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

중소기업청 2016년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hmc 2015. 12. 31. 17:00

 

중소기업청 2016년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중소기업청 2016년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신청자격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신청방법

☞ 아임스타즈 홈페이지(http://www.imstars.or.kr) : 회원가입 → 로그인 → 상품정보 등록 → 해당 지원사업 신청 → 온라인자가진단 → 상품선택 → 사업별 추가 제출서류 등록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지원제외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공지사항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문의처

◦ 시행기관 : ㈜중소기업유통센터 마케팅지원실 / 우 158-721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309

* 자세한 자료는 아임스타즈 홈페이지(http://www.imstars.or.kr) 참조

※ 유통센터 세부사업별 담당자 문의처 :

 

 

1.초기제품 시장진입 지원 사업

사업개요

◦ 검증되지 않은 초기제품을 선별하여 시장조사, 판매전략수립, 제품개선의 단계별 지원을 통해 혁신제품의 시장진입 촉진

지원규모 : 500개 제품

지원대상

◦ 중소기업이 국내 제조위탁하여 생산한 소비재 완제품으로써 3개월 이내에 국내시장 유통망 입점이 가능한 15개 제품군 (붙임 1 참조)

* 지원제외 품목 : 주류, 의약품, 의료기기 등

지원내용 * 단계별 평가를 통해 선별 지원

◦ 시장 조사 : 기술개발 제품 등 초기제품에 대해 소비자 온라인 조사, 갱서베이 조사 등을 통해 시장정보 분석 지원 (500개 제품)

◦ 판매전략수립 : 혁신제품에 대해 마케팅 전문기관유통사 MD를 활용하여 가격, 제품, 유통 등 '판매전략수립' 지원 (250개 제품)

◦ 제품개선 : 성능디자인품질 등 상품성 향상 지원 (50개 제품)

지원조건

구 분

사업비 분담내역

정부 보조금

업체 부담금

총사업비

시장 조사

100%

   

판매전략수립

3.6백만원(80%)

0.9백만원(20%)

4.5백만원

제품개선

12.6백만원(70%)

5.4백만원(30%)

18백만원

 

추진일정

구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시장성조사

전략수립

제품개선

1차

1.18∼3.15

4월

5∼6월

6~9월

7~10월

2차

3.16∼4.30

5월

6∼7월

7~10월

8~11월

3차

5.1∼6.15

7월

7∼8월

8~11월

9~12월

4차

6.16∼7.31

8월

8∼10월

9~12월

10~12월

* 상기 일정의 경우 업체모집 상황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2. 중소기업제품 홍보지원

사업개요

◦ 품질과 성능이 우수한 중소기업제품을 발굴하여 온오프라인 매체에 판촉홍보함으로써 중소기업 제품의 인지도 향상 및 판매 확대

지원규모 : 828개 제품

지원대상

◦ 국내 중소기업이 제조한 소비재 완제품 및 소프트웨어 제품

* 지원제외 품목 : 주류, 건강보조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 원부자재 등

지원내용

(방송매체) 공중파, 케이블, 공영홈쇼핑 채널 등의 홍보 프로그램을 통해 '아이디어 혁신제품' 집중홍보 (170개 제품)

*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률, 홍보 효과, 목적 등을 고려하여 매체 선정

** TV방송 채널 홍보시 업체부담금 납부, 그 외 매체는 무료 홍보

(인쇄매체) 중소기업 제품이 소비자에게 오래 기억될 수 있도록 신문, 잡지 등에 이야기 방식, 주제별 구성 등 기획홍보 (408개 제품)

(뉴미디어) 인터넷모바일 기반의 블로그, 페이스북 등 뉴미디어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우수제품 홍보 (250개 제품)

지원조건

구 분

사업비 분담내역

정부 보조금

업체 부담금

TV방송홍보(공중파/ TV홈쇼핑)

80%

20%

* TV방송 프로그램의 홍보비 단가가 달라 업체 분담금액 상이함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매체연계

비고

중기제품 홍보지원

2.1~7.31

격월

매월

3개 매체 패키지 지원

 

 

3. 중소기업 브랜드 지원

사업개요

◦ 중소기업의 공동상표 개발 및 홍보를 지원함으로써 중소기업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향상과 브랜드 가치 제고

지원규모 : 18개 브랜드

지원대상

◦ 공동상표를 도입이용하고자 하는 5개 이상 중소기업자의 상표 대표자

-「중소기업협동조합법」제 3조에 의한 중소기업협동조합

- 공동상표를 사용하는 사업에 선도하여 참여하는 중소기업자

- 중소기업자들이 공동상표에 관한 사업을 추진할 목적으로 설립한 법인

* 지원제외 업종 : 무도장, 골프장, 스키장, 도박장 등을 운영하는 업종

** 브랜드지원 사업참여 횟수는 2013년 이후 최대 5회까지로 제한

지원내용

◦ (공동상표 개발) 공동 마케팅을 위해 네이밍 개발홍보

◦ (공동상표 홍보) TV, 신문 등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 마케팅

지원조건

구 분

사업비 분담내역

정부 보조금

업체 부담금

총사업비

공동상표 개발

36.3백만원이내(70%)

15.5백만원(30%)

51.8백만원(100%)

공동상표 홍보

36.3백만원이내(70%)

15.5백만원(30%)

51.8백만원(100%)

공동상표 해외판로개척

63.6백만원이내(70%)

27.3백만원(30%)

90.9백만원(100%)

* 총사업비 초과 금액은 업체부담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상표개발홍보

완료보고

브랜드 지원

1.18~2.29

3월

4~11월

12월

 

 

4. 중소기업제품 전용 판매장 운영

사업개요

◦ 중소기업제품 전용 판매장인 '아임쇼핑 정책매장'을 통해 창업 및 혁신기업이 생산한 혁신제품의 시장검증과 유통망 연계지원

지원규모 : 16개 매장

지원대상

◦ 해당 판매장에서 판매 가능한 제품을 제조하는 중소기업과 그 제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

* 지원제외 품목 : 수입제품, 1차 식품 등

지원내용

◦ 자체 판매장이 없거나 신상품의 신규 시장진출이 필요한 중소기업에게 제품을 팔 수 있는 판매공간 제공

-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독립매장 형식으로 운영, 중기제품의 소비자 인지도 제고 및 판촉홍보기회 제공

◦ 입점기업 대상 바이어 초청 구매상담회 등 연계 판매 지원

< '16년 중기제품 전용 판매장 운영계획(안) >

구 분

판매장 입점위치 (샵인샵 매장)

비 고

면세점

인천공항(서편동편), 인천 2항, 시내 면세점내 4개

7개소

대형 유통점

행복한백화점, 하나로마트 양재점삼송점

3개소

교통시설 등

부산역, 휴게소(화성·금산·칠곡·경주), 청주

6개소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입점

판매정산

전용 판매장 운영

연중

격월

매월

매월

 

 

5. 중소기업 오프라인 유통망 진출

사업개요

◦ '창조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에 등록된 혁신제품 DB를 활용하여 대형 유통망에 판매 연계 지원

지원규모 : 판매기획전 10회

지원대상

◦ 중소기업이 제조위탁하여 생산한 소비재 완제품

◦ 국내 제조기업에서 공급받아 판매하는 중소기업

◦ '창조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에 등록된 제품 중에서 유통MD 평가위원회를 거쳐 선정된 오프라인 유통망에 적합한 제품

* 지원제외 품목 : 주류, 의약품, 소프트웨어, 건강보조/기능 식품, 산업재, 원부자재류, 부품 등

지원내용

◦ 대형 유통망과 전문기관이 협력하여 상품기획하고 이를 해당 유통망內 편집매장 방식으로 판매홍보

- 전문기관 : 혁신제품 DB를 활용, 계절테마별 상품기획 제안

- 유통망 : 전문기관이 상품기획 제안을 보완하여 판매홍보하고 시장성이 검증된 제품은 해당 유통망 입점기회 부여

* 최종적인 유통망 연계는 해당 민간 유통망의 협의 후 결정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기획전

유통망 연계

오프라인 유통망 진출

혁신제품DB

수시

수시

3월~

 

 

6. 중소기업 온라인 시장진출

사업개요

◦ 온라인 상세페이지 및 판매관리시스템을 지원하여 중소기업 제품의 쇼핑몰 진출을 촉진하고 판매기획전을 통해 판매성과 제고

지원규모 : 상세페이지 1,000개, 동영상 100개, 상품기획전홍보 61회, 홈쇼핑 무료방송 80개 제품

지원대상

◦ 중소기업이 제조위탁하여 생산한 소비재 완제품

◦ 국내 제조기업에서 공급받아 판매하는 중소기업

* 지원제외 품목 : 주류, 의약품, 소프트웨어, 산업재, 원부자재류, 부품 등

지원내용

◦ (상세페이지동영상) 상세페이지 및 홍보 동영상 무료 제작 지원

◦ (상품기획전) 온라인 쇼핑몰 상품기획전* 및 포털 광고 지원

* 소셜커머스, 오픈마켓, 종합몰 등

◦ (TV홈쇼핑 방송) 판매수수료 인하 및 방송 부대비용 지원

지원조건

구분

온라인 DB제작

(상세페이지, 홍보동영상)

온라인 상품기획전

(온라인몰, 포털사이트, 소셜커머스)

TV홈쇼핑 방송

정부보조금

지원한도

100% 지원(판매기획전 판매수수료는 업체부담)

영상제작비 80%보조

(5백만원 한도)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지원

비 고

상세페이지 제작

1.18~9.30

3~10월

4~12월

◦포털 광고 (4월∼)

◦소셜커머스 신청 접수 (3/2∼9/30)

홍보동영상 제작

3.2~5.1

5월

6~12월

온라인 상품기획전

상세페이지 및 혁신제품DB

3~10월

3~12월

TV홈쇼핑 방송

3.2~5.1

3~8월

4~12월

* 사업진행 상황에 따라 신청·접수 일정 변동 가능

 

7. 중소기업 구매상담회판매전 지원

사업개요

◦ 중소기업 관련 조합단체가 개최하는 유통업체와의 구매상담회 및 상품 판매전을 통해 유통채널 입점 및 판매기회 제공

지원규모 : 26회

지원대상

◦ 상담회판매전 참여업체 : 국내에서 생산 활동을 하는 제조기업

- 백화점, 대형마트 등 대형유통망에 입점 가능한 품목에 한함

◦ 상담회 개최단체 : 협동조합, 협회 등 중소기업 관련 단체

* 지원 제외대상 : 정부지원기관에서 동일 사업으로 중복 지원받는 경우

지원내용

◦ (구매상담회) 중소기업 조합단체의 구매상담회 개최

◦ (특별판매전) 유통업체 또는 장외 판매장을 활용한 판매전

◦ (판로지원 종합대전) 중소기업 우수제품 종합전시박람회

* 주요내용 : 판로유공자 포상, 제품전시회, 구매상담회, 마케팅 세미나

지원조건

구 분

사업비 분담내역

정부 보조금

업체 부담금

총사업비

구매상담회

25백만원 이내(70%)

11백만원(30%)

36백만원(100%)

판매전

15백만원 이내(80%)

4백만원(20%)

19백만원(100%)

판로지원 종합대전

 

부스비(30∼50만원)

 

* 총사업비 초과금액 업체부담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행사 개최

완료보고

상담회판매전

1.18~2.29

3월

3~12월

12월

판로지원종합대전

3.2~5.18

5월

6월

7월

 

 

8. 창조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 운영

사업개요

◦ 중소기업의 혁신제품을 발굴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중소기업과 국내외 유통채널(MD)들이 서로 쉽게 만날 수 있도록 '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 운영

지원규모 : 5,000개 제품

지원대상

◦ 중소기업이 제조위탁하여 생산한 소비재 완제품으로 '창조 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에 등록 신청한 제품

◦ 국내 제조기업에서 공급받아 판매하는 중소 유통기업이 등록 신청한 제품

* 지원제외 품목 : 주류, 의약품, 소프트웨어, 건강보조기능 식품, 산업재, 원부자재류, 부품 등

지원내용

◦ '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 등록신청 제품을 선정평가한 후상품력이 우수한 제품은 온오프라인 판매기획전 참여기회 부여

* 신청 제품은 유통 MD가 상품성, 시장성 등을 평가한 후 DB화

◦ 유통채널(MD)들이 실시간으로 혁신제품 정보를 검색·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전문기관에서 계절별주제별 상품기획 제안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혁신제품DB화

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

연중

수시

수시

 

 

9. 중소기업 공동A/S 지원

사업개요

◦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고도 체계적인 A/S시스템을 갖추지 못하는 중소기업을 위해 A/S상담처리를 지원하는 A/S망 구축운영

지원규모 : 683개 업체

지원대상

◦ 국내 공장에서 지원대상 14개 제품군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으로써 자체 A/S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기업

◦ 지원대상 14개 제품군 : 생활제품군, 주방가전군 등 (붙임 1 참조)

* 지원 제외대상 : 해외에서 생산된 제품, 건설부자재, 부품, 중간재, 의류, 일회성ㆍ소모성 생활 소비재 등 A/S 해당여부를 판단하기 곤란한 제품

지원내용

◦ (A/S상담) 공동A/S콜센터를 통해 제품 사용법, 고장, 교환 등 처리

◦ (A/S처리) 전국적인 142개 A/S망을 구축하여 고장제품 수리

◦ (교육제품개선) 참여기업의 A/S 역량강화 및 잦은 고장 제품에 대한 제품개선 지원

지원조건

구 분

사업비 분담내역

정부 보조금

업체 부담금

총사업비

제품개선

15백만원 이내(70%)

6.4백만원(30%)

21.4백만원(100%)

* 총사업비 초과금액 업체부담

추진일정

구 분

신청접수

선정평가

사업시행

완료보고

공동A/S지원

연중

분기별 2회

3~12월

12월

제품개선

3~4월

5~6월

7~12월

12월

 

 

초기제품시장진입공동A/S지원 지원대상 제품군 현황

 

구 분

제품군 세부내역

비고

1

생활가전군

세탁기, 건조기, 청소기, 에어콘, 가습기, 디지털도어락, 방범경보기, 전기다리미, TV, 보일러, 선풍기, 온열기기, 난방기기 등 다수

공통

2

주방가전군

냉장고, 전기밥솥, 음식물처리기, 가스레인지, 전기레인지, 전자레인지, 오븐, 식기세척기, 정수기, 커피메이커 등 다수

3

AV기기군

프로젝터, 셉터박스, 블루레이플레이어, 이어폰, 헤드폰, 홈씨어터, 오디오, 카셋트, 라디오, 스피커, 캠코더 등 다수

4

PC군

네트워크, 노트북, 모니터, 방송장비, 복사기, 복합기, 서버, 스캐너, FAX, 프린터, 전자칠판, DID 등 다수

5

멀티

미디어군

학습기, 디지털카메라, 무전기, 전자사전, 전자책, mp3, PMP, PDA, 스마트기기 등 다수

6

차량용품군

내비게이션, 차량용블랙박스, 하이패스단말기, CAR TV, GPS수신기, 차량용DMB 수신기 등 다수

7

조명기기군

학습용 스탠드기기, 인테리어 스탠드기기, 형광등, 백열등, 사인조명, 가로등기기 등 다수

8

가구군

사무용 책상, 침대, 의자, 기능성 의자, 탁자, 진열장, 수납장

9

유아용품군

카시트, 블록, 교육완구, 놀이완구, 동작완구, 승용완구, 유모차, 이유식기기, 젖병살균기, 유축기 등 다수

10

스포츠

용품군

캠핑용품, 등산용품, 낚시용품, 골프용품, 헬스기기,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스키용품, 구기용품 등 다수

11

생활용품군

행거, 선반, 옷걸이, 욕실용품, 건조대, 수납용품, 청소도구, 세탁소품, 진열대, 아이스박스, 보온병 등 휴대용 생활용품, 프라이팬, 냄비 등 주방용품 등

12

건강

보조기기군

찜질기기, 안구건조보호기, 안마기, 약포장기기, 체온계, 체중기 등

초기

제품

시장

진입

13

주방용품군

주방수납, 키친툴, 칼/도마, 주방잡화, 식기/홈세트, 밀폐용기, 냄비, 조리도구, 컵, 프라이팬, 물병 등

14

뷰티용품군

화장품, 향수, 바디용품, 헤어, 뷰티소품, 이미용 기기 등

15

가공식품군

과자류, 면류, 음료류, 즉석조리식품, 통조림, 견과류 등

16

의료기기군

혈당측정기, 혈압측정기, 찜질기기, 의료용냉장고, 약포장기기, 치과용카메라, 초음파기기 등

공동

A/S

지원

17

소프트웨어군

시스템소프트웨어, 개발용소프트웨어, 응용소프트웨어, 교육용컨텐츠, 콘텐츠개발업(교육, 생활, 문화, 게임, 디지털출판물) 등

18

산업용장비군

산업용펌프, 컴프레셔, 산업용계측기, 산업용로봇, 산업용 컴퓨터, 산업용 모터 등

 

 

 

한마음경영연구원은 각 분야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선의 기업 지도로 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1. 나라장터 쇼핑몰(다수공급자제도/조달우수)등록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2. 벤처, 이노비즈 인증으로 자금확보, 세금감면 등의 각종 혜택

3. 정책지원, 국가연구개발(R&D)사업으로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

4. ISO9001,14001인증으로 기업 신뢰도 향상과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