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S/나라장터

2015년 조달사업 집행실적 55.7조원 달성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2015년 조달사업 집행실적 55.7조원 달성

 


 

 

조달청은 2015년도 조달사업실적전년 대비 13.4% 증가한 55.7조원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체 공공조달규모(111.5조원)의 32%를 차지하고 있는 조달계약사업실적 증가는 ‘15년 정책목표인 ’공공조달을 통한 경제 활력 제고‘를 체계적으로 실행한 결과로 평가 받고 있다.

 

○ 또한 조달청장은 “어려운 경제여건하에서 전년대비 13%이상 조달사업 실적이 증가한 것은 전문성 기반의 서비스 다양화의 결과”라고 평가하면서, “올해에는 조달사업목표를 57조원 수준으로 설정하고 공공구매력을 활용하여 내수경제 활성화와 고용확대 지원정책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조달사업은 조달계약조달지원사업으로 구분되며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다.

 

조달계약실적은 ‘물품·서비스계약(24조원), 시설계약(12조원) 등 36.2조원 규모로  

- 전동차 구매, 체육진흥투표권 발행사업자 선정, 별내선 건설 공사 등 대형 사업이 실적 상승을 견인하였다.

 

19.2조원 상당인 조달지원사업은 시설공사 ‘맞춤형서비스, 총사업비검토, 원가 및 설계적정성 검토’로 구성된다. 

- 설계적정성 검토 업무를 계획·실시설계에서 기본설계로 확대하고 SOC사업 등의 총사업비 검토업무를 적극 추진하여 실적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조달청을 통한 중앙조달 이용 실적은 ‘국가기관(71.8%) > 지방자치단체(39.4%) > 교육기관(38.9%)순’으로 나타났다.

 

(국가기관) 국방부, 외교부, 행정자치부 중앙조달 이용율이 높은 반면, 특허청, 환경부 등은 낮았다.

 

(지방자치단체) 경기, 전남, 강원 등이 높고, 서울, 부산, 전북 등이 낮은 순위를 보였다. 

- 경기도의 경우 시흥, 성남, 구리 등은 높고, 광주, 안양, 안성 등은 낮아 기초단체별 편차가 컸는데, 이는 경기도를 관할하는 지방조달청이 없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교육기관) 세종교육청, 경남교육청, 부산교육청, 경기교육청 등이 높고, 용인교육청, 울산교육청, 안성교육청 등은 10%대로 낮았다.

 

기업별 계약규모를 보면 어려운 경제여건하에서 중소기업과 지역업체에 대한 공공조달의 지원비중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신성장제품의 우수제품 지정 촉진, 지자체 여행상품 개발 등으로 물품․서비스계약에서 중소기업이 80% 수준을 점하였다.

 

-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사회적기업 계약규모 전년보다 약 2배 상승했다.

 

시설 분야에서도 지역제한,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 등을 통해 지역중소 건설업체의 계약실적이 ‘13년 대비 10%P 증가한 78%에 달했다.

 

 

 

 

붙임 1

 

15년도 조달사업 집행실적

(단위 : 억원,%)

 구분

2014년(A)

2015년(B)

전년대비(B/A)

조달사업 총계*

491,144

556,776

113.4

물품․서비스 계약사업

225,396

240,168

106.6

시설

소계

257,501

309,989

120.4

계약사업

108,996

118,322

108.6

지원사업**

148,505

191,667

129.1

 

* 외자․비축사업 집행실적을 포함한 금액임

** 지원사업 : 맞춤형서비스, 총사업비 검토, 원가검토, 설계적정성 검토

 

 

붙임 2

 

중소기업 및 지역업체 지원비중

(단위 : %)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중소기업

(물품․서비스계약)

77.6

76.6

78.1

77.4

79.9

지역기업

(시설계약)

68.2

64.9

67.3

75.3

77.7

 

 

붙임 3

 

15년도 광역자치단체 중앙조달 이용현황

 

구분

중앙조달 이용비중(나라장터 집행기준)

경기

94.8

전남

66.0

강원

52.4

충북

47.4

세종

43.5

울산

27.8

경남

27.0

충남

24.3

인천

23.3

대전

21.7

경북

19.7

대구

18.8

광주

18.2

제주

17.4

전북

16.7

부산

8.6

서울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