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승강조명장치 규격서 조달 다수공급자계약(MAS)용 |
MAS 정부조달물품 표준 규격
MAS
세부품명번호 : 3911159901
세 부 품 명 : 자동승강조명장치
표준규격 번호 : 2015-010
조 달 청
2011년12월20일 |
신규 제정 |
2015년12월 일 |
1차 개정 |
규격 심화 검토 내역
품 명 ; 자동승강조명장치
현 행 규 격 내 용 |
개 정 규 격 내 용 (안) |
개 정 사 유 | |||||||||||||||||||||||||||||||||||||||
1.1 적용범위 이 규격은 천정이 높은 건축물(체육관, 공연장, 교회등)에 설치되어 전등의 효율적 유지 관리를 제공하는 유・무선 자동승강조명장치에 대하여 적용한다. |
1.1 적용범위 이 규격은 옥내 조명기구를 구동에 의하여 수직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등기구의 유지·보수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자동승강조명장치에 대하여 적용한다. |
○목록정보시스템에 명기된 표준화된 품명 설명을 인용하여 작성함 | |||||||||||||||||||||||||||||||||||||||
2. 적용자료 및 문서 KS C ICE 60335-1,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전기기기의 안전성- 제1부 : 일반 요구사항 |
2. 적용자료 및 문서 1) KS C 0704 제어 기기의 절연 거리·절연 저항 및 내전압 2) KS C 4204 일반용 단상유도전동기 3) KS C 4202 일반용 저압3상유도전동기 4) KS Q 1003 랜덤 샘플링 검사방법 5) 위험기계ㆍ기구 안전인증 고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5-20호) |
○KS C ICE 60335-1의 적용부분이 없기 때문에 생략하고, 신규 적용된 적용자료 기입
○업체의 자율적인 작성이 가능하도록 함 | |||||||||||||||||||||||||||||||||||||||
3.2 형태 3.2.1접점분리방식 (1) 구동부는 MOTOR (모델에 따라 AC, DC, BLDC MOTOR로 구분), 감속기, 기어어셈블리, 리밋트스위치, 와이어 드럼 등으로 구성된다. (2) 권선부 (a) 다이캐스팅 또는 ABS 재질의 드럼과 SUS 재질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품에 따라서 드럼의 크기, 와이어의 두께가 구분된다. (이하 생략) |
3.1.1 재료일반 (좌 동) |
○기존 규격서의 ‘3.2 형태’의 내용은 일반적인 재료 구성의 사항이기 때문에, ‘3.1.1 재료일반’ 항목으로 이동시킴
○해당제품의 특허정보 및 제품구성을 위해 소요되는 재료에 대한 관련기준을 명시할 수 있도록 함 | |||||||||||||||||||||||||||||||||||||||
3.3 제조 및 가공
|
3.3 제조 및 가공
|
○해당 공정도 추가 | |||||||||||||||||||||||||||||||||||||||
3.4 기능 및 성능 3.4.1 기능 A)접점분리방식 (1) 등기구의 승하강시 스파크발생 및 감전사고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하강동작시 조명등의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승하강 및 조명 ON/OFF 작동시 유선 또는 무선 또는 유.무선 겸용방식을 사용하며, 무선은 FM주파수방식을 채택한다. (2) 승하강 기능은 리모콘 및 무선판넬 또는 수동스위치 조작으로 개별 또는 그룹으로 승․하강 되어야 한다. (이하 생략) |
3.4 기능 및 성능 3.4.1 기능 옥내 조명기구를 구동에 의하여 수직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등기구의 유지·보수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3.4.2. 성능 4.2항 시험방법의 시험항목 및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
○기능과 성능의 혼란을 방지하고자 이를 분류하여, 기능에는 제품 본연의 기능 설명을 기입하고, 성능은 4.2항 시험방법을 따르도록 함 | |||||||||||||||||||||||||||||||||||||||
4.2 시험 방법 4.2.1 기능 및 제품성능 3.4.1 및 3,4,2의 각 항목에 적합하여야하며, 다음에 따른다. (1) 허용하중 시험 해당 모델 허용하중의 1.1배의 조명등을 연결했을 때 정상적으로 승․하강 하여야한다. (2) 무부하 시험 무선 원격 조명릴 하강도중 장애물에 걸리거나 바닥에 닿아 와이어에 무하중이 되었을 때 모터 회전이 정지되어야 한다. (3) 과부하 시험 상승 시 과하중이 실렸을 때 모터회전이 정지되어야 한다. (4) 상하부접점 결합 시험 상승 후 결합되었을 때 조명등의 전원이 켜져야 한다. (5) 상승 시험 수동선 및 리모콘으로 조작 시 정상적으로 상승하여야 한다.(6) 하강 시험 수동선 및 리모콘으로 조작 시 정상적으로 하강하여야 한다. (7) 조명등 전원 ON/OFF 시험 리모콘으로 조작 시 정상적으로 조명 ON/OFF가 되어야 한다. (8) 시험결과는 공인기관의 시험성적서로 갈음할 수 있다. 4.2.2 안전성능 4.2.2.1 접촉전류 및 보호도선 전류: KS C IEC 60950-1 5.1에 따른다. 4.2.2.2 내전압: KS C IEC 60950-1 5.2에 따른다. 4.2.2.3 이상동작 및 고장상태: KS C IEC 60950-1 5.3에 따른다. 4.2.2.4 전자파 장해 및 전자파 내성: KS C IEC 60950-1 8.에 따른다. |
4.2 시험 방법
(이하생략) |
○시험항목, 품질기준, 시험방법으로 세분화하여 기술함
○전기적안전성시험 및 모터 토크시험 추가 | |||||||||||||||||||||||||||||||||||||||
6.2 발주제원 인수·인도 당사자 간에 협의된 재원에 대하여 명기한다. |
6.2 발주제원 본 규격의 기준범위 내에서 수요자의 요구와 공급자의 제조능력에 따라 용량 및 크기와 설치 수량 등을 결정할 수 있다.
|
○제원표 삽입 | |||||||||||||||||||||||||||||||||||||||
해당 없음 |
7. 추가규격(업체 요구 시)
|
○NEP, NET, K마크, 성능인증 등 업체의 추가규격을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도록 항목을 신설 |
자동승강조명장치 규격서 요약
1. 규격검토 대상업체 현황
세부품명번호 |
세부품명 |
업체수준 |
참고(적용/관련)규격명 | |||
상 |
중 |
하 |
국내 |
국외 | ||
3911159901 |
자동승강 조명장치 |
0 |
11 |
0 |
- |
- |
2. 규격검토 내용
업체별 규격 핵심검토 내용(기준) |
적용 공인규격 검토내용(기준) |
규격 표준화를 위한 핵심 검토내용 | |
재료/ 형태 |
■ KS 자재의 사용유무 ■ 해당제품의 특허정보 및 제품구성을 위해 소요되는 재료에 대한 관련기준 확인 |
1) KS C 0704 제어 기기의 절연 거리·절연 저항 및 내전압 2) KS C 4204 일반용 단상유도전동기 3) KS C 4202 일반용 저압3상유도전동기 4) KS Q 1003 랜덤 샘플링 검사방법 5) 위험기계ㆍ기구 안전인증 고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5-20호)
|
■ 실험실용배기기의 시험방법 및 절차에 관한 사항 ■ 관련 규격 및 법령에 관한 검토 및 최신화 적용 ■ 관련 업체 기술 및 성능의 핵심요소 통합 |
제조/ 가공 |
■ 제조공정도에 따라 공정별로 공정관리 및 중간검사 기준을 사내 표준으로 정하고 완제품의 품질 수준이 자사제품 표준에 적합한지에 관한 확인 | ||
기능/ 성능 |
■ 몸체, 강화유리, 전등, 모터 등의 개별 자재에 대한 기능 구현 정도 확인 | ||
마감/ 외관 |
■ 조립부위 및 가공부위의 표면 마무리 확인 ■ 수요처의 요구에 부합하게 외관이 마감되는지 확인 | ||
포장/ 표시 |
■ 구조와 강도를 갖는 것으로 포장되는지의 여부 ■ 개별구성요소의 규격 및 사양의 표시여부 확인 |
3. 추가고려 사항
구분 |
내용 |
비고 |
단계적 표준화가 필요한 규격사항 |
- |
|
계약 담당자 유의사항 |
MAS 등록업체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수용이 가능한 품질기준이 수립될 수 있도록 할 것 |
|
4. 단계적 적용방안(단계적 표준화 필요한 규격이 있는 경우)
시험/검사/성능 항목 |
단위 |
업체 평균수준 |
품질기준치 (공인규격) |
1단계 |
2단계 |
3단계 |
- |
- |
- |
- |
- |
- |
- |
5. 표준 규격서(안)
- 표준 규격서 참조
6. 업체별 규격 검토내용
- 별도 첨부자료 참조
자동승강조명장치 규격서(안)
표준규격 번호 : 2015-010
1. 적용범위 및 분류
1.1 적용범위
이 규격은 옥내 조명기구를 구동에 의하여 수직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등기구의 유지·보수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자동승강조명장치에 대하여 적용한다.
1.2 분류
품명 (물품분류번호) |
세부품명 (세부품명번호) |
물품식별번호 |
규 격 명 |
용 도 |
인도조건 |
자동승강조명장치 (39111599) |
자동승강조명장치 (3911159901) |
|
|
|
|
|
| ||||
|
|
2. 적용자료 및 문서
다음의 인용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을 적용하며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을 포함)을 적용한다.
* 이 외에 해당제품의 제품구성을 위해 소요되는 재료에 대한 관련기준이 있다면 명시할 것
1) KS C 0704 제어 기기의 절연 거리·절연 저항 및 내전압
2) KS C 4204 일반용 단상유도전동기
3) KS C 4202 일반용 저압3상유도전동기
4) KS Q 1003 랜덤 샘플링 검사방법
5) 위험기계ㆍ기구 안전인증 고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15-20호)
3. 필요조건
3.1 재료
식별 번호 |
규격명 |
규격 치수 (mm) |
자 재 소 요 량 |
주재료공급자 |
원산지 | |||
부품명/재료명 |
규격 (재질) |
단위 |
수량 | |||||
0000000 |
|
|
하우징 |
|
|
|
|
|
모터 |
|
|
|
|
| |||
감속기 |
|
|
|
|
| |||
와이어 |
|
|
|
|
| |||
케이블 |
|
|
|
|
| |||
.... |
|
|
|
|
|
비고) 1. 식별번호는 제조업체의 식별번호에 따른다.
2. 재료의 형태 및 치수는 각 업체별 설계사항에 따른다.
3. 재료는 업체 제품에 맞게 작성하며, KS규격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한다.
3.1.1 재료일반
* 해당제품의 특허정보 및 제품구성을 위해 소요되는 재료에 대한 관련기준을 명시할 것
(1) 접점분리방식
- 구동부는 MOTOR (모델에 따라 AC, DC, BLDC MOTOR로 구분), 감속기, 기어어셈블리, 리미트스위치, 와이어 드럼 등으로 구성된다.
- 권선부는 다이캐스팅 또는 ABS 재질의 드럼과 SUS 재질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품에 따라서 드럼의 크기, 와이어의 두께가 구분된다. 와이어는 정격하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는 SUS 재질을 사용한다.
- 카운터 감지센서를 장착하여 등기구가 보수하기 편리한 위치를 설정하여 지정된 위치에 오면 자동으로 정지하여야한다.
- 조명은 모델에 따라 적합한 사양의 등기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접점부는 상. 하 각각 2개의 원형 형태의 접점으로 자체 탄력을 갖고 있어 원활한 접점을 이루어야 한다.
- 락장치(스톱퍼)는 결합 시 하부뭉치를 잡아주어 와이어에 무게가 실리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케이블방식
- 구동부는 DC MOTOR, 감속기, 기어어셈블리, 리미트스위치, 케이블 드럼 등으로 구성된다.
- 권선부는 평면케이블 폭15mm, 두께3mm의 형태이어야 한다. 양 가장자리에는 등기구의 자중을 충분히 견디게 하는 두 줄의 스텐레스 와이어가 내장되어야한다. 가운데 부분은 충분한 강도와 허용량의 전선(2.0Sq)으로 구성되어 승하강시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하여 효율적인 조도조절의 기능을 자져야 한다.
- 조명부는 승, 하강작동의 대상이 되는 부분으로서 안정기와 램프, 반사갓, 안전망으로 구성한다.
- Screw Type의 리미트스위치 를 장착하여 안정기 BOX 및 등기구가 보수하기 편리한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여 지정된 위치에 오면 자동으로 정지하여야한다.
3.2 형태
* 업체에서 제조하는 제품의 규격명과 이미지를 작성하고 제품 설계도면이 있는 경우는 <#붙임>으로 제시할 것
* 이 외에 해당제품의 형태에 대한 내용이 있다면 명시할 것
순번 |
물품식별번호 |
규격명 |
제품사진 |
1 |
00000000 |
규격상세 |
이미지 |
2 |
|
|
|
3 |
|
|
|
3.3 제조 및 가공
제조공정도에 따라 공정별로 공정관리 및 중간검사 기준을 사내 표준으로 정하고 완제품의 품질 수준이 자사제품 표준에 적합하도록 적정하게 관리하고 모델별, 공정별 상세 내용을 기록 관리하여야 한다.
* 제조업체의 경우 각 업체의 제조·가공 공정을 기술(제조과정에서 품질관리 내용 포함)하고, 해당 공정도를 반드시 첨부할 것
3.3.1 기기 외형부
(1) 접점분리방식
- 상부 본체(상부커버, 하우징, 내부판): 기기의 내부 부품을 조립 및 체결할 수 있는 충분한 구조의 강도를 가진 다이캐스팅 또는 ABS 재질로 다이캐스팅은 분체도장을 실시한다.
- 하부 본체(하부커버): 충분한 강도(두께 t)의 다이캐스팅 재질 (분체도장 실시)로 본체와 결합하여 원활한 접점을 이루어야 한다.
(2) 케이블방식
- 상부 몸체부 (UP BODY PART): 기기의 내부 부품을 조립 및 체결할 수 있는 충분한 구조의 강도를 가진 함체로 PCB PART의 나사체결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품의 나사체결 부위는 풀림방지 너트로 고정하여야한다. 또한 기기의 명판 및 배선연결을 위한 참고 스티커를 부착한다.
- 하부 몸체부 (DOWN BODY PART): 충분한 강도(두께 t)의 철판으로 내부 부품을 보호하고 외관의 아름다움을 구현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내․외부 모두 분체도장을 실시한다. 분체도장은 쉽게 벗겨지지 않는 하마톤 계열(또는 동등이상)의 지정색을 사용하여 기기외형을 보호 할수 있어야한다.
3.3.2 조작 제어부 (CONTROL PART)
(1) 접점분리방식
- 상승, 하강의 제어를 위한 회로부는 상승, 하강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최소한의 규정된 무게이상이 부착되어야 작동하며, 하강 동작시 하부에 물체 또는 바닥면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정지되어야 한다.
- 와이어로프의 풀림 및 감김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는 반복되는 상승, 하강 운동을 위해 MOTOR(AC. DC, BLDC)를 사용한다.
- 램프 전원을 ON, OFF 제어하는 접점부(CONNECTION PART) 접점간의 접촉, 분리를 통해 램프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 와이어로프 드럼(DRUM)의 내부에 감겨서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풀림과 감김 동작 을 반복하여 상승. 하강 운동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2) 케이블방식
- 전등의 상승, 하강의 제어를 위한 회로부는 전등의 상승, 하강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최소한의 규정된 무게이상이 부착되어야 작동하며, 전등의 하강동작 시 하부에 물체 또는 바닥면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정지되어야 한다.
- 와이어로프의 풀림 및 감김을 제어하는 모터 구동부: 전등의 반복되는 상승, 하강 운동을 위해 REVERSIBLE MOTOR를 사용하고 기기하부에 부착되는 자중에 의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터내부에 브레이크(BREAK) 장치를 한다. 또한 과전류 및 누전으로 인한 모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부착하여야 한다. (예: 모터의 과다한 열이 발생할 경우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장치 등)
- 램프 전원을 ON, OFF 제어하는 접점부(CONNECTION PART): 접점간의 접촉, 분리를 통해 램프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 와이어로프: 모터에 부착되어 있는 보빈(BOBIN)의 내부에 롤형태로 감겨 있고 LOW BODY에 연결되어 기기하부에 부착되는 안정기 및 램프의 하중을 지탱한다. 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풀림과 감김 동작을 반복하여 상승, 하강 운동의 역할을 한다.
3.3.3 설치부(INSTALLATION PART)
(1) 접점분리방식
- 자동 승강조명장치 고정: 무게중심이 있는 후크 방식이 기본형으로 샤클(비너)을 체결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설치한다.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매입형, 천정평면, H-빔, C형강, 레이스웨이, PIPE, 체인, 클램프등의 다양한 부속품으로 적합한 설치방법을 선택해 부착한다.
- 전선연결: 메인전원은 상부 1.5sq 선에 220V 전원을 연결하며, 하부 1.5sq 선에 조명전원을 연결한다. 필요한 경우 수동선에 수동스위치 배선을 연결한다. (수동선은 신호선으로 220V 전원 연결을 금한다.)
(2) 케이블방식
- 체인연결부: 직경 5mm 이상의 체인으로 구성되어 기기 및 조명부의 하중을 지탱하며 천정의 고정부위와 체결한다.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적합한 설치방법을 선택해 부착한다.
- 단버클 수평 조절부: 여러개의 단버클로 구성되고 비너에 의해 한 지점에 체결되어 수평유지를 위한 조절기능을 한다.
3.3.4. 조명등기구
(1) 접점분리방식
- 모델별 적합한 사양의 다양한 등기구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케이블방식
- 입력전원: 교류 220V 60 Hz를 기준으로 한다.
- 램프: KS 표시품을 사용하여야 하며 건물의 사용목적에 맞는 와트(W)와 종류를 선택한다.
- 안정기: 모든 안정기는 고역율(0.9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설치되는 램프의 소비전력(W)과 종류에 따라 선택한다.
- 반사갓: 등기구 반사 갓의 재질은 고순도 알루미늄으로 알글래스 코팅처리 된 것이어야 한다.
- 소켓: 내부 절연재료는 사기로 제작되어야 하며 램프에 적합한 소켓을 사용한다.
< 제조 정표>
순서 |
제조 공정 |
공정설명 |
비고 |
1 |
원부자재 구입 |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부자재를 구입 |
공정별 관련 QC 내역은 <#붙임>으로 제시 |
2 |
용접 및 사상 |
케이스를 규격에 맞게 용접 및 사상작업을 하는 공정 | |
3 |
분채 |
케이스의 외관 분채 공정 | |
4 |
조립 |
케이스에 구동부를 고정하고, 하단봉을 와이어로 연결한뒤 하단봉 양쪽에 조명을 고정하는 공정 | |
5 |
검사 |
완성된 제품을 회로시험기 등의 보유장비를 이용하여 제품의 정상적인 작동 유무를 검사하는 공정 | |
6 |
포장 및 출하 |
검사를 마친 완제품을 제품 용도에 맞춰 포장하여 출하하는 공정 |
3.4 기능 및 성능
3.4.1 기능
옥내 조명기구를 구동에 의하여 수직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등기구의 유지·보수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3.4.2. 성능
4.2항 시험방법의 시험항목 및 품질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3.5 마감 및 외관
*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업체별 생산공정, 제품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기술
(1) 회로수 제작 특이점, 제어 방식에 따라 외함 규격과 형태를 정하고 승하 및 조명 제어에 관계된 계측기 등을 부착하여야 한다.
(2) 등기구 몸체 및 안정기 케이스는 내열ABS 및 STEEL 등으로 구성되어 무게가 가볍고 미려한 제품이어야 한다.
(3) 등기구의 전면부는 램프 보호망으로 보호되어야 하며 보호망은 조명기구와 유사한 색상의 분체도장 제품이어야 한다.
(4) 콘센트리프트는 설치 시 천정마감과 어울리는 색상의 제품이어야야 한다.
(5) 자동승강조명장치 및 리모트 패널을 비롯한 부속품은 전체의 모양이 바르고 흠, 터짐 및 예리한 모서리 등이 없어야 한다.
(6) 원격 조명릴 및 그 부속품은 전체의 모양이 바르고 흠, 터짐 및 예리한 모서리 등이 없어야 한다.
4. 검사 및 시험
4.1 검사
4.1.1 검사물의 크기 및 구성방법
수요자에 매회 납품하는 양을 1로트로 구성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 조달청과 협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4.1.2 시료의 크기 및 채취방법
관능검사 및 4.2항에 따른 전 항목 시험을 할 수 있는 시험 시료를 KS Q 1003(랜덤 샘플링 검사방법)에 따라 랜덤하게 채취한다.
4.1.3 검사방법
검사는 관능검사 및 4.2항(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전 항목이 4.2항(품질기준)적합하면 그 로트는 합격으로 한다.
4.2 시험방법
시험 항목 |
품질 기준 |
단위 |
시험 방법 | ||
1 |
절연 저항 |
2 MΏ 이상 |
MΏ |
KS C 0704의 8항에 따름 | |
2 |
절연 내력 |
1440 V 에서 절연파괴가 없을 것 |
V | ||
3 |
토크시험 |
일반용 단상 유도전동기 |
KS C 4204의 5.3항에 따름 |
- |
KS C 4204의 8.4항에 따름 |
일반용 저압 3상유도전동기 |
KS C 4202의 5.3항에 따름 |
- |
KS C 4202의 8.6항에 따름 | ||
4 |
허용하중 시험 |
케이블(또는 와이어)의 늘어짐이나 회전드럼의 풀림이 없고, 등취부 브라켓의 변형 없이 승․하강이 원활하게 작동할 것 |
- |
정격하중의 1.4배의 하중을 인가하여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승․하강 왕복을 5회 반복 | |
5 |
무부하 시험 |
무하중 상태에서 하강 시, 모터의 회전이 정지할 것 |
- |
자동승강조명장치의 최고점과 최하점의 중앙에 장애물을 설치한 뒤, 최고점에서 최하점까지 하강시킴 | |
6 |
과부하 시험 |
과부하 상태에서 상승 시, 모터의 회전이 정지할 것 |
- |
자동승강조명장치의 케이블(또는 와이어) 하부 끝부분을 바닥면에 고정시킨 뒤 상승시킴 | |
7 |
상하부 접접 결합 시험 |
상하부 접점의 결합 시, 조명등이 ON 될 것 |
- |
최저점에서 조명등을 부착하고, 최고점까지 상승시켜 상하부 접점이 결합되도록 5회 반복 | |
8 |
조명등 전원 ON/OFF 시험 |
조명등이 정상적으로 ON /OFF 점멸될 것 |
- |
유/무선 스위치로 조명을 ON/ OFF 5회 반복 |
5. 포장 및 표시
*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여 자유롭게 기술할 것
5.1 포장
제품 이동 시 파손 우려가 있는 부분은 방진조치를 시행하고 각 부품은 이동 중 외상, 부식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구조와 강도를 갖는 것으로 포장하여야 한다.
5.2 표시
표시사항은 보기 쉬운 곳에 다음사항을 쉽게 지워지지 않는 방법으로 표기 한다.
1) 제조사 / 제조국가
2)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3) 제조연월 또는 그 약호
4) 모델명
5) 정격하중
6) 승강높이
7) 정격전압
8) 조명전력
9) 치수(W×H×D)
10) 제조사 A/S 연락처
11) 사용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5.3 하자보증기간
* 제품 하자보증기간 및 내용을 상세하게 입력할 것
6. 용도 및 제원
* 다음의 내용을 참고하여 자유롭게 기술할 것
6.1 용도
층고가 높은 고천정 건축물(체육관, 공연장, 교회 등)에 설치되어 전등의 효율적 유지 관리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6.2 발주제원
본 규격의 기준범위 내에서 수요자의 요구와 공급자의 제조능력에 따라 용량 및 크기와 설치 수량 등을 결정할 수 있다.
* 제품별 발주제원을 기술할 것
식별번호(규격명) |
OOOOOOOO |
감속기어방식 |
웜기어 |
감속비 |
1:18 |
승강높이 |
4 m |
허용하중 |
10 kg 이하 |
정격전압 |
AC 220V |
사용램프 |
H-MH350W |
램프전력 |
1000 W |
치수 |
114×114×100mm |
7. 추가항목(제조업체에서 필요할 경우 제시)
* 규격서 1~6 항목 이외에 업체 제품의 차별성을 나타낼 수 있는 기술사항(특허사항, 인증 등)을 제시할 것. (단, 객관적인 자료로 증빙 가능한 내용 입력)
'직접생산/구매공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811))폴리에틸렌제물받이 조달청MAS(다수공급자계약)구매공고 (0) | 2016.08.11 |
---|---|
160811))하이브리드가로등 규격서 조달청다수공급자계약MAS용 (0) | 2016.08.11 |
160811))태양광가로등 규격서 조달청다수공급자계약MAS용 (0) | 2016.08.11 |
160811))신재생에너지가로등(태양광,하이브리드) MAS(다수공급자계약)구매공고 (0) | 2016.08.11 |
160810))자동승강조명장치 조달청MAS(다수공급자계약)구매공고 (0) | 2016.08.11 |
160810))칠판 규격서/칠판 조달청MAS(다수공급자계약)구매공고 (0) | 2016.08.10 |
160809))벽천장용흡음재 규격서 조달청다수공급자계약MAS용 (0) | 2016.08.10 |
160809))벽천장용흡음재 조달청MAS(다수공급자계약)구매공고 (0) | 2016.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