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627)정수장비 규격서 조달청다수공급자계약mas용
정수장비 규격서 조달 다수공급자계약(MAS)용 |
정수장비세트 규격서
2016. 06
0000주식회사
0000시 0구 000동 000번지
TEL: 000-000-0000 / FAX: 000-000-0000
정수장비 세트 규격서
1. 적용범위 및 분류
1.1 적용범위
이 규격은 소규모 마을 상수도 및 학교, 관공서. 군부대 등 각 수요기관의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곳에 설치하여 먹는물 기준에 적합한 최상의 음용수를 공급 하는데 적용한다.
1.2 분류(업체별 생산 제품에 따라 작성)
물품분류번호 |
품 명 |
세부품명 |
물품식별번호 |
규격명 |
용 도 |
인도조건 |
47101514 |
정수장비 세트 |
정수장비 세트 |
|
정수장비 세트 |
농어촌,학교, 민방위등비상 급수시설 등에 사용 |
|
2. 적용자료 및 문서
다음의 인용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KS B 0428 가스 절단 가공 강판 보통 허용치
KS B 1503 강제 용접식 플랜지
KS B 1522 일반 배관용 강재 맞대기 용접식 관 이음쇠
KS B 1533 나사식 강관재 관 이음쇠
KS B 1545 동 및 동합금 플레어 관 이음쇠
KS B 1549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그립식 관 이음쇠
KS B 7505 입형 다단 원심펌프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KS D 3528 전기 아연 도금 강판 및 강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판
KS D 3705 열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KS M 9242 정밀 여과 필터 시험방법
KS M 1421 입상 활성탄
KS C IEC 60335-1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기기기의 안전성
KWWA A 103 수도용 기구 내압 성능 시험방법
수질공정시험법(먹는물 수질기준의 시험 방법)
3. 필요조건(업체별 생산 제품에 따라 작성)
식별 번호 |
규격명 |
시공두께/규격치수 |
( )당 자재 소요량 |
주재료 공 급 자 |
원산지 | ||
|
| ||||||
|
|
| |||||
|
|
|
|
|
|
|
|
|
|
|
|
|
|
|
|
비고 : 식별번호는 제조업체의 식별번호에 따른다.
3.1 형태
이 정수장치의 기준은 소규모․마을상수도 및 학교, 관공서, 군부대등 각 수요기관의 먹는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곳에 설치하여 먹는 물 기준에 적합한 최상의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 시스템으로 현장 설치 여건에 따라 다소 형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기본형으로 외부 컨테이너 형으로 내부에 시스템을 구축하여 제작 되는 일체형의 정수 처리 장치 이다. 또한 내부는 기본적인 구조물 과 여러 가지 필터를 포함하고, 시스템 제어를 위한 보드가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형태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제작 되어야 한다.
가. 하우징
정수처리 설비의 하우징은 STS 304로 제작하며 배관규격은 정수처리 용량에 적합 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나. 배관
정수처리설비의 고도정수처리 멤브레인 필터 배관은 PB로하고 그외 배관은 STS 304로 제작 설치하며 정수처리 용량과 음용수에 적합 하도록 설치하여야한다.
다. 자동 볼 밸브
정수처리 설비의 자동 Solenoid 밸브를 부착하여 전기적 신호로 밸브를 조작하는 형식이며 본 밸브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인공 지능적으로 각각의 여과 과정에 적합하게 작동되어야 한다.
라. 전자 압력 및 전자온도
정수장치 작동정보 등을 위해 압력, 온도 등은 전자식으로 PLC에 자동저장 되어야 하며, 정수장치 사용정보와 함께 데이터 검색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마. PLC 프로그램 제어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부착 하여, 정수처리 장치의 구성도를 쉽게 알 아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동작 상황 등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야 하며, 음성기능을 이용하여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원격관리를 위해 외부에서 쉽게 접근 할 수 있어야 하며, 원격제어 및 누적 데이터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한다.
그리고, PLC 에러와 고장 발생을 고려하여, 수동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바. 고도정수처리필터(멤브레인 필터)
정수처리설비의 핵심부분으로 0.0001 미크론의 중금속과 바이러스 이온성분 미생물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음용수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사. 압력베셀
정수처리설비의 압력베셀은 FRP or STS 304로 제작하고 압력에 견딜 수 있게 설계 제작되어야 한다.
아. 컨테이너
정수처리설비의 컨테이너는 부식방지코팅 컨테이너로 보온, 환기, 동파방지 기능이 포함된 제품이어야 한다.
자. 정수처리설비의 본체
정수처리설비의 본체는 도면과 같이 제작하고 필터 및 부품을 탈부착하기 쉽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설치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차. 원수 및 처리수 채수
정수장치 수질 검사를 위해 원수와 처리수를 채수 할 수 있도록 밸브를 부착해야 한다.
3.2 제조 및 가공
이 시스템은 배관구성 및 유량 흐름 제어를 할 수 있는 밸브를 포함 하고 있으며, 필터구성을 위한 필터 하우징을 제작 설계 하여 시스템이 가공 된다.
특히 배관구성은 먹는 물 관리법 시행규칙에 의하여 배관을 선정 용접 제작 되어져야 하며, 유지 관리를 위해 탈부착이 편리하도록 제작 되어야 한다.
특히 필터 하우징에 있어 필터 소모품 교체가 쉽게 이뤄질 수 있도록 설계 제작 되어야 하며, 견고한 스테인리스 재질을 이용 하도록 한다.
3.3 주요부품의 성능과 기능
3.3.1 전처리 여과의 가변필터(Changeable Filter System)
가. 전처리 과정의 가변필터 장치(Changeable Filter System)의 사용
나. 유입수가 1차적으로 녹이나 흙, 모래, 먼지를 비롯한 각종 찌꺼기, 미생물, 박테리아, 산화물 등 미크론 크기의 미세한 불순물까지 여과되어야 한다.
다. 2차 멤브레인 필터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멤브레인 수명을 연장시켜야 한다.
라. 필터의 장시간 사용에 있어서, 불순물의 누적 방지와 필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역 세척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마. 무인으로 작동 될 수 있도록 자동 역세척 되고, 불순물 배출을 위한 배수 배관이 구비 되어야 한다.
바. 유입원수의 압력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를 부착해야 한다.
사. 필터의 기공을 수축 할 수 있는 실린더 장치가 부착되어야 한다.
3.3.2 2차 1.0마이크로 필터(백필터 형)
가. 역삼투 분리막을 보호하기 위해 1.0 마이크로 필터를 사용하여 잔류 탁도성분을 완전 제거해야한다.
나. 필터의 수명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세정을 쉽게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야 하며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 필터의 하우징을 분해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되어 필터교환이 용이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3.3.3 연수 장치(Softner System)
가. 2차 연수 장치(Softner System)의 사용
나. 물(지하수) 속에는 많은 양의 무기물, 유기물이 이온상태로 존재하는데, 특히 양이온의 경도 성분을 2차적으로 제거하여 멤브레인 필터의 수명과 효율을 급격히 저하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 자동 역 세척과 재생을 할 수 있고, 배수로를 구비해야 한다.
라. 수동 역 세척 및 재생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스위치 형태로 조절가능 해야 한다.
마. 원수 유입량에 적절한 수지량이 설계 되어야 한다.
바. 원수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3.3.4 역삼투 필터
가. 1차 가변필터와 2차 연수 장치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3차 멤브레인 필터로 공급 되어야한다.
나. 1차, 2차 여과 과정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R/O 필터로 공급되면 무인으로 작동되어 지는 정수장치는 인공 지능적으로 즉, 프로그램화된 자동제어 방식으로 운전 되어야 한다.
다. 공급된 원수는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하여 0.001 미크론의 이상의 유해물질은 여과되고 최상의 음용수만이 멤브레인 필터의 처리수로 토출되어야 한다.
라. 중금속과 바이러스 이온성분 미생물 등의 오염물질이 99%이상 제거되어야 한다.
마. 모든 정수처리 과정은 인공지능적인 프로그램으로 자동제어 되고, 수동운전이 가능해야 한다.
바. 멤브레인 필터의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스케일 누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물리적인 세정(Flushing) 과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사. 최적의 음용수와 농축수 및 역세척수를 분리 시 킬 수 있도록 배관을 구비해야 한다.
3.3.5 Air 컴프레셔(Compressure)
가. 자동압력은 컨트롤 되어야 한다.
나. 정수처리 용량에 절적한 탱크용량을 갖아야 한다.
다. 기계접지를 해야 하며, 압력계와 레귤레이터를 부착해야 한다.
라. 압축공기의 오일을 제거 할 수 있는 오일제거 필터를 부착해야 한다.
3.3.6 컨테이너
가. 부식방지 코팅 컨테이너로 보온, 환기, 동파방지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나. 내부를 쉽게 관찰 할 수 있도록 유리 창문이 구비되어야 한다.
다. 출입제한을 위한 시건 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라. 누수와 여름철 결로 등을 쉽게 배출 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 되어야 한다.
3.3.7 R/O(Reverse Osmosis) 펌프
가. 1차와 2차 3차 여과과정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멤브레인으로 가압 공급하여야 한다.
나. 펌프의 주요 부품은 부식 되지 않도록 스테인리스 제질 이어야 한다.
다. 유입수 압력과 가압압력에 따라 프로그램화되어 작동 되어야 한다.
라. 누전사고를 예방 할 수 있도록 기계 접지를 반드시 해야 한다.
3.3.8 기타 부품
가. 하우징
1) 하우징은 STS 304로서 정수처리설비 가동 중 일어날 수 있는 각종 하중이나 압력 등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제작되어야 한다.
2) 설치된 하우징은 보수 및 유지관리에 편리하여야 하며, 가동 중 수압이나 진동에 정적, 동적 균형을 이루도록 제작 되어야 한다.
3) 관리자가 쉽게 전처리필터를 교환하기 쉬운 구조를 가져야 한다.
나. 펌프류
1) 정수처리설비의 동작을 위하여 원수를 가압펌프 및 R/O(Reverse Osmosis) 펌프로 공급 되어야 한다.
2) 모든 펌프는 정수처리설비의 가동 시 정수처리용량에 맞게 유입수를 공급해줘야 하며 보수 및 유지관리에 편리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다. 배관
1) 모든 배관자재는 제시된 입찰도면에 의거 K.S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고정시설과 연결되는 관로에는 필요시 신축관이 설치되어야 하고 관로를 최소화하고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배관자재는 정수처리설비의 설계 및 도면에 따르고 고정시설과 연결시에는 고정시설의 관로와 같은 배관자재를 사용하도록 한다.
라. 전자식 압력. 온도 센서
1) 전자온도 와 전자 압력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모니터에 실시간 출력 할 수 있어야 한다.
2) 정수장치 작동 정보 등을 위해 압력, 온도 등은 전자식으로 컴퓨터 메모리에 자동저장 되어야 한다.
3) 정수 장치 사용 정보와 함께 데이터 검색을 할 수 있어야 한다.
4) 컴퓨터의 고장을 대비하여 일반압력계를 동시에 부착해야 한다.
마. 인공 지능적인 PLC 프로그램 제어 및 인터페이스
1) 누구나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부착하여, 정수 처리장치의 구성도를 쉽게 알 아 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2) 동작상황 등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야 한다.
3) 음성기능을 이용하여 쉽게 사용 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4) 원격관리를 위해 외부에서 쉽게 접근 할 수 있어야 한다.
5) 원격제어 및 누적 데이터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어가 가능해야 한다.
6) PLC 에러와 고장발생을 고려하여 수동으로 제어 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 한다.
7) 모니터의 규격은 화면이 쉽게 볼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사이즈(10“)를 갖는다.
8) 무인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Controller에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제한적인 접근이 가능해야 하며, 누구 접근 했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9) 동방방지 및 실내 환기, 가변 필터(V/F)역세척 및 멤브레인 Flushing 기능 등은 프로그램화되어 인공 지능적으로 작동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0) 음성출력 및 캠을 이용한 정수 장치 확인 기능이 있어야 한다.
3.4 기타사항
가. 정수처리설비의 성능을 위해서 규격서에 명시된 사항을 변경하여서는 안되며, 이 외에 대해서는 관련규정이나 제작감독자 및 설계담당자의 지시에 따른다.
나. 정수처리시설의 가동 중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은 당사의 환경문서 기준에 적합 하여야 하고 누수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없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3.5 마감 및 외관
모든 배관은 누수가 없어야 하며, 특히 겨울철 동파 방지를 위해 보온재 및 열선을 보강 하도록 한다.
컨테이너 내부는 보온재가 삽입되어 겨울철 혹한기 대비가 있어야 하며, 내부 발열 등으로 보강설계 되어야하고, 외부는 회색페인팅 되어 부식 방지 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컨테이너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한 최소한의 작업공간이 있도록 설계 되어져야 한다.
3.6 기타사항
가. 정수처리설비의 성능을 위해서 규격서에 명시된 사항을 변경하여서는 안되며, 이 외에 대해서는 관련규정이나 제작감독자 및 설계담당자의 지시에 따른다.
나. 정수처리시설의 가동 중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은 당사의 환경문서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고 누수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없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4. 검사 및 시험
4.1 채수 및 검사
가. 누구나 쉽게 처리수를 채수 할 수 있도록 원수와 처리수에 전용 밸브를 부착하고, 라벨을 부착해야 한다.
나. 정수처리설비의 검사는 제품 설치 후 제품설치전의 원수와 제품설치후의 처리수를 채수하여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4.1.1 검사물의 크기 및 구성방법
검사물은 먹는물 수질기준의 실험항목에 따라 그 양(ℓ)이 정해진다.
4.1.2 시료의 크기 및 채취방법
시료는 정수처리 설비를 통과 하기전 채수밸브의 원수와 정수처리 설비를 통과한 후 채수밸브에서 처리수를 채취하여 의뢰한다.
4.2 시험방법
시험항목 |
품질 기준 |
시험방법 |
별첨 1 참조 |
먹는 물 수질기준 (환경부) |
수질공정 시험법 (환경부) |
5. 포장 및 표시
5.1 포장
완제품은 폴리프로필렌 포장용 랩을 사용하여 운반 시 파손이 없도록 견고하게 포장 하여야한다.
5.2 표시
완제품은 다음 사항을 표시한 알루미늄 인쇄판 또는 스티커를 부착 하여야 한다.
1) 제품명 및 모델명
2) 제조자 및 연락처
3) 제조번호 및 제조일자
6. 용도 및 제원
6.1 용도
가. 농어촌 지역의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나. 학교 및 관공서, 상업시설 등의 상수도용
다. 각 수요기관에 불합격된 수질에 대하여 맑은 물 공급이 필요한 곳
라. 무인으로 작동 및 관리 하는 모든 급수 및 상수도 시설
6.2 발주재원
기본 용량은 10톤에서 200톤으로 하되, 대용량 시설에 대한 증설이 용이하여야 한다.
※ 규격(모델)별로 설치 사진․장소․설치일 표기
※ 상세도면을 첨부하여야 하며, 크기, 규격 등을 명확하게 표기
【별첨 1】먹는 물 수질기준
분류 (46개 항목) |
항 목 |
기 준 |
비 고 |
미생물에 관한 항목 (3) |
일반세균 |
1㎖ 중 100 CFU 이하 |
|
총대장균군 |
불검출/ 100㎖ 불검출/250㎖(샘물,먹는샘물,먹는해양심층수) |
| |
대장균/분원성대장균군 |
불검출/ 100㎖ |
| |
건강상 유해영향 무기물질에 관한 항목 (11) |
납 |
0.01mg/L 이하 |
|
불소 |
1.5mg/L 이하 / 2.0mg/L 이하(샘물,먹는샘물) |
| |
비소 |
0.01mg/L 이하 / 0.05mg/L 이하(샘물) |
| |
셀레늄 |
0.01mg/L이하 |
| |
수은 |
0.001mg/L 이하 |
| |
시안 |
0.01mg/L이하 |
| |
크롬 |
0.05mg/L 이하 |
| |
암모니아성질소 |
0.5mg/L 이하 |
| |
질산성질소 |
10mg/L 이하 |
| |
카드뮴 |
0.005mg/L 이하 |
| |
보론 |
1.0mg/L 이하 |
| |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에 관한 항목 (17) |
페놀 |
0.005mg/L 이하 |
|
다이아지논 |
0.02mg/L이하 |
| |
파라티온 |
0.06mg/L 이하 |
| |
페니트로티온 |
0.04mg/L 이하 |
| |
카바릴 |
0.07mg/L이하 |
| |
1,1,1-트리클로로에탄 |
0.1mg/L 이하 |
| |
테트라클로로에틸렌 |
0.01mg/ L이하 |
| |
트리클로로에틸렌 |
0.03mg/L 이하 |
| |
디클로로메탄 |
0.02mg/L 이하 |
| |
벤젠 |
0.01mg/L 이하 |
| |
톨루엔 |
0.7mg/L이하 |
| |
에틸벤젠 |
0.3mg/L 이하 |
| |
크실렌 |
0.5mg/L 이하 |
| |
1,1-디클로로에틸렌 |
0.03mg/L 이하 |
| |
사염화탄소 |
0.002mg/L 이하 |
| |
1,2-디브로모-3-클로로프로판 |
0.003mg/L 이하 |
| |
1,4-다이옥산 |
0.05mg/L 이하 |
| |
심미적 영향물질에 관한 항목(15) |
경도 |
1,000mg/L 이하(수돗물-300mg/L 이하, 먹는해양심층수,먹는염지하수-1,200mg/L 이하) |
|
과망간산칼륨소비량 |
10mg/L 이하 |
| |
냄새 |
무미 |
| |
맛 |
무취 |
| |
동 |
1mg/L 이하 |
| |
색도 |
5도 이하 |
| |
세제(음이온계면활성제) |
0.5mg/L 이하 / 불검출(샘물,먹는샘물,먹는해양심층수) |
| |
수소이온농도 |
pH 5.8 ~ 8.5 |
| |
아연 |
3mg/L 이하 |
| |
염소이온 |
250mg/L 이하 |
| |
철 |
0.3mg/L 이하 |
| |
망간 |
0.3mg/L 이하 / 0.05mg/L 이하(수돗물) |
| |
탁도 |
1.0 NTU 이하 / 0.5 NTU 이하(수돗물) |
| |
황산이온 |
200mg/L 이하 |
| |
알루미늄 |
0.2mg/L 이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