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들

라면트랜스지방,라면나트륨,라면열량,라면콜레스테롤,라면포화지방,라면L-글루타민산,라면핵산조미료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라면트랜스지방, 라면나트륨,

라면열량, 라면콜레스테롤, 라면포화지방,

라면L-글루타민산, 라면핵산조미료 품질 비교

 

한국소비자원이 라면의 건강한 섭취를 위해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선호도가 높은 4개 업체의 12개 라면을 선정하여 라면열량, 라면콜레스테롤, 라면포화지방,라면트랜스지방, 라면나트륨, 라면L-글루타민산, 라면핵산조미료 등의 품질을 비교하였다고 합니다.

 

<시험대상 제품>

제조사

제품명

제조사

제품명

농심 신라면

팔도 꼬꼬면

농심 안성탕면

삼양나가사끼짬뽕

농심 오징어짬뽕

농심 너구리우동

얼큰한맛

오뚜기 진라면 매운맛

농심

무파마탕면

오뚜기 참깨라면

삼양라면

팔도 틈새라면

빨계떡

오뚜기 스낵면쇠고기맛

※ 제품명 가나다 순임.

 

 

라면트랜스지방, 라면나트륨,

라면열량, 라면콜레스테롤, 라면포화지방,

라면L-글루타민산, 라면핵산조미료 품질 비교 결과

 

 

 

제품

내용량

짠맛

감칠맛

열량

(kcal)

단백질

(g)

지방(g)

콜레스

테롤

(mg)2)

가격1)

1봉

(원)

1봉

(g)

스프

(g)

나트륨

(mg)

L-글루

타민산

(mg)

핵산

조미료

(mg)4)

지방

포화

지방

트랜스

지방2)

한끼영양소 기준치5)

 

 

666.7

 

-

722.26)

18.3

17

5

 

100

-

팔도

꼬꼬면

115.7

13.8

1,770

32.87

281.61

473.0

9.5

14.8

6.8

0.06

0.62

703

삼양

나가사끼

짬뽕

117.7

17.0

1,350

32.96

426.57

486.9

9.1

14.6

6.5

0.06

0.47

790

농심

너구리

얼큰한맛

120.9

13.8

1,689

103.72

358.22

511.4

8.8

17.2

8.0

0.12

1.61

502

농심

무파마

탕면

120.2

17.6

1,737

50.02

437.10

514.7

9.7

16.5

7.7

0.10

0.78

839

삼양

라면7)

124.8

12.8

2,069

58.38

256.78

519.2

10.2

17.1

7.7

0.07

불검출

595

120

1,840

 

 

500

10

16

8

0

0

오뚜기

스낵면

쇠고기맛

111.3

11.4

1,582

261.66

311.58

489.4

10.0

18.7

8.6

0.07

불검출

421

농심

신라면8)

118.4

11.9

1,895

83.41

119.04

495.8

9.8

17.4

8.1

0.12

불검출

634

120

1,790

   

505

10

16

8

0

0

농심

안성탕면

126.8

11.9

1,843

59.06

218.79

549.6

11.8

19.1

9.1

0.14

불검출

570

농심

오징어

짬뽕7)

124.1

16.0

1,700

28.03

387.62

503.2

11.5

13.8

6.3

0.06

6.03

723

124

1,750

 

 

510

10

15

7

0

12

오뚜기

진라면

매운맛

123.4

13.6

1,682

414.57

146.51

513.0

12.1

16.9

8.9

0.06

불검출

442

오뚜기

참깨라면

117.6

21.0

1,704

161.99

244.52

504.2

10.7

17.0

7.2

0.06

6.58

602

팔도

틈새라면

빨계떡

122.6

15.2

1,722

55.49

241.09

504.7

10.5

15.6

7.2

0.06

불검출

757

평균

120.3

14.7

1,729

111.85

285.79

505.4

10.3

16.6

7.7

0.08

2.68

632

※ 제품 순서는 제품명 가나다 순

※ 상기 값은 1봉(1회제공량) 당 측정값, 매운맛과 감칠맛은 1봉의 스프 중 측정값

1) 3대 대형마트 온라인몰에서 판매하는 1묶음(5∼6봉입)의 평균가('14.9.11∼23기준)

2) '식품등의 표시기준'에 따르면, 콜레스테롤 2mg 미만은 "0"으로, 트랜스지방 0.2g 미만은 "0"으로 표시 가능

3)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의 합

4) 핵산조미료 IMP와 GMP의 합

5) 1일 영양소기준치를 세 끼 섭취를 기준으로 환산한 값(식품등의 표시기준)

6) 성인 남여(19∼64세)의 1일 에너지 기준치를 세 끼 섭취를 기준으로 환산한 평균값(한국인 영양섭취기준)

7) 2014년 재출시(삼양라면 7월, 오징어짬뽕 4월)됨. 현재 조사대상 제품(2월 구입)과 재출시 제품이 함께 유통중임. 아래 '값'은 재출시 제품에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

8) 2014년 총 2차례에 걸쳐 재출시됨. 조사대상 제품(2월 구입)은 전제품 소진되었고, 현재 1차(3월)·2차 재출시(7월) 제품이 함께 유통중임. 아래 '값'은 재출시 제품에 표시된 영양성분 함량

 

 

가. 라면의 영양성분 확인 필요

 

 

□ 제품별 열량, 칼슘 등 영양성분 함량이 차이가 있어 제품에 표시된 영양성분 확인 필요

○ 라면 1봉의 열량은 473.0~549.6kcal로 제품별 최대 76.6kcal(약 1.2배)의 차이가 났다.

식사대용으로 섭취할 경우, 라면 1봉의 평균 영양소 섭취량은 한 끼 영양소기준치 대비 단백질 56.3%, 탄수화물 71.6%, 지방 97.6%를 차지해 영양 불균형이 우려

* 한 끼 영양소기준치는 '식품등의 표시기준'에서 제시하는 1일 영양소기준치(탄수화물 330g, 단백질 55g, 지방 51g)를 세 끼 섭취를 기준으로 환산한 값

 

나. 1일 영양소기준치 라면의 나트륨 86.5%

 

 

나트륨 함량 조사 : 제품별 최대 1.5배 차이, 평균 1,729mg으로 1일 영양소기준치 2,000mg의 86.5%

나트륨 과다 섭취는 고혈압 유병률을 높이고,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업계는 현재보다 더욱 적극적인 나트륨 저감화 노력이 필요하다.

■ 라면 별 나트륨 함량 함량

 

다. 1일 영양소기준치 라면의 포화지방은 51.3%

 

 

포화지방 함량 조사 : 제품별 최대 1.4배 차이, 평균 7.7g 으로 1일 영양소기준치 15g의 51.3%

○ 라면을 1일 2봉 이상 섭취하거나,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동물성 지방 함유 식품 등을 함께 섭취할 경우 포화지방 과다 섭취*가 우려

* 포화지방의 과다 섭취는 지방간 위험을 높이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증가시켜 심혈관계 질환 및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

팜유는 마가린, 과자류 등 가공식품에 많이 사용되며, 특히 라면의 경우에는 약 25년 이상 꾸준히 사용되어왔다.

* 팜유란 오일팜(기름야자)의 과육에서 착유되며 상온에서 고체인 유지로,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이 9.1∼11.0% 수준으로 다른 식물성유지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레산이 약 10%p 적다.

팜유는 불포화지방을 많이 함유한 다른 식물성유지에 비해 포화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저감화가 필요하다.

■ 라면 별 포화지방 함량

 

라. 전제품에서 벤조피렌은 불검출, 방사선 조사가 행해진 제품은 없다

 

 

 

건강한 라면 섭취 방법