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목재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
중소기업청 고시 제2015-41호의 직접생산 확인기준입니다.
신청전 꼭 새로운 직접생산 기준을 확인하세요.
한마음경영연구원은 각 분야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선의 기업 지도로 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
1. 나라장터 쇼핑몰(다수공급자제도/조달우수)등록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
2. 벤처, 이노비즈 인증으로 자금확보, 세금감면 등의 각종 혜택 |
3. 정책지원, 국가연구개발(R&D)사업으로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 |
4. ISO9001,14001인증으로 기업 신뢰도 향상과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 |
74 |
합성목재 |
□ 직접생산 정의
합성목재 제품의 직접생산은 원재료[목질섬유(파우더, 섬유, 칩), 수지(열가소성수지)]와 첨가제(보강제, 기타 첨가제)를 구입하여 중간재(컴파운드)를 직접 생산하거나 외부로부터 중간재를 구입하여 이를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압출성형, 냉각, 인취, 절단, 표시 등 각 생산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 16212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
생산시설 |
<생산설비> ① 압출성형설비 ② 냉각설비 ③ 인취설비 ④ 절단설비 ⑤ 후 가공설비 ⑥ 표시설비 ※⑤ 후 가공설비는 외주가능
<검사설비> ① 치수측정기 (강제줄자, 버니어캘리퍼스) ② 만능재료시험기 |
- 임차보유 인정하지 않음 (외주가능 설비 제외)
- 후 가공설비 외주계약시 외주계약서와 매출세금계산서로 확인 - 생산설비의 경우 정상작동 여부 확인(분당 생산량확인)
- 검사설비는 공인검사기관의 교정성적서 확인(단, 강제줄자는 교정성적서 제출 제외)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제외) : 생산직 3인 이상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배합 및 계량→혼합→컴파운드→압출성형→냉각→인취→절단→후 가공→표시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필수 공정 |
압출성형→냉각→인취→절단→후 가공→표시 | ||
기 타 |
① 최근 3년 이내 원재료 또는 중간재 구입실적
② 최근 1년간 전기사용내역
|
- 매입세금계산서 및 원산지표기 거래명세서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
[ 별첨 74-1 ]
생산시설 세부설명
□ 생산설비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압출성형설비 |
중간재를 투입하여 금형을 통해 정확한 압력과 온도로 압출하는 설비 |
2 |
냉각설비 |
압출된 제품을 냉각하여 제품의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는 설비 |
3 |
인취설비 |
압출되는 제품을 당기거나 이송해주는 설비 |
4 |
절단설비 |
제품을 정확한 길이로 재단하는 설비 |
5 |
후 가공설비(외주가능) |
절단이 완료된 제품의 표면을 가공하여 목재 질감으로 표현해 주는 설비 |
6 |
표시설비 |
생산이 완료된 제품에 지정된 표시를 해주는 설비 |
□ 검사설비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치수측정기 |
생산된 합성목재의 치수를 측정하는 장비(강제줄자, 버니어캘리퍼스) |
2 |
만능재료시험기 |
생산된 합성목재의 물리적 강도를 측정하는 장비 |
[ 별첨 74-2 ]
생산공정 세부설명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배합 및 계량 |
합성목재의 주재료인 목질섬유와 열가소성 수지, 첨가제등의 배합량을 정확히 측정하여 정확한 배합비율을 맞추는 공정 |
2 |
혼합 |
배합 및 계량이 끝난 원료를 정확한 혼합시간과 혼합온도를 유지하여 혼합하는 공정 |
3 |
컴파운드 |
홉합이 끝난 원료를 정확한 압력과 온도로 압출하여 중간재를 생산하는 공정 |
4 |
압출성형 |
중간재를 투입하여 금형을 통해 정확한 압력과 온도로 압출하여 합성목재를 생산하는 공정 |
5 |
냉각 |
압출된 합성목재를 정확한 온도(수냉, 공냉)와 시간으로 냉각하여 제품의 요구 성능을 충족시키는 공정 |
6 |
인취 |
압출되는 합성목재를 당기거나 이송하여 압출기를 보조하여 압출이 유지될수 있도록 보조하는 공정 |
7 |
절단 |
인취가 끝난 합성목재를 정확한 요구 길이로 재단하는 공정 |
8 |
후 가공 |
절단이 끝난 합성목재의 표면을 가공하여 목재의 질감으로 표현해주는 공정 |
9 |
표시 |
각 제품과 포장에 지정된 표시법에 따라 표시하는 공정 |
'직접생산/구매공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의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
기동복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가방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화장지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판재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종이제문구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종이포대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방부목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