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증/KS/단체표준

전자칠판(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규격서/단체표준(SPS-KIBA-001-2031)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전자칠판(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다수공급자계약(MAS)규격서와

단체표준(SPS-KIBA-001-2031)

 

전자칠판(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

다수공급자계약(MAS)규격서 (단체표준적용).

 

 

 

1. 적용범위 및 분류

 

 

1.1 적용범위

이 규격은 강의 또는 회의 등에 사용되는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성능, 품질, 시험방법 및 검사에 대하여 규정한다.

1.2 분류

물품분류번호

세부품명

물품식별번호

규격명

용도

인도조건

44111911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ABC-123

84형 손터치 LED 단독형

컴퓨터칠판

현장설치도

 

2 인용표준

다음에 인용 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하며,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을 적용한다.

1) EMI KN 22 전자파 방사시험

2) EMS KN24 전자파 전도시험

3) K S C IEC 60950-1 전기제품안정성 확인 요구사항,

4)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방법

5) KS Q 1003 랜덤 샘플링 검사방법

 

 

3. 필요조건

 

 

3.1 재료

본 제품의 재료 중 주요 부품인 케이스 및 전기기판 등은 아래의 표와 같거나 동등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1) 재료는 6.2 발주재원에 따른다.

2) 특별히 규정하지 않은 부자재는 도금 또는 도장된 제품 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플라스틱,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재질 등은 예외로 할 수 있다.

3) 터치센서는 옵티컬 이미지 센싱방식, IR 센서방식, 정전용량방식, 압력센서 방식,

전자유도 방식 등이 적용된 제품으로 빠르고 부드러운 판서가 가능해야만 한다.

4) 모든 재료는 기구적으로 견고하여야 하며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5) 제품 종류별 소요자재 및 자율안전확인신고증 및 적합등록필증 여부는 다음 표와 같이 기재하여야 한다.

가. 전면형

규격명

(1대)당 자재소요량

주)재료

공급자

원산지

인증서

인증번호

부분품

규격

소요량

모델명

S/W

       

프로그램등록증

 

보드본체

       

자율안전확인

신고증 및 적합등록필증

 

Touch Sensor

       

USB케이블

   

기타부재료

터치펜

   

메뉴얼

   
     

나. 평판형

규격명

(1대)당 자재소요량

주)재료

공급자

모델명

원산지

인증서

인증번호

부분품

규격

소요량

모델명

S/W

         

프로그램등록증

 

LCD패널

         

자율안전인증

확인서 및 적합등록필증

 

Touch Sensor

         

A/D보드

         

Power보드

         

하우징

         

강화유리

         

USB케이블

   

기타부재료

RGB케이블

   

Power케이블

   

HDMI케이블

   

메뉴얼

   
     

다. 전자교탁(입식 및 좌식)

규격명

(1대)당 자재소요량

주)재료

공급자

원산지

인증서

인증번호

부분품

규격

소요량

모델명

S/W

       

프로그램등록증

 

판서모니터

(LCD패널)

       

자율안전확인신고증 및 적합등록필증(교류)

적합등록필증(직류)

 

컨트롤러

         

앰프

         

전원분배기

       

전기용품안전인증 및 적합등록필증

 

무선마이크

       

송신기 - 적합인증서 수신기 -적합등록필증

 

교탁함체

   

기타부재료

구즈넥마이크

   

스피커(조)

   

USB케이블

   

RGB케이블

   

Power케이블

   

HDMI케이블

   

RCA 케이블

   

LAN 케이블

   

MIC 케이블

   

메뉴얼

   
     

라. 판서모니터형

규격명

(1대)당 자재소요량

주)재료

공급자

원산지

인증서

인증번호

부분품

규격

소요량

모델명

S/W

       

프로그램등록증

 

판서모니터

       

자율안전확인신고증 및 적합등록필증

 

USB케이블

   

기타부재료

RGB케이블

   

메뉴얼

   
     

3.2 형태

화면(화이트보드, LCD, LED, PDP)에 터치센서를 장착하고, 판서용 소프트웨어가 구비 되어 컴퓨터 칠판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써, 형태에 따라 전면형, 평판형, 전자교탁형, 판서모니터형으로 세부 분류한다.

형태는 각 제조사의 설계사양 및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다.

3.3 품질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품질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1) 외관에 흠, 거침, 도장 및 도금의 불량, 접착유동, 녹, 파손, 변형, 가공누락, 명판 탈락과 표시 오기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한다.

2)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위험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형상이 바르고, 조립상태가 양호하며, 또한 동작이 원활하여야 한다.

3) 전기 절연물 및 열 절연물은 접촉 또는 주위 온도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4) 도전 재료는 동 또는 동 합금 혹은 이와 동등 이상의 전기적, 열적 및 기계적인 안전성을 가져야 하고, 녹이 잘 슬지 않아야 한다.

5) 기체 내부의 배선 또는 접속기로 접속한 경우에 유해한 상태가 되지 않아야 한다.

6) 각 부의 동작은 이상이 없어야 하며, 컴퓨터와 쉽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7) 기체 외곽이 절연체로 활용되는 경우에 절연물 두께는 0.8 mm이상이어야 하고, 기체 외곽이 합성 수지일 경우에는 난연성이어야 한다.

8) 전원 전선, 기구간의 연결 전선 및 외부에 노출되는 전선이 들어가는 구멍의 내부에는 보호 스프링, 보호 부싱 또는 기타 적절한 보호 장치를 사용하여 전선을 보호하여야

한다.

9) 기체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동작하는 퓨즈, 과전류 보호 장치 또는 기타 보호장치가 있어야 하며, 이들은 기체의 용량에 적합해야 한다.

10) 나사류, 볼트류 및 너트류와 그 밖의 고정쇠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이완이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조립하여야 한다.

11) 강화유리를 장착하여 DLP, LCD, LED, OLED, PDP 화면을 보호하여 터치 또는 판서 시에 긁힘 또는 파손 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평판형)

12) 전자펜, 손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전자칠판에 판서 시 센서 감지가 원활하여야 한다.

13) 전자칠판 본체에서 나온 유에스비 케이블(USB cable)은 컴퓨터 본체에 연결 후 설치 소프트웨어(install software)를 설치 시 정상적으로 동작되어야 한다.

14) 좌표 인식이 정확히 되어 판서 소프트웨어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야 하며, 색상 변경 및 선의 굵기 조정 기능 등이 정상적으로 동작되어야 한다.

15) 전자칠판 본체의 표면은 매끄럽고 깨끗해야 하며, 흠집이 없어야 한다.

16) 전자칠판 본체는 뒤틀림 또는 휨이 없어야 한다.

17) 센서를 덮고 있는 프레임 또는 고정틀의 색상 및 표면에는 흠집이 없어야 한다.

18) 각종 케이블은 외부 접촉으로 절단되지 않도록 마감처리 하여야 한다.

19) 외부의 결선용 단자는 KS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배선 연결 부분은 압착 단자 및 커넥터로 마감처리 하여야 한다.

20) 설치용 자재는 KS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규격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단, 발주자가 지정한 품목이 있을 경우에는 지정한 품목을 사용하여도 된다.

21) 설치 시 유지보수, 방열 및 방습을 위하여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22) 전자파 방사 및 전자파 전도는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에 적합하여야 한다.

23) 전기용품 안전 관리법에 의한 전기용품 안전 인증을 받은 부품 및 재료를 사용하여 동 안전 인증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24) 케이스 등의 조립 상태는 헐거움이 없고 고정되어야 한다. 화면은 이물질 등으로 오염되지 않아야 한다.

3.4 기능 및 성능

3.4.1 제품의 기능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다음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

1) 유에스비 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빠른 터치구현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 전자펜, 손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터치 및 선 긋기 등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전자펜, 손 또는 도구를 사용하여 컴퓨터 제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4) 판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문서 콘텐츠 및 일반 학습자료 위에 직접 판서할 수 있어야 한다.

5) 좌표 인식을 할 수 있어야 한다.

6) 색상 변경 및 선 굵기 조정을 할 수 있어야 한다.

7) 판서 내용을 디지털화 하여 수정, 편집 및 동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8) 컴퓨터와 쌍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3.4.2 성 능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는 표 3의 시험방법으로 시험하였을 때 다음을 충족하여야 한다.

1) 터치 도구의 굵기는 지름 10 mm (반지름 5 mm) 이하이어야 한다.

2) 판서 위치의 정확도는 7 mm 이내이어야 한다.

3) 터치 시 터치 콘트롤러의 반응시간은 30ms 이하이어야 한다.

4) 계기눈금(calibration) 좌표 설정 범위는 4단계 이상이어야 한다.

5) 강의 진행을 위한 판서 프로그램의 작동은 이상이 없어야 한다.

6)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 및 재생되어야 한다.

7)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장치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4. 검사 및 시험

4.1 일반사항

1) 디스플레이(DLP,LCD,LED,OLED,PDP 등)본체와 터치센서 등, 개별 제품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 단위의 시험에 대하여 규정한다. 시스템 단위의 시험은 형식시험만

실시하며 검수 시험은 실시하지 않는다.

2) 시험은 각 구성품 제조사의 공인성적서, 방송통신 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에 관한 고시(전파연구소 고시 2012-9호, 2012.3.19)에 의한 적합성 등록증 또는 공인시험 기관의 시험성적서로 이를 대신 할 수 있다.

4.2 시험체 및 시험편의 채취 방법

1) 전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할 수 있는 시험 시료를 KS Q 1003(랜덤 샘플링 검사방법) 에 따라 채취한다.

2) 시험체는 구성 부재(S/W포함) 및 구성 부재를 조립한 것을 사용한다. 다만, 구성 부재 에 대하여 시험이 불가능할 경우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시험편을 사용해도 되나, 이

경우 시험편은 구성 부재의 종류가 동일하고 동시에 재료 구성 조건도 동일하여야 한다.

4.3 시험편의 크기 및 구성 방법

발주자에게 매회 납품하는 양을 1로트( lot)로 한다.

4.4 시험방법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시험환경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 사용범위로 정한 온도(18 - 26)℃, 습도 최대65%인 상태에서 시험한다.

4.4.1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적합성은 "방송통신 기자재 등의 적합성 평가에 관한 고시"에 의거 "전자파 적합등록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4.4.2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전기용품 안전성은 KS C IEC 60950-1의 기준에 따라 시험한다.

4.4.3 4에서 규정한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종류별 시험은 표 1의 항목에 적합하여야 한다

표 1 - 종류별 시험방법

시험항목

품질기준

시험방법

터치 인식 및 터치 도구의 두께

터치는 손 터치 또는 터치 도구를 사용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인식되어야 하며, 터치 도구의 두께는 지름 10mm 이하 이어야 한다.

손 터치 또는 터치도구를 이용하여 터치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는지 확인하고, 터치 도구의 지름을 측정단위가 0.1mm 이하인 측정도구(버니어캘리퍼스 등)로 측정한다.

터치 정밀도

실제 터치 포인트와 화면에 표시된 포인트의 간격은 7mm 이내 이어야한다.

100mm 이상의 직선을 그었을 때 그 직선과 화면에 표시되어진 직선과의 간격을 측정단위가 0.1mm 이하인 측정도구(버니어캘리퍼스 등)로 측정한다.

터치 반응 시간

터치시 터치 콘트롤러의 반응 시간이 30ms 이하 이어야 한다.

터치시 터치 콘트롤러의 출력부분을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하거나 범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터치 화면에 손 터치 또는 터치도구를 사용하여 30cm 이상 원을 그려 반응시간을 측정한다.

눈금(Calibration) 좌표설정

계기눈금의 좌표설정은 자동 또는 수동이어야 하며 수동일 경우 범위가 4포인트(point) 이상이어야 한다.

자동 계기눈금의 경우 해상도를 바꾸어 자동으로 계기눈금설정이 됐는지 터치하여 확인한다. 수동 일 경우 계기눈금의 좌표설정을 실행하였을 때 설정 지점이 4포인트 이상인지 확인하고 그 지점이 정상인식 됐는지 터치하여 확인한다.

판서프로그램

강의진행을 위한 판서 프로그램의 작동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판서, 지우개, 녹화, 펜선택, 펜칼라 선택 기능 등 판서프로그램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아이콘을 각각 3회씩 작동하여 확인한다.

저장 및 녹화

저장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 및 재생되어야 한다.

판서된 내용이 연결된 컴퓨터에 이미지 파일 또는 동영상파일로 저장 되는지를 확인한다.

장치 인식율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장치 인식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터치 인식 동작을 실행하여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와 컴퓨터 및 노트북간의 유에스비(USB)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 지는지 확인하고, 전자교탁 형의 경우 컨트롤러, 마이크 등 주변기기들의 작동을 확인한다.

외관(겉모양)

케이스 등의 조립상태는 헐거움이 없고 고정되어야 한다. 화면은 오염 등의 이물질 등이 없어야 한다.

육안으로 검사한다.

4.5 검사

1)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검사는 4에 따라 시험하고, 3.3의 품질 요구사항을 검사하여야

하며, 3.3 및 3.4을 만족하여야 한다.

2)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는 전기용품안전관리법 및 방송통신기자재 대상 품목이므로 이에

대한 인증여부 확인 후 표 1의 품질 기준을 1회 실시한다.

3) 표시사항은 5.2에 따라 검사한다.

 

 

5. 포장 및 표시

5.1 포장

제품이 파손 또는 변형되지 않도록 적정한 완충재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동 중에 제품이 파손되지 않는 포장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

5.2. 표시

제품의 포장 등에는 아래 사항을 표시하여야 한다.

1) 제조사 / 제조국가

2) 제품명

3) 모델명

4) G2B 식별번호

5) 해당될 경우 정부풀품분류번호

6) 제조사 A/S 연락처

7) KC 인증번호

8) KC 인증 받은 자의 상호

9) 단체표준 명칭 및 번호

5.3 주기

제품의 뒷면에는 제조자 표시와 전기안전인증번호, AS 연락처, 제조일등을 주기하여야 한다.

 

 

6. 용도 및 재원 등

 

 

6.1 용도

본 제품의 용도는 디스플레이 된 화면 위에 판서가 가능하고 S/W로 저장이 가능케 하는 제품으로 상세한 사항은 6.2 발주재원에 기술한다.

6.2 발주재원

H/W의 세부재원은 수요처의 요구 및 제조사의 설계사양에 따른다.

6.3 기타 참고사항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SPS-KIBA-001-2031)

단체표준(원안) 일부

 

단체표준 전문은 나라장터쇼핑몰이나 기술표준원 또는 한국전자칠판협회에 문의하세요.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강의 또는 회의 등에 사용되는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성능, 품질, 시험방법 및 검사에 대하여 규정한다.

이 표준은 제품 인증용으로 사용된다.

 

2 인용표준

다음의인용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하며,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을 적용한다.

EMI KN 22 전자파 방사시험

EMS KN24 전자파 전도시험

K S C IEC 60950-1 전기제품안전성 확인 요구사항,

KS M 5000 도료 및 관련 원료의 시험방법

KS Q 1003 랜덤 샘플링 검사방법

 

3 용어와 정의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3.1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Interactive whiteboard)

컴퓨터 및 주변기기와 상호 양방향 작용을 하는 전자칠판 또는 전자교탁 비고 전자칠판과 전자교탁의 구분은 국가기관 조달청에서 식별 적용한다.

3.2 디스플레이(Dispiay)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장치

3.3 디엘피(Digital light processing)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을 이용해 이미지의 고정밀 표시를 구현하는 기술로 거울 하나가 화소(pixel) 하나에 대응되고, 1픽셀에 14∼16㎛의 초소형 거울이 신호에 따라 반사 각도를 조절

하며 이미지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브라운관, 액정, 플라즈마 방식과 완전히 다른 투사 방식임.

3.4 피디피(Plasma display pannel)

기체방전시에 생기는 플라즈마로부터 빛을 방사하여 문자나 그래픽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패널

3.5 엘씨디(Liquid crystal display)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액정을 주입해 배열한 후 전기압력을 가해 각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켜 이때 일어나는 광학적 굴절 변화를 이용하여 숫자•문자•영상 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패널

3.6 엘이디(Light-emitting diode)

반도체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기에너지를 직접 빛으로 변화시키는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전력소모가 적고, 내구성이 우수한 디스플레이 패널

3.7 오엘이디(Organic 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스스로 빛을 내는 현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 고속응답, 광시야각, 고화질, 넓은 구동온도 범위 등 디스플레이로서 필요한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음

 

4 종류

인터랙티브화이트보드의 종류는 표 1과 같다

종 류

설 명

전면형

보드와 센서가 결합된 구조로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보드화면에 영상

신호를 투사하여 디지털 판서, 저장 및 터치를 한다.

평판형

DLP, LCD, LED, OLED, PDP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센서와

강화유리가 화면에 내장된 구조로, 자체에서 영상신호를 표출 하고

디지털판서, 저장 및 터치를 한다.

전자교탁형

교육용 테이블과 터치모니터가 결합된 구조로 자체에서 영상신호를

표출하고 디지털 판서, 저장 및 터치를 한다.

판서

모니터형

모니터와 센서가 결합된 구조로 소형이며, 자체에서 영상신호를 표출

하고 디지털 판서, 저장 및 터치를 한다.

터치센서형

터치센서로 구성된 구조로 영상장비를 이용하여 화면에 영상신호를

투사하여 디지털판서와 저장 및 터치를 한다.

 

 

보다 자세한 단체표준 심사에 대한 문의는 (사)한국전자칠판협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