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섬유(복합포,부직포),차무매트,직포매트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
중소기업청 고시 제2015-41호의 직접생산 확인기준입니다.
신청전 꼭 새로운 직접생산 기준을 확인하세요.
한마음경영연구원은 각 분야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최선의 기업 지도로 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겠습니다. |
1. 나라장터 쇼핑몰(다수공급자제도/조달우수)등록을 통한 안정적인 매출 |
2. 벤처, 이노비즈 인증으로 자금확보, 세금감면 등의 각종 혜택 |
3. 정책지원, 국가연구개발(R&D)사업으로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 |
4. ISO9001,14001인증으로 기업 신뢰도 향상과 품질경영시스템의 구축 |
토목섬유 직접생산확인기준,복합포 직접생산확인기준,부직포 직접생산확인기준,차무매트 직접생산확인기준,직포매트 직접생산확인기준, P.P섬유 직포매트 직접생산확인기준
99 |
토목섬유 |
□ 직접생산 정의
토목섬유(복합포, 토목용부직포), 차수매트의 직접생산은 세부 품목별 각각의 핵심원료로 보유 생산시설과 인력을 활용하여 세부 품목별 생산 공정을 거쳐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토목섬유(P.P섬유 직포매트)의 직접생산은 원재료인 P.P MA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고강력 PET MAT 폴리에스터(Polyester)사를 유화사로 부터 구입하여, 보유 생산설비와 인력을 활용하여 제사 또는 연사공정 및 정경공정 후, 직조작업인 제직공정을 거쳐 검단, 봉제하여 완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함.
□ 직접생산 확인기준 | ||||
항 목 |
내 용 |
비 고 | ||
생산공장 |
① 사업자등록 ② 공장등록 - 한국표준산업분류번호 ․차수매트, 복합포, 토목용부직포 : 13992, 13994, 13999 (1가지 이상 기재) ․P.P섬유 직포매트 : 13225, 13999, 13229, 13219(1가지 이상 기재) - P.P섬유 직포매트는 공장부지면적 1,320㎡이상, 제조시설면적 660㎡이상일 것 |
- 사업자등록증명 - 공장등록증명서
| ||
생산시설 |
※ 붙임 98-1 “토목섬유 세부제품별 핵심원료, 생산시설 및 생산공정 기준 등” 참조 |
- 생산시설 현장확인 및 사진 촬영 확보 - 토목섬유 특성상 생산시설의 규격제한은 없음 - 임차보유 인정 | ||
생산인력 |
① 상시근로자(대표자 제외) : 생산직 1인 이상 |
- 4대보험 가입증명으로 확인(1개 이상 보험가입 증빙자료 확보) | ||
생산공정 |
전체 공정 |
※ 붙임 99-1 “토목섬유 세부제품별 핵심원료, 생산시설 및 생산공정 기준 등” 참조 |
- 작업공정도 또는 작업표준 등 | |
필수 공정 | ||||
기 타 |
복합포, 토목용부직포, 차수매트 |
P.P섬유 직포매트 |
- 매입세금계산서
- 월별전기사용내역 (한국전력공사 확인) | |
① 최근 3년 이내 핵심원료 구매실적 |
① 최근 3개월 원부자재 구입실적 ② 최근 3개월 전기사용내역 | |||
|
[ 붙임 99-1 ]
<토목섬유 세부제품별 핵심원료, 생산시설 및 생산공정 기준 등>
세부제품 |
핵심원료 |
생산시설 |
생산공정 | ||
토목용 부직포, 복합포 |
① 폴리에스터 S/F (약칭 PET) ② 폴리프로필렌S/F (약칭 PP) |
① 카드기 ② 성형기 ③ 니들펀칭기 (니들룸 포함) |
전체공정 |
<토목용부직포> 개면, 혼면→카딩→성형→ 니들펀칭→절단, 와인딩→납품 <복합포> 일반토목용 공정 중 성형과정에서 직포를 추가하여 일체화를 위해 니들펀칭으로 결합 | |
필수공정 |
<토목용부직포> 카딩→성형→니들펀칭 <복합포> 일반토목용 공정 중 성형과정에서 직포를 추가 | ||||
차 수 매 트 |
지 오 컴포지트 |
① 스펀본드부직포(장섬유) 또는 니들펀칭(펠트) 부직포(단섬유) ② HDPE레진, ③ 시방에 따라 PP직포 부착 |
① 플라스틱압출기 ② 열 융착기 |
전체공정 |
플라스틱 코아 압출→부직포 열융착 부착→절단, 와인딩→납품 |
필수공정 |
플라스틱 코아 압출→부직포 열융착 부착 | ||||
벤토나이트 매 트 |
① 벤토나이트가루 ② 니들펀칭 부직포 (단섬유) ③ 시방에 따라 방수시트(필름) 부착 |
① 성형기 (원부자재 공급기) ② 니들펀칭기 |
전체공정 |
직포공급→벤토나이트가루 공급→부직포 공급→니들펀칭→절단, 와인딩 →납품 | |
필수공정 |
직포공급→벤토나이트가루 공급→부직포 공급→니들펀칭 | ||||
PE도포방식 |
① 니들펀칭부직포 (단섬유) |
① 카드기 ② 성형기 ③ 니들펀칭기 (니들룸 포함) |
전체공정 |
개면, 혼면→카딩→성형→니들펀칭→PE코팅(외주가능)→절단, 와인딩→납품 | |
필수공정 |
카딩→성형→니들펀칭→PE코팅(외주가능) | ||||
P.P섬유 직포매트 |
① 폴리에스터 S/F (약칭 PET) ② 폴리프로필렌S/F (약칭 PP) |
<생산설비> ① 제사기(P.P MAT) ② 연사기(PET MAT) ③ 정경기 ④ 제직기 6대 ⑤ 검단기 ⑥ 봉제기 <검사설비> ① 데니어측정기 ② 인장시험기 ③ 목수측정기 |
전체 공정 |
<P.P MAT> 제사→정경→제직→검단→봉제→포장
<PET MAT> 원사입고→연사→정경→제직→검단→봉제→포장 | |
필수 공정 |
정경→제직→검단→봉제 | ||||
|
[ 별첨 99-1 ]
생산시설 세부설명
□ 생산시설[토목용부직포, 복합포]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카드기 |
핵심원료를 웹(web) 상태로 만들어 넓게 펼쳐주는 장비 |
2 |
성형기 |
펼쳐진 웹(web) 상태의 원료를 중량 및 폭에 맞게 적층하는 장비 |
3 |
니들펀칭기(니들룸 포함) |
적층된 웹(web)을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결합시키는 장비 |
□ 생산시설[차수매트(지오컴포지트)]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플라스틱압출기 |
HDPE레진을 망 형태로 용융 압출하는 장비 |
2 |
열융착기 |
부직포와 망 형태의 용융 압출된 제품을 열융착으로 접착하는 장비 |
□ 생산시설[차수매트(벤토나이트매트)]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성형기(원부자재공급기) |
원부자재(부직포, 벤토나이트가루, 직포)를 공급하는 장비로서 부직포와 직포 사이에 혼합된 벤토나이트가루를 넣어 니들펀칭기에 공급 |
2 |
니들펀칭기 |
성형된 원부자재(부직포, 벤토나이트가루, 직포)를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고정․결합하는 장비 |
□ 생산시설[차수매트(PE도포방식)]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카드기 |
핵심원료를 웹(web) 상태로 만들어 넓게 펼쳐주는 장비 |
2 |
성형기 |
펼쳐진 웹(web) 상태의 원료를 중량 및 폭에 맞게 적층하는 장비 |
3 |
니들펀칭기 |
적층된 웹(web)을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결합시키는 장비 |
□ 생산시설[P.P섬유 직포매트(생산설비)]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제사기 (P.P MAT) |
폴리프로필렌 원료와 첨가제를 혼합하여 원사를 생산하는 시설로서 연신기 능력 90(m/m)이상 T다이TM이며 와인더는 150추 이상 능력보유 |
2 |
연사기 (PET MAT) |
꼬임이 없는 PET원사에 규정된 꼬임을 주는 설비로서 1000데니어 이상의 원사를 여러가닥 합쳐서 꼬아주는 합연·가연 작업후 지관에 권취하는 설비 |
3 |
정경기 |
제직에서 사용하는 빔에 연사 또는 무연의 경사를 직기폭과 본수에 맞게 평행 배열시켜 권취하는 설비로서 작업폭 2000mm 이상, 빔플렌지 1000∅ 까지 작업가능 능력보유 |
4 |
제직기 |
P.P MAT 원사콘으로 직조하는 기계로 폭 1200mm이상 최대 5000데니어 제직 능력을 보유하고, PET MAT 정경에서 만들어진 경사빔을 직기에 상대한 후 폭 방향으로 위사를 투입하여 제직 생산되는 제품의 장력을 자동조절하여 일정한 형태로 와인딩 하는 별권기 권취설비를 거쳐 직물을 생산하는 설비이며 2000mm~3800mm 폭의 제직 능력보유 |
5 |
검단기 |
제직기에서 생산된 제품을 되감으면서 품질확인 및 결점발생여부를 확인하는 설비 |
6 |
봉제기 |
각각의 제직된 원단을 합폭하는 기계로서 토목현장의 규격에 맞게 시접 5cm이상 4개 ~ 6개의 바느질을 한번에 할 수 있는 능력보유 |
□ 생산시설[P.P섬유 직포매트(검사설비)]
연번 |
생산시설명 |
세 부 설 명 |
1 |
데니어 측정기 |
섬유 중량 측정기 |
2 |
인장시험기 |
재료를 잡아 당겨 그 재료의 인장력을 측정하는 기계 |
3 |
목수측정기 |
가로, 세로 10㎝ 안에 직조된 가닥수를 측정하는 기계 |
[ 별첨 99-2 ]
생산공정 세부설명
□ 토목용부직포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개면, 혼면 |
압축된 상태의 원료를 풀어헤쳐 이물질을 제거하고 원료를 혼합하여 카딩하기 좋은 화이바 상태로 적정량의 원료를 공급 |
2 |
카딩 |
공급된 원료를 상하좌우로 이어진 상태, 즉 웹(web) 상태로 만들어 넓게 펼쳐주는 공정 |
3 |
성형 |
펼쳐진 웹(web) 상태의 원료를 중량 및 폭에 맞게 적층 |
4 |
니들펀칭 |
적층된 웹(web)상태의 원료를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결합 |
5 |
절단, 와인딩 |
완성된 제품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아 포장하는 공정 |
6 |
납품 |
검사, 포장을 마친 제품 납품 |
□ 복합포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개면, 혼면 |
압축된 상태의 원료를 풀어헤쳐 이물질을 제거하고 원료를 혼합하여 카딩하기 좋은 화이바 상태로 적정량의 원료를 공급 |
2 |
카딩 |
공급된 원료를 상하좌우로 이어진 상태, 즉 웹(web) 상태로 만들어 넓게 펼쳐주는 공정 |
3 |
성형 |
펼쳐진 웹(web) 상태의 원료를 중량 및 폭에 맞게 적층하고 직포를 추가 공급 |
4 |
니들펀칭 |
적층된 웹(web)상태의 원료와 직포를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결합 |
5 |
절단, 와인딩 |
완성된 제품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아 포장하는 공정 |
6 |
납품 |
검사, 포장을 마친 제품 납품 |
□ 차수매트(지오컴포지트)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플라스틱 코아 압출 |
HDPE 레진을 망 형태로 용융 압출하는 공정 |
2 |
부직포 열융착 부착 |
부직포와 부직포(또는 시방에 따라 PP직포가 결합된 부직포) 사이에 망 형태로 압출된 제품을 열융착으로 접착 |
3 |
절단, 와인딩 |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아 포장하는 공정 |
4 |
납품 |
검사, 포장을 마친 제품 납품 |
□ 차수매트(벤토나이트매트)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직포공급 |
보조재인 직포 공급 |
2 |
벤토나이트가루 공급 |
하부에 공급된 직포위에 벤토나이트가루 공급 |
3 |
부직포 공급 |
벤토나이트가루위에 부직포로 덮어주는 공정 |
4 |
니들펀칭 |
공급기를 통해 적층, 성형된 원부자재(부직포, 벤토나이트가루, 직포)를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결합시키는 공정 |
5 |
절단, 와인딩 |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아 포장 |
6 |
납품 |
검사, 포장을 마친 제품 납품 |
□ 차수매트[벤토나이트매트-시방에 따라 방수시트(필름)가 부착된 경우]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직포공급 |
보조재인 직포 공급 |
2 |
벤토나이트가루 공급 |
하부에 공급된 직포위에 벤토나이트가루 공급 |
3 |
부직포 공급 |
벤토나이트가루위에 부직포로 덮어주는 공정 |
4 |
니들펀칭 |
공급기를 통해 적층, 성형된 원부자재(부직포, 벤토나이트가루, 직포)를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결합시키는 공정 |
5 |
점착제 분사, 압착 |
생산된 일반형 벤토나이트매트에 점착제를 분사하여 필름을 압착․결합하는 공정 |
6 |
절단, 와인딩 |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아 포장 |
7 |
납품 |
검사, 포장을 마친 제품 납품 |
□ 차수매트(PE도포방식)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개면, 혼면 |
압축된 상태의 원료를 풀어헤쳐 이물질을 제거하고 원료를 혼합하여 카딩하기 좋은 화이바 상태로 적정량의 원료를 공급 |
2 |
카딩 |
공급된 원료를 상하좌우로 이어진 상태, 즉 웹(web) 상태로 만들어 넓게 펼쳐주는 공정 |
3 |
성형 |
펼쳐진 웹(web) 상태의 원료를 중량 및 폭에 맞게 적층 |
4 |
니들펀칭 |
적층된 웹(web)상태의 원료를 기계적(니들펀칭)으로 결합 |
5 |
PE코팅(외주가능) |
토목용부직포 또는 복합포에 PE레진을 용융하여 도포하거나 또는 필름형태의 PE를 접착하는 공정 |
6 |
절단, 와인딩 |
완성된 제품을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롤 형태로 감아 포장하는 공정 |
7 |
납품 |
검사, 포장을 마친 제품 납품 |
□ P.P섬유 직포매트
연번 |
생산공정명 |
세 부 설 명 |
1 |
제사(P.P MAT) |
원자재인 폴리프로필렌원료와 첨가제인 칼펫트(calpet)를 배합기에서 혼합하여 연신기 능력 90(m/m)이상의 실린더 스크루에서 융해시켜 T다이스로 압출 필름형태로 형성시켜 수냉, 공냉으로 냉각한 후 필름을 컷팅 칼날을 이용 1차 연신 및 2차 연신하여 원사(실)을 만들어 와인더 150추 이상으로 와인딩하여 콘을 형성 |
2 |
연사(PET MAT) |
1000데니어 이상의 원사를 여러 가닥 합쳐서 꼬아주는 합연·가연 작업 후 지관에 권취 |
3 |
정경 |
직물의 총경사본수를 적정한 정수로 나누어 제직에서 사용하는 빔에 연사 또는 무연의 경사를 직기폭과 본수에 맞게 평행 배열시켜 작업폭 2000mm 이상 빔(매트의 경사부분)에 감는 공정 |
4 |
제직 |
(P.P MAT) 원사콘을 가지고 직조하는 공정으로 폭 1200mm이상 최대 5000데니어 까지 제직(PET MAT) 정경에서 만들어진 경사빔을 직기에 상대한 후 폭 방향으로 위사를 투입하여 제직하는 것으로 장력을 자동조절하여 일정한 형태로 와인딩하는 별권기 권취설비를 거쳐 직물 생산 |
5 |
검단 |
제직기계에서 생산이 완료된 제품을 검사 및 봉제를 확인하기 위한 길이로 재단하는 공정 |
6 |
봉제 |
각각의 제직된 원단을 합폭하는 기계로서 토목현장의 규격에 맞게 시접 5cm이상 4선~6선으로 봉제 |
'직접생산/구매공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철망 조달청 다수공급자계약(MAS) 구매공고 (0) | 2015.10.14 |
---|---|
돌망태 조달청 다수공급자계약(MAS) 구매공고 (0) | 2015.10.14 |
혼방소모직물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폴리에스테르직물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커튼,무대막,암막,블라인드,롤업셰이드 직접생산확인기준 (0) | 2015.10.13 |
카바류,구급대,수통피,야전삽피,탄입대류 직접생산확인기준 (0) | 2015.10.13 |
침낭(군용침낭포함)직접생산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
행사용,군용천막류 직접생산 확인기준 제2015-41호 (0) | 201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