 등 |
□ 에너지/자원
구분 |
기술분류 |
품목명 |
설명 |
183 |
태양광 |
발전용 LED 및 부품 |
태양광 발전에 주로 사용되는 빛을 발하는 다이오드와 부품 예) LED, 태양광 모듈 등 |
184 |
태양광 |
전류차단기 및 부품 |
과전류를 감지하는 전자석 방식의 자동차단기 및 부품 예) 과전류 자동 차단기, 열감지식 전류 차단기 등 |
185 |
태양광 |
전력변환장치 |
전력변환장치는 태양전지 모듈에서 태양으로부터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그 모듈에서 생산된 직류 전기를 교류 전기로 변환하는 장치 예) 인덕터, 전류변환장치 등 |
186 |
태양광 |
태양광 집열판 |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기기(온수 코일 포함)와 관로 도중에 전기 히터를 설치하는 장치 예) 집열판, 집열기 등 |
187 |
태양광 |
편광재료판 |
치우쳐 있지 않는 빛이나 임의의 편광에서 완전 편광을 만드는 광학소자 예) 편광판 등 |
188 |
중소형풍력 |
발전기용 AVR |
중대형 계측 및 제어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의 전압을 안정시키는 장치 예) 중대형 발전기용 AVR 등 |
189 |
중소형풍력 |
정지형 변환기 |
전기에너지의 유용성을 높이고 응용하기 위해 변환하는 장치 예) 정류기, 인버터, 교류변환기, 직류변환기 등 |
190 |
중소형풍력 |
풍력발전기용 부품 |
풍력발전용 엔진 및 부품 세트 예) 풍력터빈용 변속기, 롤러 스크루, 토크컨버터, 나셀, 블레이드, 베어링, 허브 등 |
191 |
연료전지 |
고정식 축전기 |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직류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또는 전류의 주파수와 축전기의 용량에 따라 교류의 흐름을 조절하는데 사용 예) 탄탈륨, 알루미늄 전해, 세라믹 유전체, 탄소피막형 등 |
192 |
연료전지 |
연료전지 모듈 |
연료전지 스택을 포함하며 운송기기나 발전시스템으로 통합될 목적을 가진 조립품 예) 자동차용 연료전지 모듈 |
193 |
이차전지 |
모바일용 이차전지 및 소재 |
모바일 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니켈-철, 니켈-수소, 리튬이온 축전지 등의 전지와 소재 예) 태블릿 PC용 전지, 휴대폰 전지 등 |
194 |
이차전지 |
이차전지 부품 |
이차전지를 작동 및 구성하는 패키징 및 부품 소재 예) 파우치 필름, 캔 외장재, 리드탭, 집전체 등 |
195 |
이차전지 |
이차전지 성능평가 시스템 |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성능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스템 예) 이차전지 안전성평가시스템, 이차전지 모바일 진단 시스템 등 |
196 |
이차전지 |
이차전지 BMS 연동 서비스 |
전기자동차 등에서 사용되는 이차전지 BMS(Battery Manage- ment System) 장치의 전지 모니터링 및 제어정보를 스마트그리드에 연동하여 스마트폰 등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예) 전기차 충전소 알림 서비스, 모바일 연동 BMS 서비스 등 |
197 |
에너지저장장치 (ESS) |
PCS |
PCS는 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Power Conditioning System으로 표기되며, DC를 AC로 변환해 주는 인버터 기능 외에 AC를 DC로 변환해 주는 기능도 포함. 이 이외에 전력계통에서 요구하는 전원의 품질 수준과 Battery가 요구하는 충․방전 전류를 조절하는 기능도 포함 예) 전력변화 시스템 |
198 |
에너지 기계 |
가스터빈 및 응용제품 |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가스터빈 및 응용제품 예) 발전용 가스터빈 등 |
199 |
에너지 기계 |
산업용 건조기 및 부품 |
적외선 램프의 복사열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장비와 같이 산업용으로 쓰이는 건조기 및 부품 예) 산업용 건조기 등 |
200 |
에너지 기계 |
수력터빈 부품 |
터빈의 일종으로 물의 역학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원동기의 부품 예) 수력터빈 부품, 수차 부품 등 |
201 |
에너지 기계 |
원자로용 교체형 부품 |
핵분열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장치 설비의 부품 예) 원자로용 냉각체, 제어봉 등 원자로 부품 등 |
202 |
에너지 기계 |
온수가열기 및 부품 |
증기나 온수(발열체)의 공급을 받아 열을 발산시키는 난방 장치 및 부품 예) 투입식가열기, 초고효율 온수가열기, 방열기 등 |
203 |
에너지 기계 |
특수목적용 롤러 베어링 및 부품 |
회전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기계요소 및 부품 예) 테이퍼드 롤러 베어링, 복합베어링, 플레인 베어링, 니들 롤러베어링 등 |
멘토링 프로그램 개요 |
□ 지원목적
◦ 중소기업에 기술, 투자, 특허, 디자인, 마케팅 등에 관한 기술 및 경영관련 멘토링을 제공하여 주관기관의 사업화 성공률 제고
□ 지원내용
멘토링분야 |
주요내용 |
특징 |
기술사업화 (R&BD 멘토링) |
·각 주관기관에 맞는 맞춤형 기술사업화 멘토링을 통해 기술사업화 지원 |
·기술역량분석 ·기술사업화 추진전략 ·기술금융지원(보증지원 가능시) |
투자유치 전략수립 및 IR |
·투자유치 가능성 진단 및 투자유치 전략 수립 ·미래 재무계획 및 투자유치전략 수립 ·사업계획서 및 투자유치 실무 코칭 ·IR지원 및 투자유치 세부협상 자문 |
·투자자 시각에서 현실적인 투자유치 가능성 진단 ·실질적인 자금조달 과정 진행 |
해외진출 마케팅 |
·기업 해외진출 역량 및 해외진출 수요 파악, 타겟시장 선정 ·타겟시장 조사, 해외 마케팅 사업 참가를 통한 해외 진출 지원 |
·해외 바이어, 파트너 발굴, 매칭 기회 부여 ·해외무역관과 연계, 수출성약 창출 지원 |
모바일기반 서비스기술 및 사업화 |
·SW특화 모바일서비스기획·개발 멘토링(모바일앱 및 디바이스 탑재 SW) ·개발된 제품에 대한 사업타당성 분석(Biz모델진단) 및 마케팅 전략수립Insight 제공 |
·상용화 목적의 우수 모바일 서비스 개발 및 시장 안착을 위한 맞춤형 멘토링 ·제품 판매채널 및 마케팅 연계 지원 |
특허(IP) 경영전략 |
·특허 및 지식재산권 관리, R&D기획 및 시장관리전략 수립 지원 |
·특허(IP) 경영전략 ·특허(IP) 기반 R&D지원전략 멘토링 |
디자인 컨설팅 |
·각 주관기관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디자인 모듈 제공 |
·융합디자인 (기술+디자인) 전략 및 개발 제공 |
* 멘토링프로그램 분야 및 내용은 향후 변경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