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

에너지 신산업 R&D 기술확산 전략포럼 발족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 신산업 R&D 기술확산 전략포럼 발족

 

- 에너지 신산업 정책 환경을 반영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

- 사업화 지원을 위한 R&D 지원 방안 모색 - 

 

 

산업통상자원부는 1. 12.(화) “에너지 신산업 기술확산 전략포럼 발대식”열고, 에너지신산업 분야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계획을 발표하는 한편, 성공한 기술개발사업의 사업화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ㅇ 이번 기술전략포럼은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전략(’15.11)’과 ‘파리기후변화당사국총회 합의(’15.12)’ 등 에너지 신산업의 차질 없는 이행 지원을 위한 연구개발(R&D)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마련한 자리로,정책과 연계된 기술개발 추진의 중요성을 관련 전문가들과 공유하고, 향후 5년간의 로드맵 수립, 기술개발 수요 도출, 제도개선 연계 방안 및 사업화 지원 방안을 주요 안건으로 제시했다.

 

 

□ 산업부는 신기후 체제 출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중장기 에너지 정책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을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가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ㅇ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에너지 신산업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기술개발을 보급, 정책과 효율적으로 연계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이번 기술전략포럼을 발족했으며, 향후 약 3개월 동안 약 50여명의 산·학·연 전문가와 에너지 R&D 전담기관(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8개 분과로 나뉘어 운영할 예정이며,

 

□ 추진체계 : 산·학·연·관 전문가 약 50여명 전문가로 구성

(공동위원장) 에너지신산업정책단장, 에너지MD

(포럼위원) 산업계 임원, 연구소 및 대학교수, TP등 전문가 5∼10명으로 구성

(분과구성) ①에너지신산업기술로드맵(6개 분과), ②기술개발 및 보급·정책연계·효율화 방안 마련(2개 분과)

□ 운영기간 : ’16.1∼3월 (약 3개월간, 분과별 4회/월 개최)

 

 

 에너지 신산업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 최근 급변하는 에너지 신산업 정책 대비, 기술개발 부문에서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약점을 보완하고자, 정책 부합성이 강화된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 에너지신산업 관련 주요 정책 현황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신산업 토론회(‘15.11) :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 발표 

경제장관회의(‘15.4) : 에너지신산업 활성화 및 핵심기술 개발전략 발표 

핵심 개혁과제(‘15.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신산업 육성 

VIP 신년 기자회견(’15.1.12) : 에너지 신산업 적극 육성  

VIP 에너지 신산업 대토론회(’14.10) : 에너지 신산업의 중요성 재강조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14.7, VIP보고) : 에너지신산업 창출방안 발표

 

ㅇ 에너지 신산업의 중심에 있는 효율향상, 에너지저장 등 수요관리 기술에 대한 기술개발 로드맵을 기본으로,

 

ㅇ ‘에너지신산업특별법’,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 ‘파리기후변화 당사국총회 합의문(COP21)’ 등의 메가 이슈는 별도 분과를 구성하여, 해당 이슈에서 요구하는 기술요소를 도출하고 해당 기술의 로드맵 작성을 추진한다.

* 로드맵 수립 분과 : ①수요관리, ②ESS, ③에너지신산업특별법 기술요소 도출, ④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 기술요소 도출, ⑤COP21 기술요소 도출, ⑥산업경쟁력강화 기술요소 도출

 

- 특히,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의 제로에너지 빌딩, 친환경 에너지타운, 전기차, ESS, 스마트공장 등 다양한 수요관리 분야의 기술요소를 포함하고 있어 로드맵 수립이 기술개발의 정책 부합성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2030 에너지신산업 확산전략의 4大 분야

에너지 프로슈머

저탄소 발전

전기자동차

친환경 공정

소규모 신재생에너지, ICT 기술 등을 활용하여, 누구나 직접 전기를 생산, 소비, 판매가 가능한 신산업

내 발전의 저탄소화를 위해, 신재생에너지,화력발전 효율화, 차세대 전력 인프라 등 포함

순수 전기차 제조업과 더불어, 전기차 연관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산업도 포함

제조 공장의 효율향상,온실가스 대체하는 공정 전환, 버려지는 미활용열을 사용하는 신개념 산업 등

 

 

기술 사업화 지원 방안 모색

 

□ 로드맵 수립과 더불어, 그간의 기술개발 성과를 사업화하고자 추가 지원 방안도 모색하기로 했다.

* 기술사업화 분과 : ①실증과제 발굴, ②제도개선 및 지원사업 연계 기술수요 발굴

 

ㅇ 우선, 최근 10년간 에너지수요관리 R&D의 성과분석보고서를 작성하여, 우수성과에 대하여 실증과제를 발굴하는 한편,  기술개발 성과, 보급사업 및 제도개선의 효율적 연계를 위해 실증연구를 추진하고 보급사업에 연계한 후, 제도 개선에 반영하는 방안 등으로 실질적인 사업화 지원 전략을 강구하기로 했다.

 

□ 기술개발의 제도개선 연계 전략 

R&D 성과분석 실시

제도 개선 사항 발굴

실증연구

수행

보급사업 연계

제도 개선 실시

에기평

에공단

에기평/수행기관

에공단

에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