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수배수장치,탈취기,여과기,팬코일유닛,펠릿연소기,소각로,하수처리장치,항온항습기,혼합기교반기 직접생산확인기준
탈수배수장치,탈취기,여과기,팬코일유닛,펠릿연소기,소각로,하수처리장치,항온항습기,혼합기교반기, 중기간경쟁제품 직접생산확인기준 |
중소기업청 고시2015-70호(2015.12.31.일부개정)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직접생산 확인기준입니다.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직접생산 확인기준 분류 | ||||
제품군 |
세분류 |
세부분류 | ||
제품명 |
물품분류번호 |
품명 |
세부품명번호 |
세부품명 |
탈수및 배수장치 |
47101525 |
탈수및 배수장치 |
4710152507 |
디스크형농축기 |
4710152503 |
디칸터형원심탈수기 | |||
4710152501 |
벨트프레스탈수기 | |||
4710152502 |
스크루프레스형탈수기 | |||
4710152504 |
원심농축기 | |||
4710152506 |
중력식벨트농축기 | |||
4710152505 |
필터프레스탈수기 | |||
탈취기 |
40161605 |
탈취기 |
4016160501 |
탈취기 |
통상여과기 |
47109970 |
상향류식여과장치 |
4710997001 |
상향류식여과장치 |
47109972 |
섬유여과기 |
4710997201 |
섬유여과기 | |
40161502 |
워터필터 |
4016150201 |
워터필터 | |
팬코일유닛 |
40101708 |
팬코일유닛 |
4010170801 |
팬코일유닛 |
펠릿연소기기 |
40102098 |
나무보일러 |
4010209801 |
나무펠릿보일러 |
40101866 |
온풍난방기 |
4010186601 |
온풍난방기 | |
폐기물소각로 |
47101529 |
소각로 |
4710152901 |
소각로 |
40101850 |
화장로 |
4010185001 |
화장로 | |
하수처리장치 및구성품 |
47109976 |
경사판침강장치 |
4710997601 |
경사판침강장치 |
47109979 |
드럼스크린 |
4710997901 |
드럼스크린 | |
47109991 |
디스크스크린 |
4710999101 |
디스크스크린 | |
40161607 |
배연탈황기 |
4016160701 |
배연탈황기 | |
24101712 |
벨트컨베이어 |
2410171201 |
벨트컨베이어 | |
47101542 |
부상분리장치 |
4710154201 |
부상분리장치 | |
47101513 |
산소발생기 |
4710151301 |
산소발생기 | |
47109997 |
수중포기기 |
4710999701 |
수중포기기 | |
47109998 |
스컴제거기 |
4710999801 |
스컴제거기 | |
24101730 |
스크루컨베이어 |
2410173001 |
스크루컨베이어 | |
47101536 |
슬러지수집기 |
4710153601 |
슬러지수집기 | |
24101714 |
에어컨베이어 |
2410171401 |
에어컨베이어 | |
47109965 |
여과사인양기 |
4710996501 |
침사인양기 | |
47109990 |
염소가스중화장치 |
4710999001 |
염소가스중화장치 | |
47109964 |
오수처리용산기장치 |
4710996401 |
오수처리용산기장치 | |
47101522 |
용수처리장치 |
4710152201 |
일체형폐수처리장치 | |
40161701 |
원심분리기 |
4016170101 |
원심분리기 | |
24101746 |
이동식컨베이어 |
2410174601 |
이동식컨베이어 | |
47109980 |
제진기 |
4710998001 |
제진기 | |
24101722 |
체인컨베이어 |
2410172201 |
체인컨베이어 | |
47109987 |
평면스크린 |
4710998701 |
평면스크린 | |
47109978 |
협잡물처리기 |
4710997801 |
협잡물처리기 | |
47109989 |
호퍼 |
4710998901 |
호퍼 | |
47101501 |
활성탄장비 |
4710150102 |
활성탄공급장치 | |
항온항습기 |
40101715 |
항온항습기 |
4010171501 |
항온항습기 |
혼합기및 교반기 |
47101512 |
혼합기및교반기 |
4710151201 |
교반기 |
4710151202 |
혼합기 |
55 |
탈수 및 배수장치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탈수 및 배수장치의 직접생산은 철재류, 모터, 탈수장치 등을 구입하거나 자체생산하고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과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75 - 임대공장은 실태조사 시 최근 결산서 재무제표 상 임차보증금 및 임차료가 계상되어 있어야 함. - 제조시설면적 165㎡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시설 |
① 천정크레인,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용접기, 설계설비(CAD)중 세부품명 5가지 이상은 5종 이상, 세부품명 5가지 미만은 4종 이상 보유 ② 재무제표 상 취득금액이 2천만원 이상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 유형자산감가상각비명세서 (세무사확인 원본)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포함) : 5인 이상
② 기술자격증 보유 인원 : 2인 이상 (대표자 기술자격증 보유시 포함) ※ 별첨 기계류 관련 자격증 적용(제품별)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기계류 관련 자격증 (별첨 27-1 참조)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 제작→조립 및 용접→완제품 생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 제작→조립 및 용접 →완제품생산 | ||
기 타 |
①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월평균 12만원 이상 |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55-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천정크레인 |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횡목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크레인으로서 2톤이상 중량물이라도 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는 기계보유 |
2 |
선반 |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장착하여 주로 날붙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공작물을 정밀 가공할 수 있는 기계 보유 |
3 |
밀링 |
다수의 절삭날을 가진 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설치한 공작물을 좌우ㆍ상하ㆍ전후로 이동하면서 절삭 가공하는 기계보유 |
4 |
드릴머신 |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 보유 |
5 |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 알곤, 가스, CO2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용기계로서 전기용접기는 5KW이상, 알곤용접기는 150A이상, CO2용접기는 150A이상 보유 |
6 |
절곡기 |
만능 판금 굽힘 기계 보유 |
7 |
절단기 |
공작물을 자르는 장비 보유 <톱기계, 모형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워터젯, 샤링머신, 절단용 선반 중 1대> |
8 |
설계설비(CAD) |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만든 제품을 그래픽 화면이나 컴퓨터 인쇄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유 |
[ 별첨 55-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제작시방서 또는 규격서에 따라 설계설비(CAD)를 이용하여 제작 도면을 작성하는 공정 |
2 |
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 |
제작에 소요되는 원재료와 부분품을 발주 및 구입하는 공정 |
3 |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 제작 |
원재료 및 부분품을 필요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투입 공정 장소 또는 조립장소 등에 운반하고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을 제작도면에 따라 가공 및 제작하는 공정 |
4 |
조립 및 용접 |
케이싱 및 구성부품을 조립장비 또는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 |
5 |
완제품 생산 |
상기의 공정을 마치고 포장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6 |
출고 |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적재 장소 또는 수요자에게 이송하는 공정 |
56 |
탈취기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탈취기의 직접생산은 철재류, 탈취제, 송풍기 등을 구입하거나 자체 생산하고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구조물 등과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75, 29174 중 1개 이상 기재 - 임대공장은 실태조사 시 최근 결산서 재무제표 상 임차보증금 및 임차료가 계상되어 있어야 함. - 제조시설면적 165㎡ 이상 단, 탈취용량 50m3/min 미만 제품의 경우 제조시설면적 100m2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시설 |
① 천정크레인,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용접기, 설계설비(CAD)중 세부품명 5가지 이상은 5종 이상, 세부품명 5가지 미만은 4종 이상 보유 ② 재무제표 상 취득금액이 2천만원 이상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 유형자산감가상각비명세서 (세무사확인 원본)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포함) : 5인 이상
② 기술자격증 보유 인원 : 2인 이상 (대표자 기술자격증 보유시 포함) ※ 별첨 기계류 관련 자격증 적용(제품별)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기계류 관련 자격증 (별첨 27-1 참조)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구조물 등 제작 →조립 및 용접→완제품 생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구조물 등 제작→조립 및 용접→ 완제품생산 | ||
기 타 |
①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월평균 12만원 이상 |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56-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천정크레인 |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횡목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크레인으로서 2톤이상 중량물이라도 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는 기계보유 |
2 |
선반 |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장착하여 주로 날붙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공작물을 정밀 가공할 수 있는 기계 보유 |
3 |
밀링 |
다수의 절삭날을 가진 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설치한 공작물을 좌우ㆍ상하ㆍ전후로 이동하면서 절삭 가공하는 기계보유 |
4 |
드릴머신 |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 보유 |
5 |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 알곤, 가스, CO2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용기계로서 전기용접기는 5KW이상, 알곤용접기는 150A이상, CO2용접기는 150A이상 보유 |
6 |
절곡기 |
만능 판금 굽힘 기계 보유 |
7 |
절단기 |
공작물을 자르는 장비 보유 <톱기계, 모형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워터젯, 샤링머신, 절단용 선반 중 1대> |
8 |
설계설비(CAD) |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만든 제품을 그래픽 화면이나 컴퓨터 인쇄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유 |
[ 별첨 56-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제작시방서 또는 규격서에 따라 설계설비(CAD)를 이용하여 제작 도면을 작성하는 공정 |
2 |
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 |
제작에 소요되는 원재료와 부분품을 발주 및 구입하는 공정 |
3 |
구조물 등 제작 |
원재료 및 부분품을 필요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투입 공정 장소 또는 조립장소 등에 운반하고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을 제작도면에 따라 가공 및 제작하는 공정 |
4 |
조립 및 용접 |
케이싱 및 구성부품을 조립장비 또는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 |
5 |
완제품 생산 |
상기의 공정을 마치고 포장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6 |
출고 |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적재 장소 또는 수요자에게 이송하는 공정 |
57 |
통상여과기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통상여과기의 직접생산은 철재류, 펌프, 여과재 등을 구입하거나 자체 생산하고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구조물 등과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75 - 임대공장은 실태조사 시 최근 결산서 재무제표 상 임차보증금 및 임차료가 계상되어 있어야 함. - 제조시설면적 165㎡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시설 |
① 천정크레인,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용접기, 설계설비(CAD)중 세부품명 5가지 이상은 5종 이상, 세부품명 5가지 미만은 4종 이상 보유 ② 재무제표 상 취득금액이 2천만원 이상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 유형자산감가상각비명세서 (세무사확인 원본)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포함) : 5인 이상
② 기술자격증 보유 인원 : 2인 이상 (대표자 기술자격증 보유시 포함) ※ 별첨 기계류 관련 자격증 적용(제품별)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기계류 관련 자격증 (별첨 27-1 참조)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구조물 등 제작 →조립 및 용접→완제품 생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구조물 등 제작→조립 및 용접→ 완제품생산 | ||
기 타 |
①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월평균 12만원 이상 |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57-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천정크레인 |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횡목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크레인으로서 2톤이상 중량물이라도 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는 기계보유 |
2 |
선반 |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장착하여 주로 날붙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공작물을 정밀 가공할 수 있는 기계 보유 |
3 |
밀링 |
다수의 절삭날을 가진 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설치한 공작물을 좌우ㆍ상하ㆍ전후로 이동하면서 절삭 가공하는 기계보유 |
4 |
드릴머신 |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 보유 |
5 |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 알곤, 가스, CO2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용기계로서 전기용접기는 5KW이상, 알곤용접기는 150A이상, CO2용접기는 150A이상 보유 |
6 |
절곡기 |
만능 판금 굽힘 기계 보유 |
7 |
절단기 |
공작물을 자르는 장비 보유 <톱기계, 모형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워터젯, 샤링머신, 절단용 선반 중 1대> |
8 |
설계설비(CAD) |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만든 제품을 그래픽 화면이나 컴퓨터 인쇄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유 |
[ 별첨 57-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제작시방서 또는 규격서에 따라 설계설비(CAD)를 이용하여 제작 도면을 작성하는 공정 |
2 |
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 |
제작에 소요되는 원재료와 부분품을 발주 및 구입하는 공정 |
3 |
구조물 등 제작 |
원재료 및 부분품을 필요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투입 공정 장소 또는 조립장소 등에 운반하고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을 제작도면에 따라 가공 및 제작하는 공정 |
4 |
조립 및 용접 |
케이싱 및 구성부품을 조립장비 또는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 |
5 |
완제품 생산 |
상기의 공정을 마치고 포장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6 |
출고 |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적재 장소 또는 수요자에게 이송하는 공정 |
58 |
팬코일유닛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팬코일유닛의 직접생산은 철판류, 배관류, 송풍기, 열교환기, 필터 등을 구입하거나 자체 생산하고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케이싱 등과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72 - 임대공장은 실태조사 시 최근 결산서 재무제표 상 임차보증금 및 임차료가 계상되어 있어야 함. - 제조시설면적 165㎡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시설 |
① 천정크레인,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용접기, 설계설비(CAD)중 세부품명 5가지 이상은 5종 이상, 세부품명 5가지 미만은 4종 이상 보유 ② 재무제표 상 취득금액이 2천만원 이상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 유형자산감가상각비명세서 (세무사확인 원본)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포함) : 5인 이상
② 기술자격증 보유 인원 : 2인 이상 (대표자 기술자격증 보유시 포함) ※ 별첨 기계류 관련 자격증 적용(제품별)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기계류 관련 자격증 (별첨 27-1 참조)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케이싱 등 제작 →조립 및 용접→완제품 생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케이싱 등 제작→조립 및 용접→완제품생산 | ||
기 타 |
①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월평균 12만원 이상 |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58-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천정크레인 |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횡목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크레인으로서 2톤이상 중량물이라도 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는 기계보유 |
2 |
선반 |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장착하여 주로 날붙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공작물을 정밀 가공할 수 있는 기계 보유 |
3 |
밀링 |
다수의 절삭날을 가진 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설치한 공작물을 좌우ㆍ상하ㆍ전후로 이동하면서 절삭 가공하는 기계보유 |
4 |
드릴머신 |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 보유 |
5 |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 알곤, 가스, CO2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용기계로서 전기용접기는 5KW이상, 알곤용접기는 150A이상, CO2용접기는 150A이상 보유 |
6 |
절곡기 |
만능 판금 굽힘 기계 보유 |
7 |
절단기 |
공작물을 자르는 장비 보유 <톱기계, 모형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워터젯, 샤링머신, 절단용 선반 중 1대> |
8 |
설계설비(CAD) |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만든 제품을 그래픽 화면이나 컴퓨터 인쇄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유 |
[ 별첨 58-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제작시방서 또는 규격서에 따라 설계설비(CAD)를 이용하여 제작 도면을 작성하는 공정 |
2 |
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 |
제작에 소요되는 원재료와 부분품을 발주 및 구입하는 공정 |
3 |
케이싱 등 제작 |
원재료 및 부분품을 필요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투입 공정 장소 또는 조립장소 등에 운반하고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을 제작도면에 따라 가공 및 제작하는 공정 |
4 |
조립 및 용접 |
케이싱 및 구성부품을 조립장비 또는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 |
5 |
완제품 생산 |
상기의 공정을 마치고 포장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6 |
출고 |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적재 장소 또는 수요자에게 이송하는 공정 |
59 |
펠릿 연소기기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펠릿 연소기기의 직접생산은 원재료인 철판, 내화재 등과 부분품인 모타(송풍기), 버너 등을 구입,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 생산한 부분품인 연소실(열교환기, 버너) 등과 함께 절단(외주가능), 용접(외주불가), 조립(외주불가), 도장(외주가능) 등 각 생산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50, 25121, 25130(3개 중 1개 이상) - 제조시설면적 100㎡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
생산시설 |
①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 ② 전기용접기 또는 CO2 용접기 ③ 드릴머신 ④ 절단기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고정형 천정크레인 제외)
- 임차한 천정크레인의 경우 설비 사용계약서 등 확인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제외) : 1인 이상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자재입고→절단→용접→조립→도장→제품검사→납품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용접→조립→제품검사→납품 | ||
기 타 |
|
| |
|
[ 별첨 59-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 |
원자재 및 제품을 들어 올려 아래위나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로 2톤 이상 들어올릴 수 있는 능력보유 |
2 |
전기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기용접 전용기계로서 5KW이상 능력보유 |
3 |
CO2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CO₂가스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CO₂용접 전용기계로서 300A이상 능력보유 |
4 |
드릴머신 |
원자재 및 금속에 구멍을 뚫는 기계로서 1HP 이상 능력보유 |
5 |
절단기 |
원자재인 철판을 절단하는 장비로서 산소 용접기 이상 또는 플라즈마 용접기이상 능력 보유 |
[ 별첨 59-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수요기관의 사양과 시방서에 의하여 설계 |
2 |
자재입고 |
설계에 따른 제작에 필요한 원자재 조달 |
3 |
절단 및 용접 |
설계에 맞춰 원자재 절단(외주가능) 및 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공정 |
4 |
조립 및 도장 |
가공된 부품별 제품을 조립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장(외주가능)하는 공정 |
5 |
제품검사 |
제작도면에 맞게 제작되었는지를 측정 및 검사하는 공정 |
6 |
납품 |
검사를 마친 완제품을 납품하는 공정 |
60 |
폐기물 소각로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폐기물소각로의 직접생산은 원재료인 철판, 내화벽돌 등과 부분품인 연소버너, 송풍기, 필터 등을 구입,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 생산한 부분품인 연소실, 방지시설 등과 함께 절단(외주가능), 용접(외주불가), 조립(외주불가), 도장(외주가능) 등 각 생산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50 - 제조시설면적 100㎡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
생산시설 |
① 호이스트 또는 크레인 ② 전기용접기 ③ CO2 용접기 ④ 드릴머신 ⑤ 절단기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고정형 천정크레인 제외)
- 임차한 천정크레인의 경우 설비 사용계약서 등 확인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제외) : 생산직 1인 이상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자재입고→절단→용접→조립→도장→제품검사→납품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용접→조립→제품검사→납품 | ||
기 타 |
|
| |
|
[ 별첨 60-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크레인 또는 호이스트 |
원자재 및 제품을 들어 올려 아래위나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로 2톤 이상 들어올릴 수 있는 능력 보유 |
2 |
전기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기용접 전용기계로서 5KW이상 능력보유 |
3 |
CO₂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CO₂가스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CO₂용접 전용기계로서 300A이상 능력보유 |
4 |
드릴머신 |
원자재 및 금속에 구멍을 뚫는 기계로서 1HP 이상 능력보유 |
5 |
절단기 |
원자재인 철판을 절단하는 장비로서 산소용접기 이상 또는 플라즈마용접기 이상 능력 보유 |
[ 별첨 60-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수요기관의 사양과 시방서에 의하여 설계 |
2 |
자재입고 |
설계에 따른 제작에 필요한 원자재 조달 |
3 |
절단 및 용접 |
설계에 맞춰 원자재 절단(외주가능) 및 용접기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공정 |
4 |
조립 및 도장 |
가공된 부품별 제품을 조립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장(외주가능)하는 공정 |
5 |
제품검사 |
제작도면에 맞게 제작되었는지를 측정 및 검사하는 공정 |
6 |
납품 |
검사를 마친 완제품을 납품하는 공정 |
61 |
하수처리장치 및 구성품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하수처리장치 및 구성품의 직접생산은 철재류(비금속인 경우 비금속자재류), 모터(불필요한 경우 제외), 감속기(필요한 경우) 등을 구입하거나 자체 생산하고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과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75, 29163 - 임대공장은 실태조사 시 최근 결산서 재무제표 상 임차보증금 및 임차료가 계상되어 있어야 함. - 제조시설면적 165㎡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시설 |
① 천정크레인,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용접기, 설계설비(CAD)중 세부품명 5가지 이상은 5종 이상, 세부품명 5가지 미만은 4종 이상 보유 ② 재무제표 상 취득금액이 2천만원 이상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 유형자산감가상각비명세서 (세무사확인 원본)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포함) : 5인 이상
② 기술자격증 보유 인원 : 2인 이상 (대표자 기술자격증 보유시 포함) ※ 별첨 기계류 관련 자격증 적용(제품별)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기계류 관련 자격증 (별첨 27-1 참조)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 제작→조립 및 용접→완제품 생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 제작→조립 및 용접 →완제품 생산 | ||
기 타 |
①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월평균 12만원 이상 |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61-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천정크레인 |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횡목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크레인으로서 2톤이상 중량물이라도 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는 기계보유 |
2 |
선반 |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장착하여 주로 날붙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공작물을 정밀 가공할 수 있는 기계 보유 |
3 |
밀링 |
다수의 절삭날을 가진 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설치한 공작물을 좌우ㆍ상하ㆍ전후로 이동하면서 절삭 가공하는 기계보유 |
4 |
드릴머신 |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 보유 |
5 |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 알곤, 가스, CO2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용기계로서 전기용접기는 5KW이상, 알곤용접기는 150A이상, CO2용접기는 150A이상 보유 |
6 |
절곡기 |
만능 판금 굽힘 기계 보유 |
7 |
절단기 |
공작물을 자르는 장비 보유 <톱기계, 모형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워터젯, 샤링머신, 절단용 선반 중 1대> |
8 |
설계설비(CAD) |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만든 제품을 그래픽 화면이나 컴퓨터 인쇄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유 |
[ 별첨 61-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제작시방서 또는 규격서에 따라 설계설비(CAD)를 이용하여 제작 도면을 작성하는 공정 |
2 |
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 |
제작에 소요되는 원재료와 부분품을 발주 및 구입하는 공정 |
3 |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 제작 |
원재료 및 부분품을 필요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투입 공정 장소 또는 조립장소 등에 운반하고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을 제작도면에 따라 가공 및 제작하는 공정 |
4 |
조립 및 용접 |
케이싱 및 구성부품을 조립장비 또는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 |
5 |
완제품 생산 |
상기의 공정을 마치고 포장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6 |
출고 |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적재 장소 또는 수요자에게 이송하는 공정 |
62 |
항온항습기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항온항습기의 직접생산은 판재류, 배관류, 필터, 코일, 히터, 모터, 송풍기 등을 구입하거나 자체 생산하고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케이싱 등과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72 - 임대공장은 실태조사 시 최근 결산서 재무제표 상 임차보증금 및 임차료가 계상되어 있어야 함. - 제조시설면적 165㎡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시설 |
① 천정크레인,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용접기, 설계설비(CAD)중 세부품명 5가지 이상은 5종 이상, 세부품명 5가지 미만은 4종 이상 보유 ② 재무제표 상 취득금액이 2천만원 이상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 유형자산감가상각비명세서 (세무사확인 원본)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포함) : 5인 이상
② 기술자격증 보유 인원 : 2인 이상 (대표자 기술자격증 보유시 포함) ※ 별첨 기계류 관련 자격증 적용(제품별)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기계류 관련 자격증 (별첨 27-1 참조)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케이싱 등 제작 →조립 및 용접→완제품 생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케이싱 등 제작→조립 및 용접→완제품생산 | ||
기 타 |
①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월평균 12만원 이상 |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62-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천정크레인 |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횡목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크레인으로서 2톤이상 중량물이라도 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는 기계보유 |
2 |
선반 |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장착하여 주로 날붙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공작물을 정밀 가공할 수 있는 기계 보유 |
3 |
밀링 |
다수의 절삭날을 가진 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설치한 공작물을 좌우ㆍ상하ㆍ전후로 이동하면서 절삭 가공하는 기계보유 |
4 |
드릴머신 |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 보유 |
5 |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 알곤, 가스, CO2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용기계로서 전기용접기는 5KW이상, 알곤용접기는 150A이상, CO2용접기는 150A이상 보유 |
6 |
절곡기 |
만능 판금 굽힘 기계 보유 |
7 |
절단기 |
공작물을 자르는 장비 보유 <톱기계, 모형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워터젯, 샤링머신, 절단용 선반 중 1대> |
8 |
설계설비(CAD) |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만든 제품을 그래픽 화면이나 컴퓨터 인쇄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유 |
[ 별첨 62-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제작시방서 또는 규격서에 따라 설계설비(CAD)를 이용하여 제작 도면을 작성하는 공정 |
2 |
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 |
제작에 소요되는 원재료와 부분품을 발주 및 구입하는 공정 |
3 |
케이싱 등 제작 |
원재료 및 부분품을 필요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투입 공정 장소 또는 조립장소 등에 운반하고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을 제작도면에 따라 가공 및 제작하는 공정 |
4 |
조립 및 용접 |
케이싱 및 구성부품을 조립장비 또는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 |
5 |
완제품 생산 |
상기의 공정을 마치고 포장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6 |
출고 |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적재 장소 또는 수요자에게 이송하는 공정 |
63 |
혼합기 및 교반기 직접생산확인기준 |
□ 직접생산 정의
혼합기 및 교반기의 직접생산은 철재류, 모터, 감속기, 임펠러 등을 구입하거나 자체 생산하고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자체 제작한 구조물 등과 조립 및 용접 공정 등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29175 - 임대공장은 실태조사 시 최근 결산서 재무제표 상 임차보증금 및 임차료가 계상되어 있어야 함. - 제조시설면적 165㎡ 이상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시설 |
① 천정크레인,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용접기, 설계설비(CAD)중 세부품명 5가지 이상은 5종 이상, 세부품명 5가지 미만은 4종 이상 보유 ② 재무제표상 취득금액이 2천만원 이상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 유형자산감가상각비명세서 (세무사확인 원본)
- 결산서 또는 재무제표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포함) : 5인 이상
② 기술자격증 보유 인원 : 2인 이상 (대표자 기술자격증 보유시 포함) ※ 별첨 기계류 관련 자격증 적용(제품별)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기계류 관련 자격증 (별첨 27-1 참조)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설계→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구조물 등 제작 →조립 및 용접→완제품 생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설계→구조물 등 제작→조립 및 용접→완제품생산 | ||
기 타 |
①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월평균 12만원 이상 |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63-1 ]
생산시설 세부설명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천정크레인 |
건물의 길이에 따라 벽에 설치한 2줄의 레일에 교량형 횡목을 걸쳐서 주행시키는 크레인으로서 2톤이상 중량물이라도 달아 올려 운반할 수 있는 기계보유 |
2 |
선반 |
회전하는 축(주축)에 공작물을 장착하여 주로 날붙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공작물을 정밀 가공할 수 있는 기계 보유 |
3 |
밀링 |
다수의 절삭날을 가진 커터를 회전시켜 테이블 위에 설치한 공작물을 좌우ㆍ상하ㆍ전후로 이동하면서 절삭 가공하는 기계보유 |
4 |
드릴머신 |
공작물에 구멍을 뚫기 위하여 사용하는 공구 보유 |
5 |
용접기 |
원자재 접합 등을 위해 전기, 알곤, 가스, CO2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전용기계로서 전기용접기는 5KW이상, 알곤용접기는 150A이상, CO2용접기는 150A이상 보유 |
6 |
절곡기 |
만능 판금 굽힘 기계 보유 |
7 |
절단기 |
공작물을 자르는 장비 보유 <톱기계, 모형절단기, 레이저절단기, 워터젯, 샤링머신, 절단용 선반 중 1대> |
8 |
설계설비(CAD) |
컴퓨터에 입력된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설계에 따라 만든 제품을 그래픽 화면이나 컴퓨터 인쇄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보유 |
[ 별첨 63-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설계 |
제작시방서 또는 규격서에 따라 설계설비(CAD)를 이용하여 제작 도면을 작성하는 공정 |
2 |
원재료 및 부분품 구입 |
제작에 소요되는 원재료와 부분품을 발주 및 구입하는 공정 |
3 |
구조물 등 제작 |
원재료 및 부분품을 필요한 경우 크레인을 이용하여 투입 공정 장소 또는 조립장소 등에 운반하고 선반, 밀링, 드릴머신, 절곡기,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또는 케이싱 등을 제작도면에 따라 가공 및 제작하는 공정 |
4 |
조립 및 용접 |
케이싱 및 구성부품을 조립장비 또는 용접기 등을 이용하여 조립 및 용접하는 공정 |
5 |
완제품 생산 |
상기의 공정을 마치고 포장 등 완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6 |
출고 |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적재 장소 또는 수요자에게 이송하는 공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